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민족해방운동(총 13개의 글)
'민족해방운동' 관련 최근글
-
- "베트남전의 유일한 승자는 소련이었다?"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20/07/08 21:21
러시아 역사가, 일라 기득 I.V. Gaiduk 에 따르면, 1973년의 파리협정의 시점에서 소련은 베트남전 유일의 승자인 것처럼 보였다. 큰 희생없이, 소련은 동남아시아에서 베트남이라는 거점을 확보했다. (중국..
- "베트남전의 유일한 승자는 소련이었다?"
-
- 1960년, "중국인들은 러시아 혁명을 어떻게 생각하나?"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20/04/30 06:54
1960년 흐루쇼프의 소련은 베트남의 민족해방운동 지원을 주저했다. 반면 중국은 북베트남의 대남 정책을 적극 지원했다. 소련 관리들은 중국이 제3세계의 혁명을 적극 지원하는 것의 함의를 이해하고 있는 것처럼..
- 1960년, "중국인들은 러시아 혁명을 어떻게 생각하나?"
-
- 62년, 소련의 군사지원이 호치민을 불쾌하게 만든 이유?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20/04/24 16:44
[54년]지압,디엔비엔푸 공격을 연기한 이유는? 소련의 베트남 정책 딜레마는 냉전의 상대로 미국과 데탕트가 필요했지만, 사회주의 진영의 큰형님으로 베트남의 민족해방운동을 도와야 할 의무도 있었다는 점이다. 두 개의 과제는 모순되었다. 미국과의 평화공존을 주장하는 소..
- 62년, 소련의 군사지원이 호치민을 불쾌하게 만든 이유?
-
- 1965년, 모택동이 베트남을 원조한 이유는?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20/04/24 10:08
[54년]지압,디엔비엔푸 공격을 연기한 이유는? 65년,모택동,미제와 국내의 적을 동시에 제거하자? 1965년 베트남에서의 미국의 확전을 마오는 어떻게 인식했는가? 미제의 위협을 모택동은 국내에서의 안정을 위..
- 1965년, 모택동이 베트남을 원조한 이유는?
-
- 1962년, 사면초가의 중국?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20/04/23 12:00
[54년]지압,디엔비엔푸 공격을 연기한 이유는? 62년 2월 케네디 정부가 베트남 군사지원사령부를 설치하며, 간접적인 베트남 군사 개입을 강화했다. 당시 베이징은 다방면의 압력에 직면했다. 첫째, 중국군은..
- 1962년, 사면초가의 중국?
-
- [47년]즈다노프, 제3세계에 대한 소련의 야망?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8/04/27 16:12
[1900년] 미국에게 필리핀은? 1947년 9월, 베트남에서 프랑스와 베트민의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이 한창인 가운데, 소련의 즈다노프는 코민테른의 후신이라 할 수 있는 코민포름 (공산주의자 정보 기구) 대회 개..
- [47년]즈다노프, 제3세계에 대한 소련의 야망?
-
- 77년, 카스트로와 호네커 회담에서 논의된 것.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7/08/30 16:21
키신저의 경고. <쿠바의 피델 카스트로와 동독의 에리히 호네커> 70년대 중반, 피델 카스트로의 쿠바는 아프리카에서의 혁명 수출에 앞장이었다. 쿠바는 아프리카 민족해방 운동 지원을 위해서, 의사,간호사 그리..
- 77년, 카스트로와 호네커 회담에서 논의된 것.
-
- "스탈린과 흐루쇼프 그리고 식민지 민족해방"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7/08/15 07:22
키신저의 경고. <흐루쇼프와 스탈린 -1940년대> 냉전 초기 미소 경쟁의 핵심 무대는 유럽이었다. 냉전의 금싸라기 땅의 패권을 두고 두 강대국은 경쟁했고, 다른 지역에 대한 관심은 부차적이었다. 따라서..
- "스탈린과 흐루쇼프 그리고 식민지 민족해방"
-
- "베트남 전쟁과 소련"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7/07/28 15:05
키신저의 경고. 미국과의 평화공존이냐, 사회주의 형님국가의 자존심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소련의 베트남 정책을 보면, 미국과의 평화공존이냐, 아니면 주변부 민족해방운동을 지원하는 사회주의 형님국가로서의 명..
- "베트남 전쟁과 소련"
-
- "60년대 소련 외교정책의 딜레마"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7/07/22 07:40
키신저의 경고. 미국과의 핵전쟁은 사회주의 뿐만 아니라 인류의 전멸이기 때문에 막아야 한다. 평화 공존 정책 - 방사능 피폭은 좌파와 우파를 가리지 않는다. 스탈린 사후 중국이 소련을 수정주의로 거듭 비난하기 때문에, 사회주의 종주국 패권 유지 차원에서 중국을 견제해야 ..
- "60년대 소련 외교정책의 딜레마"
-
- 흐루쇼프와 브레즈네프의 외교정책 핵심?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7/07/19 04:23
키신저의 경고. Donald J. Raleigh 에 따르면, 흐루쇼프가 축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브레즈네프 시대의 소련 외교정책은 흐루쇼프 시대의 그것과 연속성을 유지했다. 외교정책의 중심축은, 서양과의 평화공존, 동유럽의 현상유지, 중국 봉쇄, 그리고 제3세계의 민족해방..
- 흐루쇼프와 브레즈네프의 외교정책 핵심?
-
- 소련의 베트남 전쟁 개입 동기는?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7/06/23 03:32
키신저의 경고. 소련에게 베트남의 민족해방 투쟁은 복수의 외교정책 목표 추구를 위한 다면 전략의 실천이었다. 북베트남과 남베트남의 민족해방전선에 대한 사회주의 형제애적 원조와 지원 세계적 강대국 미국을 약화시키고,사기를 저하시키는 것. 인도차이나로의 중국 영향력 ..
- 소련의 베트남 전쟁 개입 동기는?
-
- 1961년 흐루쇼프,평화공존과 민족해방운동의 관계는?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7/03/07 16:46
키신저의 경고. 1961년1월 6일 흐루쇼프, 외교 업무에 대한 연설- 평화공존 정책과 민족해방운동의 관계는? 그의 평화공존 슬로건에 입각, 사회주의가 자본주의에 대해 경제적으로 승리하게 되면, 전 세계에 혁명의 영향력을 퍼뜨릴 것이며, 핵무기 시대의 세계 전쟁은 역사상 가장..
- 1961년 흐루쇼프,평화공존과 민족해방운동의 관계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