태그>개디스(총 12개의 글)
'개디스' 관련 최근글
-
- "존 루이스 개디스의 부인 이름은?" ^^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20/05/19 09:23
제레미 수리 Jeremi Suri는 헨리 키신저 연구자로, 국제정치사 전문가이다. 그는 2001년 예일대 사학과에서 박사논문을 썼고,지도교수가 존 루이스 개디스였다. 논문 중 감사의 말을 보면, 사학과의 폴 케네디와 중국사의 조너선 스펜스에 대한 감사말과 더불어, 개디스 교수와의 ..
- "존 루이스 개디스의 부인 이름은?" ^^
-
- "최근에 번역된 좋은 미국사 책은?"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20/05/14 12:16
동네 공공도서관 미국사 관련 코너에 가서 놀라는 점은 냉전과 관련해서 읽을만한 책이 거의 없다는 현실이다. 이런 현실에서 좋은 책이 한 권 번역되었으니, 그것은 바로 존 루이스 개디스의 미국의 봉쇄전략이다. 개디스는 이미 대가의 반열을 넘어선, 전설적 역사가가 되었다...
- "최근에 번역된 좋은 미국사 책은?"
-
- "장기간의 평화와 냉전?"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20/04/28 11:57
미국의 냉전사가 개디스가 냉전의 성격을 "장기간의 평화"라 규정한 바 있다. Gaddis, John Lewis. The Long Peace: Inquiries into the History of the Cold War.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87. 냉전 종식 이후 탈냉전이 유행이다. 하..
- "장기간의 평화와 냉전?"
-
- 소련 아프리카 전략의 혼란...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7/07/13 17:36
키신저의 경고. 이것은 국제정치에서 꼬리가 몸통을 뒤흔드는 또 하나의 사례인가? 개디스에 따르면, 소련의 소말리아, 에티오피아 정책은 혼란이었다. 이 혼란은 소련의 보호국이었던 소말리아가 마르크스 정권이 갓 수립된 이웃나라 에티오피아를 공격한 1977년에 시작되었다, ..
- 소련 아프리카 전략의 혼란...
-
- "예일대 사학과 학부 4학년의 수준은?"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7/07/13 17:18
냉전의 역사의 대가 존 루이스 개디스의 냉전의 역사의 참고문헌을 보다가, 다음 주석을 발견했다. 평생 냉전의 역사를 공부한 대가 역사가 개디스가, 자신이 지도하는 학부 4학년생의 보고서를 읽고, 배운 것이..
- "예일대 사학과 학부 4학년의 수준은?"
-
- [냉전]개디스, "두 개의 봉쇄정책이 존재한다."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7/06/14 12:56
키신저의 경고. [냉전] <봉쇄정책> 존 루이스 개디스는 그의 <<봉쇄전략>>(1982) 에서 미국의 냉전에서 핵심전략이었던 봉쇄에는 두 개의 전통이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30년을 주기로 순환되는 미국..
- [냉전]개디스, "두 개의 봉쇄정책이 존재한다."
-
- 개디스, "조지 캐넌의 봉쇄정책은 반공주의인가?"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7/03/20 13:41
키신저의 경고. 물론 중등교육의 수준에서 조지 캐넌의 봉쇄정책의 이념적 기초를 묻는다면, 반공주의라 답하면 크게 문제될 것은 없을 것이다. 하지만, 대학 수준의 논의에서, 캐넌의 봉쇄정책을 순수한 반..
- 개디스, "조지 캐넌의 봉쇄정책은 반공주의인가?"
-
- "스탈린은 제2의 맑스와 레닌이 아니었다!"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7/03/19 09:00
키신저의 경고. 개디스에 따르면, 스탈린은 위대한 러시아 민족주의자였다. 그는 자신이 비러시아 계 출신이라는 사실을 민감하게 생각했다. (그루지아 출신) 그의 야심은 과거의 모스크바 대공의 그것을 따르는 것이었다. 주변의 영토를 거두어 들여서, 지배하는 것이었다. ..
- "스탈린은 제2의 맑스와 레닌이 아니었다!"
-
- 1945년 전후의 미군 감축 규모에 대해서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7/02/28 16:08
키신저의 경고. 개디스에 따르면, 1945년 미국의 전쟁 승리 이후 미군의 감축 속도와 규모는 놀라울 정도였다고 한다. 물론, 미국이 핵무기를 독점하고 있다는 자신감도 작용했지만, 미국의 재래식 군사력이 사라지기 시작했다. 1945년 6월말, 미군에 복무 중이던 남성과 여성의 수는 1..
- 1945년 전후의 미군 감축 규모에 대해서
-
- 존 루이스 개디스, 봉쇄정책의 원리는?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5/09/09 15:35
장개석,모택동 그리고 스탈린! [냉전][봉쇄정책][조지 케넌][존 루이스 개디스] 냉전사의 대가인 존 루이스 개디스는 영국 이코노미스트와의 대담에서, 조지 케넌의 봉쇄정책의 원리에 대해 다음과 같..
- 존 루이스 개디스, 봉쇄정책의 원리는?
-
- 예일대 학생들은 냉전을 얼마나 알고 있는가?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5/07/29 11:21
[교육]수용력이 창의력을 이긴다! [냉전][역사교육] 다음은 존 루이스 개디스의 지적이다. 가을 학기마다 월요일과 수요일 오후가 되면 나는 ‘냉전의 역사’라는 주제로 예일대학 학생 수백 명에게 강의를 한다. 나는 강의를 하면서, 내가 설명하는 사건들 중에 어느 하나라..
- 예일대 학생들은 냉전을 얼마나 알고 있는가?
-
- "91년의 소련을 공룡에 비유하자면..." ^^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2/10/31 17:07
소련 붕괴 20주년. [소련] [소련 붕괴] "무슨 일이 있었는지 그려보기 위해서 위기에 빠진 공룡 트리케라톱스를 상상해보라. 겉으로 봐서는, 그 엄청난 크기나 거친 피부, 빳빳하게 세운 무기, 공격적인 자세 등 아무도 감히 대적할 마음을 품지 못할 정도로 충분히 위..
- "91년의 소련을 공룡에 비유하자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