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밸리리더'를 이용하시면, 창이동 없이 빠르고 가볍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밸리리더열기
조선왕조실록을 검색했더니 가부상제가 180여 차례 나오고, ‘도유우불’ ’헌가체부‘도 합쳐서 가부상제 횟수에 가깝게 나왔다. 세종 때 사간원이 올린 상소문에서 “말해야 할 일을 말하지 않는 것은 신의 직책을 다하지 못하는 것이고, 받아들여야 할 말을 채용하지 않는 것은 정..
가부상제, 도유우불, 헌가체부, 서경, 조선왕조실록
고대국가에서부터 군신간에 인정할 것은 인정하고, 부정할 것은 부정하여 최선의 결말을 이루는 ‘도유우불(都兪吁咈)’을 필수 덕목으로 삼았다. 도유는 찬성의 감탄사, 우불은 반대의 감탄사를 말하는 것으로 중국 요(堯)임금이 여러 신하들과 정사를 토론하고 심의할 때..
可否相濟, 都兪吁咈, 도유우불, 書經, 박연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