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결정론(총 29개의 글)
'결정론' 관련 최근글
-
- [테넷] 새롭지 않지만 새로운 고전
-
타누키의 MAGIC-BOX by 타누키|2020/08/28 13:15
크리스토퍼 놀란이 SF영화인 테넷으로 돌아왔습니다. 워낙 어렵다는 평부터 들어왔기 때문에 걱정하면서 봤는데.SF작품들에 익숙하다면 새로운 영화는 아니네요. 다만 그러한 것을 영화로 연출한다는 점에서..
- [테넷] 새롭지 않지만 새로운 고전
-
- "시간은 선택의 자유를 잠식하는가?"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20/05/23 12:18
[54년]지압,디엔비엔푸 공격을 연기한 이유는? 데이비드 핼버스탬에 따르면, 대통령직을 인수한 린든 존슨은 베트남에 대한 선택의 기로에 놓였다. 1963년말과 1964년이 베트남 문제를 위한 골든타임이었다. 하지만 존슨 정부가 초기 몇 달 동안 내린 결정은 베트남의 현상유지를 하..
- "시간은 선택의 자유를 잠식하는가?"
-
- "이시와라 간지는 맑스주의자였는가?"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9/01/08 18:11
[36년] 서안 사변의 장개석과 스탈린? "이사와라 간지와 맑스주의?" 이시와라 간지의 미국과의 전쟁은 불가피하다는 주장은 역사적 결정론을 주장했다는 점에서, 맑스주의와의 유사성을 발견할 수 있다. 맑..
- "이시와라 간지는 맑스주의자였는가?"
-
- 아킬레우스의 선택,"영원한 생명이냐 명예인가?"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6/05/16 13:57
공감각적 공부란 무엇인가? <아킬레우스와 결정론 대 자유의지> 일리아드에서 호메로스는 “인간은 자신의 운명을 직접 선택할 수 있는 주체적인 존재라는 것을 보여준다.” [김길수, “영웅 아킬레우스의 선택”, 머니투데이, 2012년 1월 21일 –주소 :] -이러한 아킬레우..
- 아킬레우스의 선택,"영원한 생명이냐 명예인가?"
-
- 아킬레우스와 결정론 대 자유의지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6/05/16 12:20
운명의 역사가 있을까? <아킬레우스와 결정론 대 자유의지> 그런데 이런 아킬레우스의 죽음은 이미 예고되어 있었습니다. 아킬레우스가 트로이아 원정에 참가하기로 결정했을 때 그에게는 신탁이 주어집니다. 그 신탁은 “만일 네가 트로이아에 가면 엄청난 명예를 얻고 후세..
- 아킬레우스와 결정론 대 자유의지
-
- 키케로, 운명이란?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6/05/04 13:05
마키아벨리,"이탈리아는 위기다!" "운명은 강한 자를 돕는다." -키케로
- 키케로, 운명이란?
-
- 칼 포퍼, 현실주의의 문제점은?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6/03/28 11:27
"E.H. 카는 대독 유화론자 였다!" 현실주의의 한계란 무엇인가? 조지 오웰의 비판처럼, 현실주의가 불쾌한 현실을 수동적으로 인정할 수 밖에 없는 패배주의로 귀결될 수도 있다. 마키아벨리적 현실주의란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다시말해 마키아벨리의 현실..
- 칼 포퍼, 현실주의의 문제점은?
-
- 이사야 벌린이 결정론과 상대주의를 비판한 이유?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6/03/27 10:04
구글 지식의 한계? 이사야 벌린은 현대 세계의 가장 강력한 두개의 이데올로기가 존재한다고 했다 : 결정론과 상대주의 두 이데올로기는 인간이 가진 대부분의 윤리 혹은 정치적 확신에 반한다는 것이다. 두 이데..
- 이사야 벌린이 결정론과 상대주의를 비판한 이유?
-
- 이사야 벌린,"인간은 의자와 어떻게 다른가?"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6/03/26 04:25
구글 지식의 한계? E.H. 카의 <<역사를 무엇인가>>를 읽다보면, 이사야 벌린이 자주 언급된다. 비판적인 의미에서 말이다. 카의 역사란 무엇인가는 이사야 벌린의 "역사적 불가피성"이란 글에 대한 반론의 차원도 있다고 한다. 카와 벌린 논쟁의 쟁점..
- 이사야 벌린,"인간은 의자와 어떻게 다른가?"
-
- 헬레네에게 트로이전쟁의 책임을 물을 수 있는가?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6/03/24 17:28
아리스토텔레스, 시인이 역사가보다 위대한 이유는? 자유의지 대 결정론의 논쟁의 차원에서, 인간이 어떤 일에 대해서 책임을 가진다는 것은 자유의지의 존재를 전제하는 것이다. 자유의지, 즉 선택의 자유가 없다면 책임도 있을 수 없다는 것이다. 결정론, 즉 한편으로는 모든 ..
- 헬레네에게 트로이전쟁의 책임을 물을 수 있는가?
-
- 하이젠베르크의 한마디...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6/03/02 16:45
키신저의 경고. “과거에 대한 완전한 지식을 가지고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가는 질문은 더 이상 질문 자체가 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과거에 대한 완전한 지식이라는 것 그 자체가 모순이기 때문이다.”
- 하이젠베르크의 한마디...
-
- 헨리 키신저와 정신승리의 철학?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6/01/27 11:44
키신저의 경고. <헨리 키신저와 프리츠 크래머> [키신저][유물론][경제 결정론][관념론][이상주의][냉전][냉전전략] 1940년 헨리 키신저의 첫 스승이었던 프리츠 크래머 Fritz Kraemer 는 다음과 같..
- 헨리 키신저와 정신승리의 철학?
-
- 결정론과 자유의지에 대한 고대 그리스인의 생각?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5/07/11 11:53
운명의 역사가 있을까? [운명][결정론][자유의지] 운명은 결정된 것인가 아니면 운명은 인간의 개척대상인가? 이에 대한 고대 그리스인의 생각은 다음과 같았다고 한다. 가령 아모르고스의 세모니데스가 하는 말을 들어보자. “제우스는 존재하는 모든 것이 이루어지게끔 좌..
- 결정론과 자유의지에 대한 고대 그리스인의 생각?
-
- 운명의 역사가 있을까?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4/12/17 16:43
비르투 virtu [운명][결정론][자유의지] 운명은 결정된 것인가 아니면 운명은 인간의 개척대상인가? 운명에 역사가 있는가? 아니 정확히 말한다면 운명에 대한 사람들의 생각은 변해왔을까? 만일 우리가 위..
- 운명의 역사가 있을까?
-
- 감입쩍 통일론의 한계
-
'명랑노트' Season 10. STRATEGIST by 명랑이|2014/01/18 13:46
대전제의 실현 가능성 그들의 "과학적" 역사관에 의거한 감입쩍 통일론은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따라서 실현 가능성도 없다. 일단 북한이 자멸을 해야하는데 현 상태로는 그러한 일이 일어날 것 같지도 않고[1], 대한민국은 그것을 위한 적극적인 행동을 할..
- 감입쩍 통일론의 한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