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교육학(총 138개의 글)
'교육학' 관련 최근글
-
- 교육 심리학 - 학업평가 방법 (선다형 문제)
-
여우의 일상 by 여우|2019/10/07 11:55
선다형 문항 의문형이나 빈칸이 있는 문장형의 문항과 2개 이상의 선택지가 있는 문항. 오답도 정답으로 보일 정도의 매력이 있어야 한다. - 장점 채점을 단순, 기계적을 할 수 있다. 채점결과에 신뢰성이나 객관성이 높다. 답지의 내용을 수정하면 난이도 조절이 쉽다 - 단점 양질의..
- 교육 심리학 - 학업평가 방법 (선다형 문제)
-
- 나오마코 - 여전히 멋진 선배, 여전히 귀여운 후배
-
Free! Style by 코쿠토|2018/08/19 17:25
과거 마코토가 왜 수영을 하는지에 꼭 집어 말해 주었던 나오와 그것에 흔들리다가 분명 하루카 때문에 수영하는건 맞지만 지는것은 역시 분하다는걸 깨닫고 자신 스스로도 수영 자체를 좋아한다는걸 깨닫게 되죠...
- 나오마코 - 여전히 멋진 선배, 여전히 귀여운 후배
-
- 반도의 흔한 교육학 강사....jpg
-
섹사의 변소 by 섹사|2017/01/10 18:05
오프라인 대학 설명회 가서도 스트레칭 하고 시작함ㅋㅋㅋㅋㅋㅋ
- 반도의 흔한 교육학 강사....jpg
-
-
- 교육부 나향욱의 전공은?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6/07/12 10:23
교육부의 나향욱이 살려낸 영화는? 유은혜 의원에 따르면, 나향욱 기획관은 연세대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2008년부터 3년간 미국 아이오와 주립대에서 박사과정(고등교육 전공)을 수료했다. 그리고 이 유학비와..
- 교육부 나향욱의 전공은?
-
- 교육부의 나향욱을 위한 교육학 강의는?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6/07/11 11:05
교육부의 나향욱이 살려낸 영화는? 교육부의 나향욱의 이번 망언을 보면, 그가 교육학의 기본원리도 모른다고 볼 수 밖에 없다. 교육에 대해서 개념적으로 모르는 자가 교육정책의 주요 결정자라는 점이 우리 교육의 어두운 현실을 말해준다. "교육의 기회균등"은 근대..
- 교육부의 나향욱을 위한 교육학 강의는?
-
- 프레이리, 은행저금식 교육이란 무엇인가?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5/02/25 12:27
프레이리는 교사가 일방적으로 말하고, 학생은 그 내용을 기계적으로 외우는 설교식 교육을 비판했다. 그는 이런 것을 은행저금식 교육 개념이라 비판했다. banking concept of education 즉, 교사는 학생에게 정보 지식을 주고 학생은 그것을 받아 머릿 속에 채워 넣고 ..
- 프레이리, 은행저금식 교육이란 무엇인가?
-
- 피아제의 한마디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5/02/05 05:42
[교육]수용력이 창의력을 이긴다! [장 피아제] "교육의 주요 목표는 다른 세대가 했던 것을 그대로 반복할 수 있는 인간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것을 할 수 있는 인간을 창조하는 것이어야 한다." -장 피아제
- 피아제의 한마디
-
- 서울대생의 한마디...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5/02/04 16:10
[교육]수용력이 창의력을 이긴다! "저는 저학년 때는 대학 시험에 대해 약간 잘못된 생각을 했던 것 같아요. 창의적인 답을 해야지 싶어서 제 의견을 독창적으로 썼다가 학점이 망가졌거든요. 그게 아니라, 고등학교 때처럼 암기를 주로 해야만 한다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 서울대생의 한마디...
-
- [교육]수용력이 창의력을 이긴다!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5/02/04 11:18
박근혜 대통령을 위시해서 거의 모든 국민이 우리 사회가 창의력있는 인재를 필요로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교육현장의 현실을 보면, 우리사회의 최고인재는 창의적인 것과는 거리가 먼 학습법으로 상위 1% 엘리트가 되고 있다. 서울대학교의 최우등생의 학습법의 핵심은 무..
- [교육]수용력이 창의력을 이긴다!
-
-
- 루소, 에밀 중에서...2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4/03/31 14:20
마르크스의 한마디. 확실치 않은 미래를 위해서 현재를 희생하는 저 잔인한 교육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할 것인가? 어린이들을 온갖 구실로 속박하고, 결코 누릴 수 없을지도 모르고 언제 도달할지도 모를 그런 행복에 대비시키기 위해서 어린이를 불행하게 만드는 일부터 시작하는 ..
- 루소, 에밀 중에서...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