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무예제보(총 29개의 글)
'무예제보' 관련 최근글
-
- 신유도법의 공방연결 요령 辛酉刀法的攻击和防御的连接
-
아부 사이프의 전투의 예술(Kunst des Fechten) by 아부사이프|2020/10/02 11:44
신유도법은 근본적으로 세법의 명칭들이 투로의 구성에 맞추어져 있고 현대인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한자 단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게 어떻게 쉽고 단순한 도법인지 이해하게 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신유도법의 공격과 방어가 어떻게 연결이 되고, 이것이 원을 그리는 한 ..
- 신유도법의 공방연결 요령 辛酉刀法的攻击和防御的连接
-
- 조선군 쌍수도/용검/평검 기본기 해설
-
아부 사이프의 전투의 예술(Kunst des Fechten) by 아부사이프|2020/10/02 04:07
무예제보/무예도보통지에 등장하는 장도/쌍수도/용검/평검이라 불리는 도법의 투로를 무예제보번역속집 왜검보, 단도법선, 수비록 단도편, 본국검, 제독검 등의 사료와 비교 분석하여 도출해낸 각 개별 기본 기술을 알려주는 영상입니다. 기효신서 장도는 왜구의 도법이었던 일..
- 조선군 쌍수도/용검/평검 기본기 해설
-
- 장도 제독검 본국검 왜검 비교
-
아부 사이프의 전투의 예술(Kunst des Fechten) by 아부사이프|2020/09/22 00:18
0:08 장도 / 3:42 제독검 / 4:44 장도 도법의 문제점 5:24 본국검 / 7:02 왜검 일본 카게류 전서에서 유래된 장도는 호쾌하고 배우기 쉬우며 공방이 잘 연결되고 기세가 강한 좋은 도법이지만 동작이 크고 기법이 단순하여 알기 쉽다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즉 양손으로 하는 세이버 검술에 가깝..
- 장도 제독검 본국검 왜검 비교
-
- 향전격/살적세가 받아흘리기를 겸한 돌려치기라는 문헌적 근거
-
아부 사이프의 전투의 예술(Kunst des Fechten) by 아부사이프|2020/09/12 08:29
무예제보번역속집 왜검보 乙又以進前殺賊勢向甲擊之, 甲進右足卽以其劒循乙劒下, 便跳出於乙之右邊, 卽以向前擊賊勢當乙胸一擊, 을이 또 진전살적세로 갑을 향해 치거든, 갑은 오른발을 나오며 바로 칼로서 을의 칼 아래를 스치며 곧 을의 우변으로 뛰어 나아가 즉시 향전격..
- 향전격/살적세가 받아흘리기를 겸한 돌려치기라는 문헌적 근거
-
- 기효신서 당파 하편 당파vs도 (紀效新書 鏜鈀 下篇 鈀對刀)
-
아부 사이프의 전투의 예술(Kunst des Fechten) by 아부사이프|2020/08/14 04:01
당파 상편 당파vs창 기효신서수록 당파습법해설 (紀效新書收錄 鏜鈀習法解說) 0:42 상대가 하단으로 칠 경우 2:03 내가 찔렀는데 상대가 하단을 칠 경우 3:12 대당 소당 대압 소압 3:46 당파를 연습하는 10걸음의 보법 4:53 걸어내리기와 아래쪽으로 유수보 6:01 당파로 연법에 대항하는 법 7:13..
- 기효신서 당파 하편 당파vs도 (紀效新書 鏜鈀 下篇 鈀對刀)
-
- 기효신서 당파 상편 당파vs창 (紀效新書 鏜鈀 上篇 鈀對鎗)
-
아부 사이프의 전투의 예술(Kunst des Fechten) by 아부사이프|2020/08/11 16:51
0:35 무예제보수록 당파투로시연(武藝諸譜收錄 鏜鈀套路試演) 무예제보수록 당파투로해설(武藝諸譜收錄 鏜鈀套路解說) 2:17 朝天勢조천세 2:39 進步勢진보세 2:56 騎龍勢기룡세 3:55 伏虎勢복호세 4:30 架鎗/拏鎗/騎龍 가창/나창/기룡 차(叉)라고도 불리는 당파는 민(閩,복건성),..
