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군사학(총 43개의 글)
'군사학' 관련 최근글
-
- 전략적 깊이 Strategic depth 란 무엇인가?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21/12/22 05:06
전략적 깊이란 군사학의 용어이며, 전선,전장과 산업 핵심시설,핵심 도시,인구,군사생산지 간의 거리를 의미한다. 전략적 깊이를 활용하면, 침략국은 승리가 늘어남에 따라, 보급상의 궁지에 몰릴 수 있다. 전략적 깊이는 중국,러시아 같은 나라에서 중요하다.
- 전략적 깊이 Strategic depth 란 무엇인가?
-
- 책을 더 샀습니다.
-
오늘 난 뭐했나...... by 라피니|2018/07/23 19:37
이번에도 책을 더 샀습니다. 제공권 입니다. 전쟁 관련 이쪽 도서들이 정말 잘 나온게 많더라구요. 알자스 라는 책 입니다. 이 책은 정말 그냥 걸려서 샀습니다. 뭐, 그렇습니다. 결국 예정에 없던 책들을 좀 사게 되네요.
- 책을 더 샀습니다.
-
-
- 전서 비둘기 이야기: 비둘기, 전쟁 훈장을 받다
-
전격전 by 김고기|2013/02/22 01:57
1. 들어가며 사람과 친밀한 동물이라고 하면 흔히들 개와 말을 꼽는다. 하지만 수십여 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비둘기가 이 자리에 있었을 것이다. 오늘날에야 도심의 흉물 '닭둘기'로 유해야생동물로 지정되기까지..
- 전서 비둘기 이야기: 비둘기, 전쟁 훈장을 받다
-
- 이런...또 논문 읽다가 눈 버렸다...
-
안티 강단사학하는 Rightwinger by 천랑성주|2011/07/05 08:41
저번에는 이민이 영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제목만 보고 경제학 논문인줄 알고 읽었다가 영국의 유명한 인종차별주의자가 쓴 것이라는 것을 알고는 '18.눈버렸다.'라고 하였다. 이번에는 어떤 영국의 인류학자가 쓴 "US Militarization of Africa: What Anthropologist..
- 이런...또 논문 읽다가 눈 버렸다...
-
- (3) 제국과 전쟁
-
안티 강단사학하는 Rightwinger by 천랑성주|2011/07/04 11:14
제국은 왕국과 구분되며 국가가 팽창하여 이루어지는정치체지만 ‘국가’가 제국으로 화(化)하는 ‘분명한 경계선’을 찾기는 힘들다. Michael Doyle에 의하면 고대에서는 힘이 있는 정치체가 국력이비슷한 다른 세력을 만나거나 보다 강한 세력에 패하여 복속되지않는 한,..
- (3) 제국과 전쟁
-
- 논문발췌 - (2) 제국의 구조와 정치역학
-
안티 강단사학하는 Rightwinger by 천랑성주|2011/06/24 08:42
여기에서는 일반적인 국가와 제국의 차이에 역점을두어 설명을 하고자 한다. 제국은 흔히 ‘국가’와 동일시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지적은 현대적인 국가(State)의 관점에서 제국을 바라보기 때문에 발생하는 편견이다. 근대 이후에 등장한 주권국가의 개념을 고대에 투사..
- 논문발췌 - (2) 제국의 구조와 정치역학
-
- 전쟁에 대한 두 가지 시각 - (2) 전쟁과 사회 접근법
-
안티 강단사학하는 Rightwinger by 천랑성주|2011/06/10 08:51
2) 전쟁과 사회 접근법(War and Society Approach) ‘전장법’이 쟁투의 승패의 원인, 나아가 이를 행하는 집단(대개는 국가)의 정치적인 목적을 분석함에 중점을 둔다면 ‘전쟁과 사회 접근법(이하 전사법)’은 보다 광범위하다. ‘전쟁’을 전투나 정책의관점에서..
- 전쟁에 대한 두 가지 시각 - (2) 전쟁과 사회 접근법
-
- 전쟁에 대한 두 가지 시각 - (1) 전쟁과 장군 접근법
-
안티 강단사학하는 Rightwinger by 천랑성주|2011/06/09 14:04
1) 전투와 장군 접근법 (Battles and Generals Approach) 이러한 현상은 서구에서 ‘전쟁사’가 하나의 체계적인 학문분야로 자리잡을 당시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정책의 연장으로서의 전쟁’ 또는 ‘국가적 전쟁’ 개념에 경도되었기 때문이다. 클라우제비츠 <전쟁..
- 전쟁에 대한 두 가지 시각 - (1) 전쟁과 장군 접근법
-
- 본인의 논문 발췌 - 전쟁을 연구하는 두 가지의 시각
-
안티 강단사학하는 Rightwinger by 천랑성주|2011/06/09 10:02
1. 전쟁을연구하는 두 가지의 시각 인류역사가 곧 전쟁사라는 말은 많은 인구에 회자되고 있지만 이 말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정확히 알려져 있지는않다. 전쟁이 인류사에 ‘기여’하였다는 언급은 일반적인 경우 거부감을 야기한다. 그러나 인간은 서로와 경쟁하며 살아간다. 어떤..
- 본인의 논문 발췌 - 전쟁을 연구하는 두 가지의 시각
-
- 네이버 블로그에서 어떤 얼치기 전쟁사빠를 보고
-
안티 강단사학하는 Rightwinger by 천랑성주|2011/03/11 10:56
이 분이 보여주신 밀리터리빠가 되어가는 과정중 초기에서의 여러 증세 (1) 무기스펙 외우다가 전쟁사 서적쪽으로 빠져듭니다. 서양전쟁사 위주의 책을 읽으니 약간의 지식이 쌓입니다. 일반인에비해서 엄청 많이 아는 것..
- 네이버 블로그에서 어떤 얼치기 전쟁사빠를 보고
-
- 연개소문의 여동생 연개수영은 실존인물이다?
-
재야사학아닌 안티 강단사학 by 천랑성주|2010/09/07 08:43
(소설가 황원갑님의 블로그에서 퍼 왔습니다. 고-당 전쟁에 대해서 시사하는 점이 많다고 생각이 되는군요) 원기사 주소: http://blog.joins.com/media/folderListSlide.asp?uid=hwang450915&folder=13&list_id=11302787 연수영은 실존인물이다 요동은 요하..
- 연개소문의 여동생 연개수영은 실존인물이다?
-
- 조선의 왕권과 병권 (5) - 결론
-
재야사학아닌 안티 강단사학 by 천랑성주|2010/08/19 17:25
결론조선은 지금까지 숭문천무(崇文賤武)의 나라로 인식이 되었다. 초기를 제외하고는 그 정치는 성리학의 해석차이로 인한 당쟁으로 점철되었다는 것이 지금까지의 인식이다. 특히 그 권력의 향배는 유교적 ..
- 조선의 왕권과 병권 (5) - 결론
-
- 군사학 관련 서적
-
정확도가 떨어지는 잡학다식 : The 2nd Stage by avantgarde|2010/08/16 14:59
1. 전쟁의 탄생 : 누가 국가를 전쟁으로 이끄는가. KDC 392.19 2. 무엇이 현대전을 움직이는가. KDC 392.1 3. Made in War : 전쟁이 만든 신세계 - 전쟁, 테크놀로지 그리고 역사의 진로. KDC 392.1 플래닛미디어에서 나온 책들임. 남산도서관 KDC 구분표 참조.
- 군사학 관련 서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