줌으로 가기

  1. 1길복순
  2. 2이재명
  3. 3에코프로
  4. 4유아인
  5. 5심은우
  6. 6축구 국가대표 평가전
  7. 7김민재
  8. 8이강인
  9. 9카나리아바이오
  10. 10나는솔로
이슈검색어 오전 12:29
  1. 1길복순
  2. 2이재명
  3. 3에코프로
  4. 4유아인
  5. 5심은우
  6. 6축구 국가대표 평가전
  7. 7김민재
  8. 8이강인
  9. 9카나리아바이오
  10. 10나는솔로
내이글루 마이리더 포토로그 로그인 줌서비스
  • 뉴스
  • TV
  • 허브
  • 쇼핑
  • 가상화폐
  • 자동차
  • 이슈트렌드

egloos

  • 밸리
  • 테마목록
  • 포스트검색
    • 포스트검색
    • 이글루검색
통합검색 입력

  • 전체인기글
  • 영화
  • 방송&연예
  • 게임
  • 포켓몬GO
  • 애니메이션
  • 만화
  • 도서
  • 음악
  • 공연&전시
  • 음식
  • 애완반려동물
  • 여행
  • 사진
  • 패션&뷰티
  • 연애
  • 개그
  • 일상
  • 육아
  • IT
  • 얼리어답터
  • 지름
  • 자동차
  • 스포츠
  • 뉴스비평
  • 인문사회
  • 역사
  • 세계
  • 과학
  • 토이
  • 창작
  • 벼룩시장
  • 지식Q&A
  • 이글루스
  • 소통밸리

'밸리리더'를 이용하시면, 창이동 없이 빠르고 가볍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밸리리더열기


태그>사림(총 10개의 글)

'사림' 관련 최근글이글루스 '사림' 태그 최근글 이 태그에 글쓰기

  • 성리학자 중에서도 그나마 개혁적인 이들.txt
    ♣ DOMVS...DINOSAVRIA   by K I T V S|2017/01/13 02:57

    '조선은 왜 무너졌는가? (by 정병석)'라는 책을 읽고 그 독후감을 나중에 공개하기 전에(도서관 대출 자료라 끝까지 읽지 못했습니다) 인물에 대한 정보를 먼저 적기로 했습니다. 이 책은 대런 애쓰모글루의 '국가는 왜 실패했는가? (리뷰글 링크)'라는 명저처럼 제도적인 면에..

    조선, 조선왕조, 선비, 성리학, 사림

  • 士林은 山林에 은거했는가?
    士林은 山林에 은거했는가?
    거침없는 무애자  by 無碍子|2013/11/04 23:18

    사림은 산림에 은거하면서 청경우독 농사지으면서 공부한 사람들이고 훈구는 조상 때부터 벼슬한 사람들이라 합니다. 대표적인 사림 김종직 정여창 김굉필 조광조의 가계를 한번 봅시다. 김종직을 배향한 밀양의..

    사림, 사림파, 훈구파

  • 당쟁의 실상 2
    역사와 살아가는 이야기  by 블레이드|2012/04/01 07:48

    인조반정은 조선 정치사에서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진다. 기호계가 정권을 되찾아 이후 계속 권력을 독차지한 것이다. 그리고 정권을 안정시키기 위해 기호남인을 관제야당으로 영입하였다. 북인이 권력을 독차지하였다가 자체 분열한 어리석음을 범하지 않기 위해서였다. 또한 반정..

    당쟁, 예송, 사림, 정쟁, 남인

  • 당쟁의 실상 1
    역사와 살아가는 이야기  by 블레이드|2012/03/31 08:07

    당쟁은 사림정치의 부산물이라 하였다. 사림정치의 틀은 훌륭한 것이었으나 실상은 그렇지 못하였다. 상대 세력인 훈구세력이 무너지자 사림세력 내부에 분파가 생겼다. 처음에는 선배와 후배 사이에 균열이 생겼다. 외척 심의겸(沈義謙)이 사림의 편을 들어 사림이 정권을 잡았..

