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보호국(총 6개의 글)
'보호국' 관련 최근글
-
- 일본의 한국 보호국화와 조약의 문제?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9/08/01 12:18
[1894년] 영국의 더 타임스의 한마디. 1905년 러일전쟁 종료를 즈음해서, 영일동맹이 갱신되었다. 동맹의 범위가 극동에서 인도까지 확대되었고, 영국은 일본의 한국 보호국화를 인정했다. 한국 문제와 관련해..
- 일본의 한국 보호국화와 조약의 문제?
-
- 1905년 을사조약 이후 러시아는 조선을 어떻게 인식했나?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9/06/10 21:40
[1894년] 영국의 더 타임스의 한마디. 1905년 을사조약으로 일본이 한국을 보호국으로 만들었음에도, 러일전쟁의 패전국 러시아는 여전히 한국을 독립국으로 인정하려 했다. 가령, 1906년 새 주한 러시아 총영사가 서울에 부임했다. 러시아 정부는 1905년의 협약에 따라 새 총영사의 ..
- 1905년 을사조약 이후 러시아는 조선을 어떻게 인식했나?
-
- 이토 히로부미,"나는 조선의 독립을 확고히 지지했다."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9/06/04 11:36
[1894년] 영국의 더 타임스의 한마디. 1905년 11월 16일 이토 히로부미, 을사 조약의 전야에 대한제국의 관료들을 소집하고,이렇게 설고했다. “동서양의 외교관계는 특히 이 지역에서 괄목할 만큼 발전했고, 외교적 기술 또한 큰 진전을 보았다. 폐쇄된 항구를 꿈꾸던 안이한 시대는..
- 이토 히로부미,"나는 조선의 독립을 확고히 지지했다."
-
- 일본의 한국병합과 미일의 이민자 갈등?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9/05/24 08:10
[1894년] 영국의 더 타임스의 한마디. 1905년, 러일전쟁의 승리이후 일본이 한국을 보호국으로 만든 뒤에, 한국을 강제로 합병할 때까지 5년이라는 시간이 더 필요한 것은 어떤 배경 때문이었을까? 왜 강산이 반정도 바뀔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 것인가? 특히, 국제관계란 관점에서, 19..
- 일본의 한국병합과 미일의 이민자 갈등?
-
- 이완용, 을사조약에 대해서-1905년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6/08/05 08:22
미국은 제국인가, 패권국인가? 이완용은 상소문을 통해서 을사조약은 외교권만 잠깐 일본에게 맡긴 것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고종실록에는 ‘을사조약’ 체결에 간여한 조정 대신들이 자신들에 대한 나라안의 거센 비난에 대응하여 올린 상소문이 실렸다. 의정부의정대신 임시서리 ..
- 이완용, 을사조약에 대해서-1905년
-
- [한일병합] 무엇이 일본을 공포에 떨게 만들었나?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6/04/20 14:27
1882년의 조미수호통상조약의 문제. 한양대 최정수 선생의 연구에 따르면, 1905년 을사늑약 이후 한국의 보호국화에 성공한 일본에게 공포를 준 것이 있었다고 한다. 그것은 바로 헤이그 체제로 대표되는 국제법이었다. 왜 한일병합은 일본 제국에게 국제법적 재앙이 되었을까? ㅠㅠ ..
- [한일병합] 무엇이 일본을 공포에 떨게 만들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