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냉전전략(총 12개의 글)
'냉전전략' 관련 최근글
-
- 53년 아이젠하워, "봉쇄냐,롤백이냐?"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20/05/29 12:14
[54년]지압,디엔비엔푸 공격을 연기한 이유는? 아이젠하워와 덜레스 봉쇄가 선을 그리고 선을 넘지 못하게 막는 것이라면, 롤백은 적의 선 안으로 침투해서 반격하는 것이다. 봉쇄가 방어적이라면, 롤백은 ..
- 53년 아이젠하워, "봉쇄냐,롤백이냐?"
-
- 월트 로스토우와 헨리 키신저의 차이는?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7/04/04 07:12
키신저의 경고. 정치에 대한 정의의 차이가 어떻게 외교정책의 차이로 귀결될까? 정치는 과학인가, 예술인가? 퍼거슨의 키신저 평전에 따르면, 미국 외교정책에 대해서 키신저는 전임 국가안보 보좌관 월트 로스토우의 정책에 비판적이었다. 두 사람간에는 여러가지 입장 차이가 ..
- 월트 로스토우와 헨리 키신저의 차이는?
-
- [전략] 스탈린과 키신저의 사상적 차이는?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7/03/27 11:31
키신저의 경고. 힘에 대한 스탈린과 키신저의 관점 차이는 유물론 대 반-유물론의 대립이라 할 수 있다. 전자가 물질 중심의 철학이라면, 후자는 정신 승리의 철학이었다. 스탈린은 다음과 같이 발언한 적이 있다. 교황? 그는 몇개 사단을 가지고 있지?" The Pope! How ma..
- [전략] 스탈린과 키신저의 사상적 차이는?
-
- 키신저, 봉쇄정책의 역설은 무엇인가?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7/03/16 03:58
키신저의 경고. 키신저에 따르면, 조지 캐넌이 설계한 봉쇄정책의 기본 전제는 미국이 힘을 모을 동안 소련과의 협상을 이후로 연기한다는 것이었다. 이후 미국은 힘의 우위를 기초한 소련과의 평화를 도모한다는 것이었다. 그런데, 키신저에 따르면, “봉쇄정책을 시작할 바로 ..
- 키신저, 봉쇄정책의 역설은 무엇인가?
-
- 1950년 1월의 애치슨 연설과 모택동과 스탈린의 반응?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7/03/04 00:48
키신저의 경고. 1950년 1월 12일에 미국 국무장관 딘 애치슨의 연설, 즉 “아시아의 위기 : 미국 정책의 한 시험대”는 한국을 미국의 태평양 방위선 밖에 놓음을 통해, 북한의 남침 구실을 만들어 주었다는 비난을 ..
- 1950년 1월의 애치슨 연설과 모택동과 스탈린의 반응?
-
- 1947년 딘 애치슨의 묵시록적 유럽관?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7/03/02 14:30
키신저의 경고. 1947년 2월 당시 딘 애치슨은 미국 국무차관이었다. 2월말, 영국 정부가 미국에게 영국이 더이상 그리스를 지원할 수 없다고 통보해 왔다. 미국은 이에 대한 대책 수립에 나섰다. 2월 27일, 트루먼은 의회 지..
- 1947년 딘 애치슨의 묵시록적 유럽관?
-
- 트루먼 독트린과 미국 국방예산의 모순...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7/03/02 11:18
키신저의 경고. 1947년 3월 12일 트루먼 독트린은 대통령 스스로 "미국 대외정책의 일대 전환점"이었다고 믿었던 사건이었다. 트루먼은 다음을 공약했다. “나는 무장한 소수나 외부압력에 의한 정복..
- 트루먼 독트린과 미국 국방예산의 모순...
-
- 슈펭글러와 폴 니츠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6/04/03 15:07
제국의 몰락. 키신저 전기작가 아이작슨에 따르면, 오스발트 슈펭글러는 키신저에게만 영향을 준 것이 아니었다.냉전초기의 냉전전략가 폴 니츠도 슈펭글러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이다. "슈펭글러는 폴 니츠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1930년대말에 니츠가 월스트리트의 직장을 ..
- 슈펭글러와 폴 니츠
-
- 키신저, 미국 냉전전략의 잃어버린 15년?-1961년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6/01/31 23:49
키신저의 경고. 키신저는 1961년 <<선택의 필요>>를 펴냈다. Kissinger, The Necessity for Choice; Prospects of American Foreign Policy,Harper (1961) 이 책은 61년 당시의 시대 분위기를 보여주는데, 미사일 격차 논쟁 Missile gap 이 한창이던 ..
- 키신저, 미국 냉전전략의 잃어버린 15년?-1961년
-
- 키신저, 도서국가 미국의 생존전략은?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6/01/29 16:03
키신저의 경고. 키신저는 1955년 4월에 포린 어페어스에 기고한 군사정책과 회색지역의 방어라는 논문에서 지정학적 안보 전략에 의거, 도서국가인 미국은 유라시아 대륙에 대한 균형자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즉 유라시아 대륙이 단일 세력, 특히 소련 같은 적대 세력의 헤게모..
- 키신저, 도서국가 미국의 생존전략은?
-
- 헨리 키신저와 정신승리의 철학?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6/01/27 11:44
키신저의 경고. <헨리 키신저와 프리츠 크래머> [키신저][유물론][경제 결정론][관념론][이상주의][냉전][냉전전략] 1940년 헨리 키신저의 첫 스승이었던 프리츠 크래머 Fritz Kraemer 는 다음과 같..
- 헨리 키신저와 정신승리의 철학?
-
- "냉전 초기,스탈린은 방어적이었다!"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5/09/14 12:25
장개석,모택동 그리고 스탈린! 냉전 초기 스탈린의 대외전략은 공격적이었는가, 방어적이었는가? 후자였음을 보여주는 사례들 중 하나가 1947년 9월의 코민포름의 결성이다. 코민포름(Cominform)은 "..
- "냉전 초기,스탈린은 방어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