줌으로 가기

  1. 1국세청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
  2. 2미스트롯2
  3. 3강원래
  4. 4코로나 확진자
  5. 5우리바이오
  6. 6도쿄 올림픽
  7. 7이세영
  8. 83차 재난지원금 신청
  9. 9비트코인
  10. 10김다현
이슈검색어 오전 10:39
  1. 1국세청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
  2. 2미스트롯2
  3. 3강원래
  4. 4코로나 확진자
  5. 5우리바이오
  6. 6도쿄 올림픽
  7. 7이세영
  8. 83차 재난지원금 신청
  9. 9비트코인
  10. 10김다현
내이글루 마이리더 포토로그 로그인 줌서비스
  • 뉴스줌
  • TV줌
  • 허브줌
  • 쇼핑줌
  • 코인줌
  • 자동차줌
  • 스푼피드
  • 이슈트렌드

egloos

  • 밸리
  • 테마목록
  • 스킨&위젯
  • 모바일앱
  • 대표이글루new
  • 포스트검색
    • 포스트검색
    • 이글루검색
통합검색 입력

  • 전체인기글
  • 영화
  • 방송&연예
  • 게임
  • 포켓몬GO
  • 애니메이션
  • 만화
  • 도서
  • 음악
  • 공연&전시
  • 음식
  • 애완반려동물
  • 여행
  • 사진
  • 패션&뷰티
  • 연애
  • 개그
  • 일상
  • 육아
  • IT
  • 얼리어답터
  • 지름
  • 자동차
  • 스포츠
  • 뉴스비평
  • 인문사회
  • 역사
  • 세계
  • 과학
  • 토이
  • 창작
  • 벼룩시장
  • 지식Q&A
  • 이글루스
  • 소통밸리

'밸리리더'를 이용하시면, 창이동 없이 빠르고 가볍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밸리리더열기


태그>도호부체계(총 10개의 글)

'도호부체계' 관련 최근글이글루스 '도호부체계' 태그 최근글 이 태그에 글쓰기

  • 이홍빈 <당조삭방군연구> 1-6 형세의 취변과 삭방군의 설치 pp.49
    無隣庵  by blackace|2012/10/25 08:39

    이 시기 돌궐의 가한은 묵철이 아니라, 여전히 골돌록이었다.<?-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돌궐문비명의 기재에 근거하면, 골돌록은 후돌궐 정권을 공고히 한 후, 서북쪽으로의 확장을 개시..

    이홍빈, 당조삭방군연구, 골돌록, 궐특근, 돈욕곡

  • 이홍빈 <당조삭방군연구> 1-6 형세의 취변과 삭방군의 설치 pp.47~48
    無隣庵  by blackace|2012/10/25 03:14

    영순 2년(683), 돌궐이 선우부성을 공위했고, 도호부사마 장행사가 사로잡혀 죽었으며,(154) 선우도호부의 공능은 이에 이르러 상실되었다.(155) 이후, 돌궐인은 다시 창끝을 막북지구의 안북도호부로 돌렸다. 이전에 서술한 대로, 해 부는 당이 철륵, 회흘제부를 기미하여..

    이홍빈, 당조삭방군연구, 선우도호부, 도호부, 도호부체계

  • 이홍빈 <당조삭방군연구> 1-6 형세의 취변과 삭방군의 설치 pp.46~47
    無隣庵  by blackace|2012/10/25 02:27

    동일 비명에 기재된 바에는 이런 이야기도 있다 : “돌궐의 보통 사람들은 이렇게 말한다[说道 설도] : ‘나는 일찍이 국가가 있는 사람이었는데, 지금은 내 국가는 어디에 있는가? 나는 누구를 위하여 국가를 얻는가?’ - 그들은 말한다. ‘나는 일찍이 가한의 인민이었으나, (..

    이홍빈, 당조삭방군연구, 아사나골돌록, 서돌궐, 돌궐

  • 이홍빈 <당조삭방군연구> 1-6 형세의 취변과 삭방군의 설치 pp.45
    無隣庵  by blackace|2012/10/25 01:59

    정관 4년(630) 동돌궐을 정복한 당군도, 바로 이정이 정양도행군대총관에 충임되어 최고통수가 된 행군이 완성했다.(140) 현재 선우도호부는 수십만 돌궐인의 반란에는 대응할 수 없었으며, 당정은 자연스럽게 다시 배행검을 파견해 정양도행군대총관에 충임시키고 나아가 진압..