    당쟁, 사림정치, 붕당, 사림, 훈구세력

  • 당쟁과 지연 2
    역사와 살아가는 이야기  by 블레이드|2012/03/26 09:23

    선조 조에 사림정치가 실시되면서 영남계의 동인이 한때 우세하여 정권을 잡은 적은 있었다. 그러나 동인이 남인과 북인으로 분파되어 영남 남인계(경상좌도)의 류성룡(柳成龍)은 임진왜란의 책임을 지고 물러났으며, 영남 북인계(경상우도)의 정인홍(鄭仁弘)은 서인계의..

    사림, 당쟁, 지연, 탕평, 서세동점

  • 문치주의 (文治主義) 2
    역사와 살아가는 이야기  by 블레이드|2012/02/25 09:36

    조선시대에는 무관을 누르는 여러 장치가 마련되어 있었다. 무관은 정3품 절충장군(折衝將軍) 이하만 있다. 더 승진하려면 문관의 관계인 문산계(文散階)를 빌려 써야만 했다. 그리고 전쟁이 났을 때 총사령관은 문관이 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총사령관을 지낸 강감찬(姜邯贊..

    문치주의, 문관, 삼사, 사림

  • 1. 이준경, 훈구와 사림의 대립 속에서 과도기 정치를 이끌다
    역사와 살아가는 이야기  by 블레이드|2012/02/16 08:51

    조선은 유학의 나라이며 성리학의 나라였다. 그러나 진정한 성리학적 도학정치가 이루어진 것은 조선 중기 무렵이다. 성리학적 이상을 현실 정치로 구현하려던 사림은 연산군 시대부터 중종, 명종 대까지 여러 차례의 사화(士禍)를 당했다. 그러면서도 훈구파들을 몰아내고 정..

    이준경, 훈구, 사림

  • 도덕과 윤리만으로 이상세계가 이루어지지는 않는다
    금성천의 한국전쟁사  by 금성천|2011/12/20 11:38

    모든 인간의 도덕화! 이것이 사림 개혁의 골자였다. 사림이 꿈꾸던 이상사회는 모든 개인이 도덕적 인간이 되는 것이었다. 도덕적 개인이 집합을 이룬 사회! 황홀하지 않은가. 사림은 개인의 대뇌에 윤리와 도덕의 실천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그 프로그램에 의해 신체가 저절로 작..

    사림, 조광조, 소학

  • 조선시대 정치 2
    역사와 살아가는 이야기  by 블레이드|2011/11/13 09:13

    중앙집권체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모든 권한을 왕에게 집중시키는 것과 아울러 군현제(郡縣制)를 실시해야만 했다. 왕 혼자 모든지역을 다스릴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에 전국토를 300 여개의 군현으로 나누어 여기에 왕을 대신하여 통치할 수령(守令)들을 파견했다. 그리고 ..

    조선, 사림, 당쟁, 탕평, 훈신

  • 사림정치의 틀
    역사와 살아가는 이야기  by 블레이드|2010/11/03 10:31

    사림정치는 중간관료들이 언론권과 인사권을 분점(分占)하고 있었던 것이 특징이다. 고려시대부터 조선 초기까지는 재상들이 언론권과 인사권을 독점하고 있었다. 물론 인사권은 국왕의 전유물이었지만 신료세력이 강한 당시에는 실제적인 인사권은 재상에게 있었다. 언론권도..

    사림

1
이오공감 추천하기
제목:
이오공감운영정책보기
닫기


파스타 ЧернаяМолния 걸그룹 무림외전 컴인워시 얏타맨 콤프에이스 p2pah 무능력_자백 아르스의거수

zum이슈 검색어 4/01 오전 12:29

  1. 1 길복순 동일
  2. 2 이재명 동일
  3. 3 에코프로 상승
  4. 4 유아인 동일
  5. 5 심은우 하락
  6. 6 축구 국가대표 평가전 동일
  7. 7 김민재 상승
  8. 8 이강인 하락
  9. 9 카나리아바이오 상승
  10. 10 나는솔로 하락
이글루스 안드로이드 앱 출시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 수집거부
  • 고객센터

Copyright ⓒ ZUM inter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