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기 돌궐의 가한은 묵철이 아니라, 여전히 골돌록이었다.<?-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돌궐문비명의 기재에 근거하면, 골돌록은 후돌궐 정권을 공고히 한 후, 서북쪽으로의 확장을 개시..
영순 2년(683), 돌궐이 선우부성을 공위했고, 도호부사마 장행사가 사로잡혀 죽었으며,(154) 선우도호부의 공능은 이에 이르러 상실되었다.(155) 이후, 돌궐인은 다시 창끝을 막북지구의 안북도호부로 돌렸다. 이전에 서술한 대로, 해 부는 당이 철륵, 회흘제부를 기미하여..
동일 비명에 기재된 바에는 이런 이야기도 있다 : “돌궐의 보통 사람들은 이렇게 말한다[说道 설도] : ‘나는 일찍이 국가가 있는 사람이었는데, 지금은 내 국가는 어디에 있는가? 나는 누구를 위하여 국가를 얻는가?’ - 그들은 말한다. ‘나는 일찍이 가한의 인민이었으나, (..
정관 4년(630) 동돌궐을 정복한 당군도, 바로 이정이 정양도행군대총관에 충임되어 최고통수가 된 행군이 완성했다.(140) 현재 선우도호부는 수십만 돌궐인의 반란에는 대응할 수 없었으며, 당정은 자연스럽게 다시 배행검을 파견해 정양도행군대총관에 충임시키고 나아가 진압..
제 1장 삭방군의 설치<?-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자치통감>(이하 <통감>으로 간칭) 권205 측천후 연재 원년(694) 기사에는 이렇게 나와 있다. 3월 갑신일, . 다시 설회의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