- 기효신서 당파 상편 당파vs창 (紀效新書 鏜鈀 上篇 鈀對鎗)
-
- 기효신서 대봉 투로 영상
-
아부 사이프의 전투의 예술(Kunst des Fechten) by 아부사이프|2020/07/13 00:26
대봉 투로의 재현 0:28 - 대당 0:39 /선인봉반 1:30 /제미살 도두 하천 1:53 /섬요전 하접 2:18 /직부송서 주마회두 상체 3:00 투로 해설 3:33 - 대당 3:40 /대전 대적 적수 4:57 /선인봉반 5:20 /제미살 도두 하천 5:56 / 섬요전 하접 6:46 /직부송서 주마회두 상체 7:32 새로운 연구를 통해 기효신서 대봉 투로를 ..
- 기효신서 대봉 투로 영상
-
- 대봉투로의 대당 4번이 돌려치기인가?
-
아부 사이프의 전투의 예술(Kunst des Fechten) by 아부사이프|2020/07/04 05:35
이 점은 나는 일단 아니다 라고 보는 입장이다. 먼저 연구 초기에는 돌려치기가 맞다고 생각했는데, 그 이유는 : 1.대봉 투로의 후계자인 우슈 봉술에서 돌려치기가 기본이다. 2.영향을 주거나 받았을 것으로 추정되는 일본, 인도 봉술에서도 돌려치기가 기본이다. 3.특히 인도 칼..
- 대봉투로의 대당 4번이 돌려치기인가?
-
- 신유도법 정리 (2) - 신유도법의 등장과 군사 도법
-
아부 사이프의 전투의 예술(Kunst des Fechten) by 아부사이프|2020/06/08 04:44
신유도법의 발생 척계광 장군은 영류지목록을 얻은 1561년 이후, 먼저 거대한 일본도인 노다치(野太刀)를 모방한 긴 칼을 제작했다. 왜구들이 노다치를 들고 3미터를 뛰어와 단숨에 베어버리자 명나라 병사들이..
- 신유도법 정리 (2) - 신유도법의 등장과 군사 도법
-
- 신유도법 정리 (1) - 신유도법과 음류도법
-
아부 사이프의 전투의 예술(Kunst des Fechten) by 아부사이프|2020/05/29 18:18
신유도법의 기원 신유도법(辛酉刀法)이란 척계광이 왜구와 싸워 대승한 신유(辛酉)년, 즉 명나라 가정제 40년, 서력 1561년 왜구의 진중에서 얻은 영류지목록(影流之目錄) 즉 카게류 전서를 얻어 그것을 ..
- 신유도법 정리 (1) - 신유도법과 음류도법
-
- 신유도법 정리 (3) - 신유도법의 민간전승과 체계화
-
아부 사이프의 전투의 예술(Kunst des Fechten) by 아부사이프|2020/05/17 05:31
신유도법의 민간전승과 체계화 본래 화승총병의 호신도법이었던 신유도법은 척계광의 주무대였던 절강성에서 점차 민간에 유출되기 시작했다. 정확한 경로는 알 수 없으나 왜구 침략의 기억이 생생한 절강성에서 가장 실전..
- 신유도법 정리 (3) - 신유도법의 민간전승과 체계화
-
- 기효신서 투창은 사실 두종류
-
아부 사이프의 전투의 예술(Kunst des Fechten) by 아부사이프|2020/05/15 02:26
국내에선 무예도보통지만 보다 보니 등패(등나무 방패)를 쓸때 원거리에서 던진다는 표창을 한가지만 인식하지만 보니까 막상 표창(투창)은 두가지였습니다. 무거운 투창은 이두표창이라 하며 길이 7척(147..
- 기효신서 투창은 사실 두종류
-
- 기효신서 표창의 공포
-
아부 사이프의 전투의 예술(Kunst des Fechten) by 아부사이프|2020/04/30 21:30
기효신서에서 등패라고 등나무 줄기를 엮어 만든 방패를 소지하고 있는 병사는 요도라는 칼과 함께 표창이라는 던지는 창을 소지하고 있다. 주요 용도는 꼭 적을 죽이는 것까진 아니고, 상대 무기가 창이라던가 해서 길어서..
- 기효신서 표창의 공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