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데리다(총 82개의 글)
'데리다' 관련 최근글
-
- '부암동 복수자들', 가족보다 나은 '남' 들과의 통쾌..
-
꿈은 이루어진다 by 닥블루|2017/11/17 13:52
새로운 해체주의의 신호탄인가? tvn 수목드라마 '부암동 복수자들'은 마지막회까지 뻔한 이야기를 거부했다. 인내하며 유지해야만 했던 '가족'의 존엄은 '부암동 복수자들'을 통해 그 정의를 달리하게 된 것이다. 재벌가 혼..
- '부암동 복수자들', 가족보다 나은 '남' 들과의 통쾌..
-
- 김덕희, 낫이 짖을 때, 난 글을 읽을 줄 모른다.
-
본색 서재 by bonsec|2016/09/21 08:40
오늘은 김덕희의 '낫이 짖을 때'를 읽었다. 김덕희 작가는 이 소설로 처음 알게 되었는데, 근래 읽은 작품 장 가장 좋았다. 고백하자면, 이 작품을 손에 집어들었을 때 작품 제목을 '낫이 짖을 때'가 아니라 '낮이 짖을 때'로 잘못 읽고서, 대낮의 대지의 부르짖음을 생각하며 읽기 시..
- 김덕희, 낫이 짖을 때, 난 글을 읽을 줄 모른다.
-
- 오 맙소사 책을 읽어버리고 말았다
-
哲學本色 by 철학본색|2016/05/16 21:43
매일신문에 내일 자로 나가는 글이다. 지면에 담을 수 있는 글보다 길었는지 글 후반부에 마지막 몇 문장이 잘려 버렸다. 아쉽다. 신문사에 보낸 글과 신문사 링크를 같이 붙여둔다. <오 맙소사, 책을 읽어버리고 말았다..
잘라라기도하는그손을, 데리다, 사사키아타루, 루터, 기도
- 오 맙소사 책을 읽어버리고 말았다
-
-
- 철학하는 수레바퀴 – 데리다[2] : differance를 ..
-
수레바퀴의 잉여력 해소 공간 by 수레바퀴|2013/01/14 18:14
데리다 철학을 논하기에 있어서 차연이라는 키워드와 해체주의라는 키워드가 많이 언급되는데 앞서 글에서 이야기했듯이 데리다는 우리가 본질을 논하기 이전에 결국 본질을 논하는 틀이 우리의 언어와 사고방식에 갇쳐있기..
- 철학하는 수레바퀴 – 데리다[2] : differance를 ..
-
- 철학 하는 수레바퀴 – 데리다[1] : 거짓 틀을 부정하..
-
수레바퀴의 잉여력 해소 공간 by 수레바퀴|2012/11/29 01:24
현대철학사의 조류를 따라 가다보면 세상을 두 가지로 나눠서 보는 시각이 존재한다. 정신과 육체, 이상과 현실 . , 우리는 이런 시각, 이런 철학에 익숙해져있다. “이성을 따라갈것이냐 본능을 따라갈 것이냐”, “..
- 철학 하는 수레바퀴 – 데리다[1] : 거짓 틀을 부정하..
-
-
- 현대건축의 철학적 모험 - 정용순
-
공간 그리고 디자인 - 'Both And' by haidy|2011/07/23 22:16
포스트모던건축 이후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는 '현대건축'(Contemporary Architecture) 그것의 '시작'과 '전개과정' 그리고 그것을 형성하는 '철학적 배경'까지 내 머릿 속에 흩어져 있던 지식의 파편들이 이 하나의 책으..
- 현대건축의 철학적 모험 - 정용순
-
- 근원을 부정한 데리다?
-
변칙녀 by 변칙녀|2010/09/12 22:08
"애초에 근원으로서의 무의식이 있는 것도 아니며, 그 자체로 이해될 수 있는 <순수한> 무의식의 원형적 의미도 존재하지 않는다. 오로지 잠복기를 거쳐, 사후적으로 트라우마라는 하나의 증상 속에 여러 사건과 뒤섞여 있는 무의식이 있을 뿐이다. 따라서 프로이트가..
- 근원을 부정한 데리다?
-
- 해체는 거리에 나올 수 있는가?
-
differance by 경마장|2010/03/15 22:17
해체는 거리에 나올 수 있는가? 자크 데리다, 『마르크스의 유령들』, (진태원 옮김, 이제이북스, 2007) 하나 또는 둘 커비 딕Kirby Dick, 에이미 지링 코프만Amy Ziering Kofma이 만든 데리다에 관한 다큐멘터리 <데리다Derrida(2002)>의 초반부에는 데리다가 동..
- 해체는 거리에 나올 수 있는가?
-
- Jacques Derrida
-
ksammy's Erewhon by ksammy|2010/01/17 22:13
어떤 영화배우보다도 더 멋지심 꺄악! 어떻게 이렇게 위대한 철학자가 이렇게나 멋있을 수 있단 말입니까! 잘생겼어. 멋있어. 언빌리버블. 언빌리버블.
- Jacques Derri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