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대중(총 137개의 글)
'대중' 관련 최근글
-
-
- [조커] 그를 완성한 것
-
타누키의 MAGIC-BOX by 타누키|2019/10/03 12:54
솔직히 중반까지는 웃어야 사는 남자정도랄까 호아킨 피닉스의 열연으로 베니스의 황금사자상을 받았나 싶었는데 마지막에서.진짜 조커를 만든건 누구인가라는 점을 대담하게 그려내는게 진짜 마음에 들었네요...
- [조커] 그를 완성한 것
-
- 마한,미서전쟁 그리고 대중의 문제?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9/03/08 14:10
[36년] 서안 사변의 장개석과 스탈린? 알프레드 마한의 해양사상에 근거한 해군전략을 당시 미국 대중은 어떻게 수용했을까? 마한에 따르면, 미서전쟁에서 미국 대중은 자신의 해상 전략원칙에 대한 조금의 이해도 보여주지 않았다. 여론, 특히 신문은 미국 해안에 대한 적 해군이..
- 마한,미서전쟁 그리고 대중의 문제?
-
- 이광수와 민중의 문제?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9/03/02 10:38
[36년] 서안 사변의 장개석과 스탈린? 춘원 이광수는 민족개조론 발표 한 달 전, 1922년 4월 개벽에 르 봉의 민족심리학 제1절을 번역하여 게재했다. 여기서 눈에 띄는 번역은? "어떤 사상의 지배를 받아 이를 전파하기 위해 물불을 가리지 않는 무식한 민중의 손으로 된 것이다...
- 이광수와 민중의 문제?
-
- 이광수와 귀스타브 르 봉?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9/03/02 09:36
[36년] 서안 사변의 장개석과 스탈린? 한 논문에 따르면, 이광수가 군중심리학의 귀스타브 르 봉에 관심을 가졌다고 한다. 그렇다면, 이광수가 군중의 대두에 대해 어떻게 인식했는지가 궁금해진다. 르 봉의 군중이란, 군중의 특성은 쉽게 흥분하고 무책임해지며 자주 난폭해질 ..
- 이광수와 귀스타브 르 봉?
-
- [통제파] 일본 파시즘과 혁신 우파?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9/02/19 23:27
[36년] 서안 사변의 장개석과 스탈린? <나가타 데쓰잔- 일본 육군 통제파의 대부, 그는 미래지향적 파시즘을 주장하는 혁신 우파였다.> 태평양전쟁을 배경으로 하는 전쟁 영화에서,칼을 빼어들고 "덴노 헤..
- [통제파] 일본 파시즘과 혁신 우파?
-
- 기승전 개인주의 권유
-
냥뱃살의 이글루입니다 by 냥뱃살|2018/07/30 05:29
오늘 한 얘기 중에 의미있었던 부분인거 같아 기록해둔다 세상 돌아가는 얘기를 나누다가 여성 혐오가 화제로 나왔다 얘기는 흐르고 흘러 된장녀니 김치녀니 하는 말이 나왔던 시점까지 거슬러 올라갔다 이때 이미 여성 혐오에 대한 우려가 진지하게 제기되었어야 하는데 너무 늦은 감..
- 기승전 개인주의 권유
-
- 파시즘은 대중기반을 필요로 하는가?
-
대한민국 영공을 방위하는 가장 높은 힘인 전위대의 비행단 by 전위대|2017/06/27 20:36
파시즘 개념을 정의하기 위해선 파시즘 운동과 대중기반은 파시즘의 본질적 구성요소인지, 그렇지 않으면 대중기반을 가진 파시즘은 단지 파시즘의 한 유형을 나타내는 것에 불과한가 하는 문제이다. 이 문제는 또한 파시즘을 다른 극우 권위주의 세력-체제와 구별하는 문제에 해..
- 파시즘은 대중기반을 필요로 하는가?
-
- 파시즘의 대중기반에 대한 고찰
-
대한민국 영공을 방위하는 가장 높은 힘인 전위대의 비행단 by 전위대|2017/06/27 20:22
1. 양적인 관점에서 보면, 한 체제의 대중기반은 클 수도 있고 작을 수도 있다. 지지자가 없는 정치체제는 없고, 더욱이 독재체제로부터 이득을 보는 집단은 항상 존재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지지자만 있고 반대자가 없는 정치체제도 없다. 여기에서 논의되는 파시즘 체제는 강력..
- 파시즘의 대중기반에 대한 고찰
-
- [민주주의]엘리트의 위기는 전세계적 현상인가?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6/09/19 11:54
엘리트 : 실패 서양 민주주의에서의 , 일련의 선거에서 전통적 지도층이 패배를 맛보고 있다. 그 배경은 무엇일까? 프랑스 파리 주간지 쿠리에엥테르나쇼날 보도 9월 15일 2016년 엘리트에 맞선, 민주주의의 곤경 ..
- [민주주의]엘리트의 위기는 전세계적 현상인가?
-
- 미국헌법, 민주주의냐 공화국이냐?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6/07/24 04:50
"가난한 자들의 투표권 제한을 위한 변론" “민주주의와 공화국” 알렉산더 해밀턴은 “인간은 야심을 품고 있으며, 앙심을 갖고 있고, 그리고 탐욕스럽다”고 쓰고 있다. 그것이 바로 제임스 매디슨이 사람들이 “개개인별로 정부활동을 하는 직접 ”민주주의“ 대..
- 미국헌법, 민주주의냐 공화국이냐?
-
- 마키아벨리,"대중은 노예다!"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6/04/27 16:00
마키아벨리,"이탈리아는 위기다!" <마키아벨리와 대중> 마키아벨리는 당대의 피렌체 대중을 어떻게 보았을까? 김상근에 따르면 다음과 같았다. 마키아벨리는 실제로는 99%의 범주에 속하는 대중의 일원이었음 에도 불구하고, 일반 대중의 보편적인 속성에 ..
- 마키아벨리,"대중은 노예다!"
-
- 스피노자, 대중 masses에 대하여...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5/11/11 16:55
스피노자의 파문. 스피노자는 <신학정치론>을 다양한 독자를 위해 썼지만, 대상에서 제외된 이들이 있었는데, 그들이 바로 일반 대중이었다. 스피노자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나는 일반 대중 vulgus 이 공포보다도 미신으로부터 자유로워지기가 더 어렵다는 것을 알고 있..
- 스피노자, 대중 masses에 대하여...
-
- 루소,다중 multitude 과 인민의 차이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4/06/10 15:50
[루소][다중][인민] 다음은 오근창의 정리다. 루소에 따르면, 자연상태에서 개인은 비사회적이고 무도덕한 존재들이기 때문에 공동의 삶에 적합한 존재로 거듭나야 한다. 이렇게 다중에서 인민으로 이행하는 과정이 사회계약이다. 다중 multitude은 기존 번역본에서 대중..
- 루소,다중 multitude 과 인민의 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