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무예도보통지(총 69개의 글)
'무예도보통지' 관련 최근글
-
- 무예도보통지 예도총보 武藝圖譜通志 銳刀總譜
-
아부 사이프의 전투의 예술(Kunst des Fechten) by 아부사이프|2020/12/16 06:05
예도(銳刀)는 영조 10년(1734) 9월 29일 승정원일기의 기사에 처음 등장하는 검술로, 군관 고만흥이 하던 것을 찾아내어 우리나라의 검술(本國劍藝)이라 하며 그동안 전수자가 드물어 관무재(임금이 직접 관람하는 무술 시험)에서 시연되지 않았으나 교사를 선발하여 보급중..
- 무예도보통지 예도총보 武藝圖譜通志 銳刀總譜
-
- 신유도법의 공방연결 요령 辛酉刀法的攻击和防御的连接
-
아부 사이프의 전투의 예술(Kunst des Fechten) by 아부사이프|2020/10/02 11:44
신유도법은 근본적으로 세법의 명칭들이 투로의 구성에 맞추어져 있고 현대인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한자 단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게 어떻게 쉽고 단순한 도법인지 이해하게 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신유도법의 공격과 방어가 어떻게 연결이 되고, 이것이 원을 그리는 한 ..
- 신유도법의 공방연결 요령 辛酉刀法的攻击和防御的连接
-
- 조선군 쌍수도/용검/평검 기본기 해설
-
아부 사이프의 전투의 예술(Kunst des Fechten) by 아부사이프|2020/10/02 04:07
무예제보/무예도보통지에 등장하는 장도/쌍수도/용검/평검이라 불리는 도법의 투로를 무예제보번역속집 왜검보, 단도법선, 수비록 단도편, 본국검, 제독검 등의 사료와 비교 분석하여 도출해낸 각 개별 기본 기술을 알려주는 영상입니다. 기효신서 장도는 왜구의 도법이었던 일..
- 조선군 쌍수도/용검/평검 기본기 해설
-
- 장도 제독검 본국검 왜검 비교
-
아부 사이프의 전투의 예술(Kunst des Fechten) by 아부사이프|2020/09/22 00:18
0:08 장도 / 3:42 제독검 / 4:44 장도 도법의 문제점 5:24 본국검 / 7:02 왜검 일본 카게류 전서에서 유래된 장도는 호쾌하고 배우기 쉬우며 공방이 잘 연결되고 기세가 강한 좋은 도법이지만 동작이 크고 기법이 단순하여 알기 쉽다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즉 양손으로 하는 세이버 검술에 가깝..
- 장도 제독검 본국검 왜검 비교
-
- 향전격/살적세가 받아흘리기를 겸한 돌려치기라는 문헌적 근거
-
아부 사이프의 전투의 예술(Kunst des Fechten) by 아부사이프|2020/09/12 08:29
무예제보번역속집 왜검보 乙又以進前殺賊勢向甲擊之, 甲進右足卽以其劒循乙劒下, 便跳出於乙之右邊, 卽以向前擊賊勢當乙胸一擊, 을이 또 진전살적세로 갑을 향해 치거든, 갑은 오른발을 나오며 바로 칼로서 을의 칼 아래를 스치며 곧 을의 우변으로 뛰어 나아가 즉시 향전격..
- 향전격/살적세가 받아흘리기를 겸한 돌려치기라는 문헌적 근거
-
- 기효신서 당파 하편 당파vs도 (紀效新書 鏜鈀 下篇 鈀對刀)
-
아부 사이프의 전투의 예술(Kunst des Fechten) by 아부사이프|2020/08/14 04:01
당파 상편 당파vs창 기효신서수록 당파습법해설 (紀效新書收錄 鏜鈀習法解說) 0:42 상대가 하단으로 칠 경우 2:03 내가 찔렀는데 상대가 하단을 칠 경우 3:12 대당 소당 대압 소압 3:46 당파를 연습하는 10걸음의 보법 4:53 걸어내리기와 아래쪽으로 유수보 6:01 당파로 연법에 대항하는 법 7:13..
- 기효신서 당파 하편 당파vs도 (紀效新書 鏜鈀 下篇 鈀對刀)
-
- 기효신서 대봉 투로 영상
-
아부 사이프의 전투의 예술(Kunst des Fechten) by 아부사이프|2020/07/13 00:26
대봉 투로의 재현 0:28 - 대당 0:39 /선인봉반 1:30 /제미살 도두 하천 1:53 /섬요전 하접 2:18 /직부송서 주마회두 상체 3:00 투로 해설 3:33 - 대당 3:40 /대전 대적 적수 4:57 /선인봉반 5:20 /제미살 도두 하천 5:56 / 섬요전 하접 6:46 /직부송서 주마회두 상체 7:32 새로운 연구를 통해 기효신서 대봉 투로를 ..
- 기효신서 대봉 투로 영상
-
- 무예도보통지 편곤 武藝圖譜通志 鞭棍
-
아부 사이프의 전투의 예술(Kunst des Fechten) by 아부사이프|2020/07/07 01:34
0:07 편곤보의 재현 1:59 편곤보에서 배울 수 있는 편곤 이기는 법 편곤은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무기로써 농기구인 도리깨에서 유래했고 농민병들이 갑옷을 입은 기사를 때려잡는 무기로 활약했습니다. 임진왜란 당시 경기도 고양에 살던 명회라는 사람은 부모의 원수를 갚기 위해 ..
- 무예도보통지 편곤 武藝圖譜通志 鞭棍
-
- 무예도보통지 편곤의 공포
-
아부 사이프의 전투의 예술(Kunst des Fechten) by 아부사이프|2020/07/02 18:28
봉 부러지고 실의에 빠져 거들떠도 안보던 편곤 다시 정리하는데 이건 왜검교전보다 한수 위의 막장이네요. (봉 박살 대참사) 쓰기 귀찮았는지 그림은 계속 자리를 바꾸는데 환립이라는 말은 초반에 딱 한번 나오고 정황상 두번치는 재구가 계속 나오는 것 같은데 일언반구 언급도 ..
- 무예도보통지 편곤의 공포
-
- 기효신서 투창은 사실 두종류
-
아부 사이프의 전투의 예술(Kunst des Fechten) by 아부사이프|2020/05/15 02:26
국내에선 무예도보통지만 보다 보니 등패(등나무 방패)를 쓸때 원거리에서 던진다는 표창을 한가지만 인식하지만 보니까 막상 표창(투창)은 두가지였습니다. 무거운 투창은 이두표창이라 하며 길이 7척(147..
- 기효신서 투창은 사실 두종류
-
- 기효신서 표창의 공포
-
아부 사이프의 전투의 예술(Kunst des Fechten) by 아부사이프|2020/04/30 21:30
기효신서에서 등패라고 등나무 줄기를 엮어 만든 방패를 소지하고 있는 병사는 요도라는 칼과 함께 표창이라는 던지는 창을 소지하고 있다. 주요 용도는 꼭 적을 죽이는 것까진 아니고, 상대 무기가 창이라던가 해서 길어서..
- 기효신서 표창의 공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