    이홍빈, 당조삭방군연구, 서돌궐, 아사나골돌록, 도호부체계

  • 이홍빈 <당조삭방군연구> 1-6 형세의 취변과 삭방군의 설치 pp.44~45
    無隣庵  by blackace|2012/10/25 01:06

    또 <구당서> 권194 상 돌궐전 상에 기재된 소사업의 “병사들 중 죽은 자가 만여 명이었다”는 것과, 그 수하의 장령 화대지, 이경가가 “보병을 이끌고 또 가서 싸워, 선우부에 들어갈 수 있었다.”(136)라고 한 것은, 나머지 병마가 많았을 리 없다[不会 불회]는 것을 ..

    이홍빈, 당조삭방군연구, 서돌궐, 도호부체계, 행군체계

  • 이홍빈 <당조삭방군연구> 1-5 북수 양 대도호부의 확립 pp.42~43
    無隣庵  by blackace|2012/10/24 09:16

    이에 근거하여 알 수 있는 것은, 연연도호부는 정관 21년(647) 설립되어, 철륵제부를 관할했고; 영휘 원년 당이 거비를 평정한 후에는 단지 한해도호부를 증설하여, 오로지 거비부를 안설시키기 위한 낭산도독부와 정관 4년 설치된 정양, 운중 2부를 관리했고, 이 중에 속한 부중은..

    이홍빈, 당조삭방군연구, 동돌궐, 설연타, 거비

  • 이홍빈 <당조삭방군연구> 1-5 북수 양 대도호부의 확립 pp.41~42
    無隣庵  by blackace|2012/10/24 04:55

    그러나, 도호부의 설치는, 필경 당정이 직접 파병하여 주류시키고 수비했다는 것을 의미하고, 그 직관계통은 중앙에 직예되었다. 연연부의 도호 이소립은 당조의 관원이었고, 그 전에는 양주사마였다.(117) 이로 인해 당이 연연부를 설치한 것은 막북의 땅에 대하여 더 유효한 ..

    이홍빈, 당조삭방군연구, 도호부, 대도호부, 도호부체계

  • 이홍빈 <당조삭방군연구> 1-5 북수 양 대도호부의 확립 pp.40~41
    無隣庵  by blackace|2012/10/23 21:33

    정관 21년 정월, 당 태종이 철륵제부를 책립하여 도독부주로 한 것은, 곧 앞의 글에서 언급한 회흘부에 한해도독부를 설립하고, 복골부를 금미부, 다람갈부를 연연부, 발야고부를 유릉부, 동라부를 어림부, 사결부를 노산부, 혼부를 고란주, 곡설부를 고궐주, 해결부를 계..

    이홍빈, 당조삭방군연구, 기미부주, 철륵계, 철륵제부

  • 이홍빈 <당조삭방군연구> 1-5 북수 양 대도호부의 확립 pp.39~40
    無隣庵  by blackace|2012/10/22 13:19

    나는 이 설명에 합리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위의 글 중에 따라 우리가 정관 4년 돌궐 항복 후를 보면[看到 간도], 기본적으로 반항활동이 출현한 적이 없고, 때문에 당정이 기미부주 체제를 취하여 안무하고 공제했다. 정관 13년(639) 결사솔이 당 태종을 모살하려 한 사건이 발생..

    이홍빈, 당조삭방군연구, 기미부주, 도호부, 대도호부

  • 이홍빈 <당조삭방군연구> 1-5 북수 양 대도호부의 확립 pp.38~39
    無隣庵  by blackace|2012/10/22 11:41

    제5절 북수{북변}[北陲 북수] 양 대도호부의 확립<?-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위의 한 절에서, 우리는, 기미부주의 유한성이 바로 그 스스로에게서 내원한다는 설명을 시도했다. 이런 종..

    이홍빈, 당조삭방군연구, 기미부주, 도호부, 대도호부

1
이오공감 추천하기
제목:
이오공감운영정책보기
닫기


집밥 고인물용사망가 창원 OLED 가사 일하는세포BLACK 트레일블레이저 마블 공병 그림

zum이슈 검색어 1/22 오전 10:39

  1. 1 국세청 연말정산 간소화서... 동일
  2. 2 미스트롯2 상승
  3. 3 강원래 하락
  4. 4 코로나 확진자 상승
  5. 5 우리바이오 동일
  6. 6 도쿄 올림픽 상승
  7. 7 이세영 상승
  8. 8 3차 재난지원금 신청 하락
  9. 9 비트코인 상승
  10. 10 김다현 상승
이글루스 안드로이드 앱 출시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 수집거부
  • API센터
  • 고객센터

Copyright ⓒ ZUM inter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