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과학정책(총 21개의 글)
'과학정책' 관련 최근글
-
- A smart boy.
-
餘分D: physics and fun by ExtraD|2011/03/31 16:08
어렸을 때 `블루백스 시리즈'로 나온 어느 과학책에서 흥미로운 그림을 본 적이 있습니다. 어느 원시인이 작대기로 우주선을 그리고 있는 모습의 그림이었는데, 그림 아래에 "왜 이렇게 머리가 좋아진 것일까?&quo..
- A smart boy.
-
- 지켜야 할것은 지키지 않으면 곤란합니다.
-
태양의 동쪽 달의 서쪽 by Charlie|2010/05/14 10:48
여기 규칙 A가 있다고 합시다. 음. '이 E 동산에 있는 다른 과일은 다 먹어도 되는데 이 나무에 열린 과일만은 먹으면 안돼!' 정도가 논란의 여지가 넘치는게 딱 적당하겠군요. 어느날 E 동산에 관광객이 찾아왔어요. (체험..
- 지켜야 할것은 지키지 않으면 곤란합니다.
-
- [추가 부언] 우주 관광객이 되기를 거부한 고산
-
餘分D: physics and fun by ExtraD|2010/05/13 22:13
아무리 좋게 포장해도 관광객으로 보였던 <대한민국최초우주인 프로젝트>에서 중도하차하고 이소연씨에게 그 자리를 양보해야만 했던 고산씨 인터뷰가 인상적이다. “나는 이 나라에 우주인이 되려고 왔지 우주 관..
- [추가 부언] 우주 관광객이 되기를 거부한 고산
-
- 소크(Salk) 연구소는 기초과학 연구, 탁월성 부문에서 세계 최고 기록
-
내리는 이슬 속의 바다 by 이슬바다|2009/11/25 15:42
“연구 활동은 의무가 아닌 기회” 기초과학 연구, 탁월성 부문에서 세계 최고 기록 2009년 11월 25일(수) 창의성의 현장을 가다 1963년에 설립된 미국 샌디애고 시의 소크(Salk) 연구소는 분자생물학과 신경과학, 식물학 등에서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 있는 연구소다. 최근 EU가 ..
- 소크(Salk) 연구소는 기초과학 연구, 탁월성 부문에서 세계 최고 기록
-
- Earth 2100
-
스폭 by 스폭|2009/06/03 22:20
미국 ABC방송에서 기획보도를 새로운 포맷으로 어젯밤 하였다. 2100년의 지구의 모습을 2009년 6월 2일 태어난 사람의 입장에서 한 것이다. 기본적으로는 지구 환경의 파괴를 가져온 인간의 멸망사라고나 할까. 내가 2100년의 지구를 보지는 못하겠지만, 2015년의 지구의 모습도 상당히 ..
- Earth 2100
-
- 한국이 노벨 과학상 못받는 이유
-
餘分D: physics and fun by ExtraD|2009/05/20 08:23
19일 교육과학기술부가 공개한 정책연구보고서 '세계수준 과학자 배출과 창의형 과학기술 환경 조성'에 따르면 국내에서 과학기술에 대한 투자는 증가하고 있으나, 연구원 수, 논문의 질적 수준은 선진국 수준에 크게 못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출처: 한국이 과학 노벨상 못받는..
- 한국이 노벨 과학상 못받는 이유
-
- 과학자는 연구에 미쳐야
-
餘分D: physics and fun by ExtraD|2008/11/23 10:41
관련 기사 읽기:'과학자, 연구에 미쳐야' 'MB 주문'에 과학계 속앓이, 대덕넷 당연하게도 과학자가 연구에 매진할 때 연구의 결실을 맺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한국의 많은 과학자들은 그들이 연구에만 매진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길 진심으로 희망하고 있다. 그런데 위 관..
- 과학자는 연구에 미쳐야
-
- 2008년 특정기초 (학제기초) 신규사업 선정
-
끈과 브레인 by 루이|2008/08/29 14:00
전체 214과제 선정. 그중 "수리과학" 분과는 29과제가 선정되었다. 수리과학 분과란 수학, 통계학, 물리학, 지구과학 및 천문학까지 포함. 연구기간은 원래 3년 또는 5년으로 계획해서 지원하게 되어있었는데 선정 결과는 수리과학 29팀 중 하나만 5년짜리, 나머지는 ..
- 2008년 특정기초 (학제기초) 신규사업 선정
-
- Academic Colonialism?
-
끈과 브레인 by 루이|2008/08/09 13:18
아는 사람은 이미 잘 알고 있는 사실이지만, APCTP에서 상당히 흥미로운 "Job Opening"이 났다. 아시아 태평양 이론 물리 센터(APCTP)는 1990년대에 노벨상 수상자인 C.N. Yang을 초대 소장으로 해서 아시아, 환태평양 지역의 이론물리 연구의 중심이 되..
- Academic Colonialism?
-
- The Usage of IF
-
끈과 브레인 by 루이|2008/08/09 11:41
외국의 학자와 이야기하면 Impact factor니, SCI 저널이니 하는 것들을 오히려 잘 모르고들 있는데, 국내에서는 이미 Impact factor가 대학이나 연구소에서 연구 결과의 질을 측정하기 위한 거의 유일하고 절대적인 지표로 널리 사용되고있다. 다만, 상위 몇 개 대학은 IF를 넘어..
- The Usage of IF
-
- 국가수리과학연구소의 해체를 반대합니다.
-
餘分D: physics and fun by ExtraD|2008/05/11 19:16
뜻있는 분들의 동참을 기대합니다. 국가수리과학연구소의 해체를 반대합니다.
- 국가수리과학연구소의 해체를 반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