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밸리리더'를 이용하시면, 창이동 없이 빠르고 가볍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밸리리더열기
병탈정광 : 정화(丁火)가 있는데 옆에 병화(丙火)가 있으면 한낮에 뜬 태양 빛이 들어오는 방에 불을 켜자 효과가 없듯이 더 큰 기운에 가려져 필요한 제 역할을 못 한다는 뜻. 대낮에 별을 볼 수 없는 이유이기..
사주, 사주명리, 명리학, 사주용어, 병탈정광
백호창광 : 백호인 범이 내려왔는데 이게 마구 날뛰며 싸이코패쓰(?)가 되었다는 뜻. 일례로 乙木이 辛金을 만나 극으로 손상당하는 상황을 말한다. 하지만, 庚金을 만나는 경우도 있나 본데 여기서 을경은 합..
사주용어, 사주, 명리학, 사주명리, 백호대살
목화상관(木火傷官) : 甲乙木 일간이 여름에 태어나거나 火 성분의 세력이 강할 때 성립하는데 대체로 긍정적인 의미이지만 조후가 맞아야 한다.목화통명(木火通明) : 목화상관에서 강한 木의 기운이 火를 ..
사주, 사주용어, 명리학, 사주명리, 목화통명
목곤쇄편(木棍碎片) : 갑목과 신금의 관계에서 약한 신금의 작은 칼로는 크고 단단한 갑목을 자르기 힘들다. 칼질을 해도 잘게 부수어지고 날은 무디어져 별 효용이 없다. 그래도 작은 나무토막을 조각할 때는 ..
사주용어, 사주, 사주명리, 명리학, 목곤쇄편
윤석열 사주 말년 ㅋㅋㅋㅋ
사주, 사주명리, 명리학, 송작가TV, 전선생
록겁용재 : 비견(比肩)과 겁재(劫財)의 위세가 강한 경우를 말하는 것으로 재(財)를 다스릴 수 있으나 지나치면 재성(財星)이 약해진다. 이때 식신(食神)이나 상관(傷官)이 있으면 `비식재`로 흘..
사주, 사주명리, 명리학, 사주용어, 록겁용재
등라계갑(藤蘿繫甲) : 갑목(甲木)과 을목(乙木)의 관계, 곧은 나무를 담쟁이나 넝굴이 타고 올라가는 형상으로 을목은 귀인의 도움이나 조력을 얻을 수 있다고 보지만 대인관계에서 이런 형세가 생겼을 때 어쩌면 갑목..
사주, 사주용어, 사주명리, 명리학, 등라계갑
새날, 새가날아든다, 국짐, 수구꼴통, 수꼴
한 눈에 딱 봐도 대지 사이에 갇힌 화 기운이 고립된 모습입니다. 병오 자체는 강한 기운이지만 양쪽으로 설기되고 탈기되어 벅차 보이는데 힘이 좀 부쳐보이는 형세. 하지만, 대운의 흐름을 보면 아군의 기세가 ..
사주, 사주명리, 명리학, 약운, 병약용신
득비리재 : 사주에 재성(財星)이 많으면 신약해져서 재다신약(財多身弱)이 되는데 이때 본 명식이나 운에서 비겁(比劫)이 오면 재를 다스리는데 도움이 되므로 좋아진다. 군겁쟁재와 반대되는 개념. 이미..
사주, 사주명리, 명리학, 사주용어, 득비리재
가색(稼穡) : 심어서 거둔다는 뜻으로 농사 짓는 땅을 말하는데 옛날에는 땅 하면 오늘날처럼 공구리 쎄리 짓는 시멘트 바닥이 아닌 주로 농사를 생각했을 것이므로 곡물을 재배하는 의미이다. 가색격(稼穡格) ..
사주, 사주용어, 사주명리, 명리용어, 가색
사주는 4개의 기둥에 8글자라 완전수 10에 비해 항상 2개가 모자라므로 인간은 불완전한 존재일 수밖에 없는데 그마저도 오행들 중에서 치우치거나 특정 성분의 글자가 없는 경우도 왕왕 있습니다. 할 수 없죠. 그래..
사주, 사주명리, 명리학, 대운, 용신
대지보조 : 병화(丙火)와 기토(己土)의 조합으로 태양이 들판이나 논밭 위에 떠 비추고 있는 상이다. 밝고, 따뜻한 느낌에 표현력이 분명하고 좋다. 도세주옥 : 신금(辛金)은 작은 칼이나 금속 세공품, ..
사주, 사주명리, 명리학, 사주용어, 도세태과
종격(從格) 사주들 중에서 관살(官殺)이 중할때에 여기에 종하는 것을 `기명종살`이라 하고, 대부분 재성(財星)으로 이루어진 경우, 재에 종하는 것을 `기명종재`라고 합니다. 종격이 이루어지는 기..
사주, 사주명리, 명리학, 사주용어, 종격
금수왕양 금이 수국(水局)을 보거나 수기운이 왕한 경우 부정적이며 이렇게 수가 지나칠 때는 무토(戊土)로 억제해 주는 것이 좋다. 금침수탕 물이 너무 많으면 목은 뜨지만 금은 가라앉아 잠긴다. 금수왕양..
사주, 사주명리, 명리학, 사주용어, 금침수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