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미국해군(총 21개의 글)
'미국해군' 관련 최근글
-
- 마한의 해군 사관학교와 그의 제자들?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9/10/28 17:19
[1894년] 영국의 더 타임스의 한마디.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 재임 동안 미국 해군의 현대화를 위한 기초가 놓이게 되었다. 전함 건조만 추진된 것이 아니다. 알프레드 마한의 미국 해군사관학교는 그 동안 태평양전쟁을 위한 미래의 제독들을 배출했다. 어네스트 킹이 1901년 해사..
- 마한의 해군 사관학교와 그의 제자들?
-
- 비스마르크, 미국에 대해서...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9/10/28 13:44
[1894년] 영국의 더 타임스의 한마디. 비스마르크는 신께서는, 바보, 알콜중독자 그리고 미국에게 특별한 은총을 내리셨다고 말했다. - 말하자면, 미국은 두 개의 거대한 대양에 의해 그리고 남북으로 허약한 국가들에 ..
- 비스마르크, 미국에 대해서...
-
- 1897년,시어도어 루스벨트,미국 해군대학의 임무는?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9/10/26 04:49
[1894년] 영국의 더 타임스의 한마디. 1897년 미국 매킨리 정부에서 시어도어 루스벨트가 해군 차관보가 되었다. 1897년 봄, 시어도어 루스벨트, 해군 차관보 루스벨트는 해군대학에 다음 문제에 대한 연구 지시를 내렸다. “해군 대학을 위한 특별한 기밀 문제 : 일본이 하와이에 대한..
- 1897년,시어도어 루스벨트,미국 해군대학의 임무는?
-
- [40년]리처드슨, 함대의 하와이 배치에 반대한 이유?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9/03/21 11:55
[36년] 서안 사변의 장개석과 스탈린? 미국 해군의 리처드슨은 진주만 기습의 비극을 예견했다는 이유로 좌천당한 것인가? 제임스 리처드슨 James Otto Richardson (18 September 1878 – 2 May 1974) 은 미국 해군 제독..
- [40년]리처드슨, 함대의 하와이 배치에 반대한 이유?
-
- "일본 해군이 미국 잠수함을 무시한 이유는?"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9/03/19 12:44
[36년] 서안 사변의 장개석과 스탈린? 일본은 자신의 정신력을 맹신한 반면, 미국 잠수함을 무시했다. 미국인의 나약한 정신력을 고려할 때, 잠수함 생활의 가혹한 조건을 견디지 못할 것으로 일본이 단정했기 때문이었다. 미국인의 민족성은 잠수함 근무에 적합하지 않으며, 일..
- "일본 해군이 미국 잠수함을 무시한 이유는?"
-
- 미국, 대-일본 태평양 전략의 2가지 경향은?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9/03/14 09:50
[36년] 서안 사변의 장개석과 스탈린? [미국의 태평양 전략] 미국의 오렌지 전쟁계획 연구자인 밀러에 따르면, 미국 전략은 2가지 서로 다른 경향을 가졌다. 첫째는 그가 마닐라행 추진 엔진 전략이라 부르는 ..
- 미국, 대-일본 태평양 전략의 2가지 경향은?
-
- [15년]일본의 21개조요구안과 미국의 대응?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9/03/12 11:05
[36년] 서안 사변의 장개석과 스탈린? 1915년1월, 일본, 중국에 21개조 요구안 제시, 제1차세계대전 발발을 이용해서 일본은 중국에 21개조 요구안을 제시했다. 이는 중국 주권의 침해였다. 중국에서의 일본의 제국주의 도발에 대해 미국 해군이 강하게 대응했다. 미국 해군의 헨리 ..
- [15년]일본의 21개조요구안과 미국의 대응?
-
- 1914년 파나마 운하 개통과 일본 해군?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9/03/12 10:14
[36년] 서안 사변의 장개석과 스탈린? 1914년파나마 운하 개통 - 미일 전쟁의 전략적 전망을 급변시켰다. 미국 함대의 대서양에서 태평양으로의 이동이 용이하게 되었다. 미국 해군은 더 이상 태평양 해안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1만 마일에 이르는 세계일주를 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 일..
- 1914년 파나마 운하 개통과 일본 해군?
-
- [1906년]미국 해군, 대일 전쟁 계획?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9/03/12 09:31
[36년] 서안 사변의 장개석과 스탈린? 1906년오렌지 전쟁계획- 미국 해군이 잠재적 적국으로 일본을 상정했다. 오렌지 계획의 수립은 샌프란시스코 일본인 이민 위기로 촉발된 미일의 전쟁 공포가 배경이 되었다...
- [1906년]미국 해군, 대일 전쟁 계획?
-
- 미국 학술검색에서 알프레드 마한을 검색해보니...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9/03/10 04:35
결과물들 중에 이런 논문이 있었다. 백제다. ㅎㅎㅎ
- 미국 학술검색에서 알프레드 마한을 검색해보니...
-
- 마한, 영국과 프랑스 갈등에서 결정적인 것은?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9/03/08 11:15
[36년] 서안 사변의 장개석과 스탈린? 알프레드 마한에 따르면, 1688년부터 나폴레옹 몰락에 이르기까지 프랑스와 영국 간의 오랫동안의 주요 갈등 국면에서 해군의 주도에 의한 제해권 혹은 그것의 결여가 갈등의 결과를 결정했다. 참고- William C. Martel, Grand Strategy in ..
- 마한, 영국과 프랑스 갈등에서 결정적인 것은?
-
- 시어도어 루스벨트와 알프레드 마한...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9/03/08 11:04
[36년] 서안 사변의 장개석과 스탈린? 미국 역사에서 흥미있는 점은 위대한 정치가가 불세출의 전략가가 손을 잡는 경우가 자주 있다는 것이다. 리처드 닉슨이 헨리 키신저와 협력했던 것처럼 말이다. 미국이 20세기에 세계..
- 시어도어 루스벨트와 알프레드 마한...
-
- 1898년 미서전쟁까지 미국의 해군의 존재 의의?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9/03/08 10:32
[36년] 서안 사변의 장개석과 스탈린? 스페인 전쟁 당시 미국 해군의 일반적 견해는 해군이 미국의 연안을 방어하기 위해 존재한다는 것이었다. 이는 미국 해군전략 및 과학기술 발전을 매우 저해했다. 이런 상황에서 등장한 것이 바로 알프레드 마한이었다. 에드워드 얼 (편.),..
- 1898년 미서전쟁까지 미국의 해군의 존재 의의?
-
- 진주만 이전의 미국의 필리핀 방어전략?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9/03/04 18:52
[36년] 서안 사변의 장개석과 스탈린? 1930년대에 미국 전략가들은 일본의 태평양전쟁은 길고, 값비싼 것이 될 것이라 전망했고, 전쟁 초기에 필리핀을 잃을 것으로 예상했다. 태평양전쟁을 위한 전략 논쟁에서..
- 진주만 이전의 미국의 필리핀 방어전략?
-
- 냉전초 미국 군사전략과 해군의 반발...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7/01/16 12:53
키신저의 경고. 1945년 해군의 날 행사에 참석한 트루먼 대통령 냉전의 역사에서 제독들의 반발 "Revolt of the Admirals" 이라 알려진 사건은 미군의 퇴역 그리고 현직의 제독들이 해리 트루먼 대통령과 루이..
- 냉전초 미국 군사전략과 해군의 반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