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경종(총 92개의 글)
'경종' 관련 최근글
-
-
-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11-20 + 설민석의 조선왕조실록
-
시니어 이글루 by 신기루|2017/10/02 08:55
앞선 글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1~10권은 여기로. 11. 광해군 인내의 아이콘. 세자 16년. 임진왜란 때 분조(분리된 조정)을 이끌고 두각을 나타낸 후로도 10년. 폐위 19년7개월. 재위기간 15년보다 더 긴 세월을 인내속에 살..
-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11-20 + 설민석의 조선왕조실록
-
- 반란과 토벌
-
역사 그리고 핏빛 향기 by 블레이드|2014/11/25 07:15
박필현 ․ 이인좌 ․ 정희량을 중심으로 하는 반란 주도층은 상호 긴밀한 연대와 개별적인 공작을 통해 이른바 ‘무신당(戊申黨)’을 결성하는 데 성공했다. 서울에서는 이하(李夏) ․ 이사성(李思晟) ․ 민관효(閔觀孝) ․ 양명하(梁命夏) ․ 남태징(南泰徵) 등이 입..
- 반란과 토벌
-
- 경종의 독살설 2
-
역사 그리고 핏빛 향기 by 블레이드|2014/11/24 06:39
여기에 1725년 을사처분이 단행되어 신임옥사가 무옥으로 판명되었다. 그리고 그에 따라 소론의 과격파 김일경 ․ 목호룡이 처단됨으로써, 김일경의 정치적인 지론인 ‘남소탕평(南少蕩平)’은 원천적으로 분쇄되었다. 반면에 노론은 명분과 권력을 동시에 차지하는 일거양득의 ..
- 경종의 독살설 2
-
- 경종의 독살설
-
역사 그리고 핏빛 향기 by 블레이드|2014/11/18 06:43
경종의 급작스런 사망과 영조의 즉위로 치열하던 노소 당쟁은 점차 노론의 우세로 귀결되고 있었다. 이와 함께 영조와 노론 정권에 대한 남인과 소론의 반감은 정국을 일촉즉발의 상황으로 몰고 있었다. 1728년(영조4) 3월에 발생한 무신란은 영조와 노론에 대한 반감을 폭력적인 수..
- 경종의 독살설
-
- 을사처분
-
역사 그리고 핏빛 향기 by 블레이드|2014/11/04 08:02
1725년(영조1) 3월, 영조는 신임옥사를 무옥(誣獄)으로 규정하고, 김창집 ․ 이이명 ․ 이건명 ․ 조태체 등 노론 4대신을 신원하는 조처를 단행했다. 4대신들은 바로 영조의 세제 책봉과 대리청정을 주선하다 목숨을 잃은 노론의 원로들이었다. 김일경 ․ 목호룡이 던져 놓은 ..
- 을사처분
-
-
- 경종의 의문사
-
역사 그리고 핏빛 향기 by 블레이드|2014/10/21 08:07
노론 4대신의 자제들이 역모에 관련되어 있다 보니 대신들 역시 무사 할 수 없었다. 조태채의 사사를 마지막으로 4대신 모두가 죽임을 당했다. 그 외에도 170여 명의 노론계 인사들이 살육되거나 가혹한 형벌을 받았다. 노론이 정권을 잡은 후 최대의 참변이었다. 경종의 통치력이 미..
- 경종의 의문사
-
- 왕세제의 대리청정과 신축옥사 2
-
역사 그리고 핏빛 향기 by 블레이드|2014/10/20 07:45
불과 10여 일 사이에 대리청정 명이 수차례 번복되었다. 분명 비정상적이고 무리한 일이었다. 경종이나 세제를 위한다는 것은 허울좋은 명분에 불과했다. 그런 명분을 내세워 노론이 꾀한 것은 세력 기반의 확장이었다. 그러기에 당시 국왕을 지지하던 소론측보다 차후 확고한 기반을..
- 왕세제의 대리청정과 신축옥사 2
-
- 경종 독살설이 부른 무신란
-
역사 그리고 핏빛 향기 by 블레이드|2014/10/06 07:34
그러던 중 1728년(영조 4)에 무신란(戊申亂, 일명 이인좌의 난)이 일어났다. 무신란은 호남의 박필현(朴弼顯), 호서의 이인좌(李麟佐), 영남의 정희량(鄭希亮)이 주축이 되어 일어난 전국적인 규모의 반란이었다. 소론 강경파와 남인들로 구성된 주동자들은 경종 독살..
- 경종 독살설이 부른 무신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