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공리주의(총 66개의 글)
'공리주의' 관련 최근글
-
- thanos was right
-
DID U MISS ME ? by CINEKOON|03/07 16:41
"타노스가 옳았다" 아니, 씨바- 시간 여행하고 동료까지 희생시켜 가며 대전투에서 가까스로 승리해 전우주의 절반을 다시 살려냈건만 한다는 소리가 이따구냐? 이거 누가 썼어? 너냐? 피 좀 볼래? 아..
- thanos was right
-
-
-
- 기차선로 딜레마 문제에 대한 잡담.jpg
-
들어오면 안되는 이글루 by megatonjang|2016/10/17 23:11
사람 5명이 있는 선로와 반대편에는 한명이 있는 다른 선로가 있고, 저 멀리서 열차가 달려오고 있는데 당신 앞에는 그 열차의 선로를 바꿀수있는 레버가 있다. 당신은 5명을 구하기위해 선로를 변경하여 한명을 ..
- 기차선로 딜레마 문제에 대한 잡담.jpg
-
- 이사야 벌린,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할 수 있는가?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6/03/29 10:53
"E.H. 카는 대독 유화론자 였다!" 이사야 벌린에 따르면, 현실주의의 문제점들 중 하나는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한다는 것이다. 이는 공리주의와도 관련이 있다.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라는 목..
- 이사야 벌린,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할 수 있는가?
-
- 공리주의에 따른 도덕적 행동이란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6/03/03 11:54
마이클 샌델, 정의란 무엇인가. 한스 모겐소는 공리주의식 도덕적 행동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공리주의에 따른 도덕적 행동의 목표는 가능한 많은 만족을 달성하는 것, 즉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이다. 도덕적 행동이란 행동에 따라 예상되는 이익과 불이익을 의식적으로 저울질한..
- 공리주의에 따른 도덕적 행동이란
-
- [정의론] 공리주의
-
우켈켈 연구소 (이글루스 지점) by 우켈켈박사|2014/12/29 19:48
정의론에서 가장 먼저 다루는 이론은 공리주의입니다. 벤담의 너무나 유명한 말, '최대다수 최대행복'은 공리주의의 주요 논점을 다루고 있습니다. 공리주의에서는 인간을 행복(쾌락)을 추구하는 존재로 보고 있는데, ..
- [정의론] 공리주의
-
- 인생의 목적
-
On the outside corner, called strike three!! by 트레버매덕스|2014/09/12 00:02
인생의 목적이 쾌락이라면 31년 동안 인생의 쾌락은 대강 맛보았습니다. 그런 까닭에 이제는 영원한 쾌락을 얻기 위하여 우리 독립사업에 헌신하고자 상해에 왔습니다. (중략) 그리고 사진관으로 가서 기념사진을 찍을 때,..
- 인생의 목적
-
- 정치인의 거짓말을 바라보는 철학적 관점은?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4/08/04 14:36
마이클 샌델, 정의란 무엇인가. [공리주의][정치인의 거짓말] 공리주의적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이라는 목표가 약속,공정성,자유,인권,진실성이라는 가치와 충돌할 때 우리는 어떤 선택을 내려야 하는가? 다수결과..
- 정치인의 거짓말을 바라보는 철학적 관점은?
-
- 아마르티아 센, 공리주의는 불평등을 초래한다!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4/08/04 13:46
마이클 샌델, 정의란 무엇인가. [공리주의][아마르티아 센] 아마르티아 센은 공리주의가 불평등을 초래한다고 비판을 제기했다. 즉 그 결과에 찬성하는 사람에게만 좋은 결과가 될 뿐, 결과가 부당하다고 느끼는 사람은 무시당한다는 것이다. 가령, 당신에게 최고급 운동화..
- 아마르티아 센, 공리주의는 불평등을 초래한다!
-
- 공리주의식 자아와 칸트식 자아의 차이?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4/07/07 15:33
마이클 샌델, 정의란 무엇인가. 공리주의자들이 우리의 많은 욕망들을 하나의 단일한 욕망체계로 넣어 섞어버리는 반면에, 칸트식 자유주의자들은 인간의 분리성을 주장한다. 공리주의식 자아가 단순히 욕망의 총합으로 규정되는 반면, 칸트적 자아는 어느 순간 우연히 가지는 ..
- 공리주의식 자아와 칸트식 자아의 차이?
-
- 매킨타이어, 공리주의 비판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4/06/26 13:38
마이클 샌델, 정의란 무엇인가. [공리주의][매킨타이어] "만약 한 사회가 12명으로 구성된 상황에서, 10명이 가학성 변태성욕자이고, 그들은 나머지 2명을 고문하면서 쾌락을 느낀다면 어떻게 될까?..
- 매킨타이어, 공리주의 비판
-
- 존 스튜어트 밀 - 정의감의 근원
-
Read me, understand me, love me. by 달래허브|2014/06/17 02:26
밀은 우리가 정의감이라는 강한 의무의 느낌을 가지게 되는 이유를 추적한다. 밀에 따르면 모든 동물은 자신에게 해를 입히는 것에 대하여 보복 또는 복수심이라는 자연적 정서를 느끼게 된다. 인간 또한 마찬가..
- 존 스튜어트 밀 - 정의감의 근원
-
- 행복스트레스-8장 인간은 단순하지 않다
-
글쓰기는 삶을 정리하는 기술이다 by 시간여행자|2013/07/29 18:32
벤섬이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외치는 순간 최대 다수가 아닌 사람, 즉 소수자들의 행복은 무가치한 것이 되고 말았다. '행복'을 제대로 정의내리지 못한 것이다. 게다가 공리주의가 행복을 저울에 올려놓는 순간 행복은 그저 쾌락이라는 고깃덩어리가 되고 말았다. 정신적 쾌락이..
- 행복스트레스-8장 인간은 단순하지 않다
-
- 행복스트레스-4장 왜 모두 행복을 추구하는가
-
글쓰기는 삶을 정리하는 기술이다 by 시간여행자|2013/07/27 17:39
공리주의가 민주주의와 자본주의 뒤에서 은밀히 현세를 주도하고 있으며, 행복을 간판으로 내세우는 공리주의가 단순한 구호에 머물지 않고 현실의 제도를 통해 단단히 기반을 내리고 있다는 것이다. 그들이 내세우는 구호는 이런 것들이다. "모두가 행복을 추구한다"..
- 행복스트레스-4장 왜 모두 행복을 추구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