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순조(총 90개의 글)
'순조' 관련 최근글
-
-
-
-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11-20 + 설민석의 조선왕조실록
-
시니어 이글루 by 신기루|2017/10/02 08:55
앞선 글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1~10권은 여기로. 11. 광해군 인내의 아이콘. 세자 16년. 임진왜란 때 분조(분리된 조정)을 이끌고 두각을 나타낸 후로도 10년. 폐위 19년7개월. 재위기간 15년보다 더 긴 세월을 인내속에 살..
-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11-20 + 설민석의 조선왕조실록
-
- 제23대 순조의 가계도
-
바오밥나무가 있는 별 하나... by 바오밥나무|2013/03/29 17:19
제23대 순조의 가계도 조선 제23대 왕으로, 재위기간은 1800~1834년이다. 정조의 둘째 아들로, 정조가 승하하자, 11세에 즉위하였다. 순조가 어린 탓에 대왕대비 정순왕후가 수렴청정하였다. 1801년 대왕대비는 공..
- 제23대 순조의 가계도
-
- 천주교 순교자들 5
-
역사 그리고 피빛 향기 by 블레이드|2012/08/17 08:27
1814년(순조 14) 여름 조장한이 죄인의 명부에서 정약용의 이름을 삭제할 것을 왕에게 아뢰어 의금부에서 공문을 만들어 발송하려 했으나 이번에는 강준흠이 소를 올려 반대해 발송하지 못했다. 1818년(순조 18) 여름에 응교 이태순이 소를 올려 대간이 죄인의 이름을 삭제하기를 청..
- 천주교 순교자들 5
-
- 천주교 순교자들 4
-
역사 그리고 피빛 향기 by 블레이드|2012/08/14 08:37
한편 신문에 참여했던 승지 서미수는 기름 파는 여인을 비밀리에 불러 정약용의 아내 홍씨와 아들에게 감옥의 사정을 통기해 정약용이 사형될 염려는 없다고 전하게 해 집안 사람들을 안심시켰다. 이처럼 당시 여러 대신들이 모두 정약용의 석방을 주장했으나 오직 서용보만이 불가하..
- 천주교 순교자들 4
-
- 안동 김씨 세도정치의 전개 1
-
역사 그리고 피빛 향기 by 블레이드|2012/07/20 09:07
세도정치의 핵심 인물은 김조순, 김좌근, 김문근, 김병기이다. 60년 동안 안동 김씨는 항렬로 보면 ‘순(淳)’ 자, ‘근(根)’ 자, ‘병(炳)’ 자가 벼슬을 다 차지하고 있었다. 전주 이씨는 영락해 종실의 관례를 치를 때 주례로 세울 사람이 마땅치 않을 정도로 망했는데..
- 안동 김씨 세도정치의 전개 1
-
-
- 안동김씨 내부의 싸움 3
-
역사 그리고 피빛 향기 by 블레이드|2012/07/14 09:44
한편 1762년 사도세자가 화를 당할 때 김관주의 아버지 김한록이 대의를 위해서는 친함도 저버릴 수 있다는 《춘추좌씨전》에 나오는 문자인 대의멸친(大義滅親)의 설로써 영조에게 아뢰자 부제학 김시찬(金時粲)이 이를 꺾었던 적이 있었다. 김시찬은 김상용의 현손으로 자는 치..
- 안동김씨 내부의 싸움 3
-
- 안동김씨 내부의 싸움 2
-
역사 그리고 피빛 향기 by 블레이드|2012/07/13 09:01
1806년 1월 순조는 “사도세자가 간쟁을 용납하는 덕이 있었다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이미 정조가 임오화변에 관한 문서를 파기했고 ‘차마 듣지 못하고 차마 말하지 못하는’ 사건으로 마무리 지었기 때문에 박치원과 윤지겸 두 사람에게 벼슬과 시호를 내리는 일은 결코 불가하다.”고..
- 안동김씨 내부의 싸움 2
-
- 안동김씨 내부의 싸움 1
-
역사 그리고 피빛 향기 by 블레이드|2012/07/09 09:06
김달순 옥사도 그와 관련된 정치적 사건이었다. 김달순은 1805년 12월 벽파의 핵심인 김관주의 추천으로 우의정에 올랐다. 그는 조선 후기의 명문 안동 김씨 가문에서 1760년 1월 9일에 태어났다. 자는 도이(道爾)이고 호는 일청(一靑)이다. 그의 가계는 김수항, 김창흡, 김양겸,..
- 안동김씨 내부의 싸움 1
-
- 철종으로의 왕위 계승의 변칙, 기유예론 2
-
역사 그리고 피빛 향기 by 블레이드|2012/07/02 09:21
그런데 재야 유학자 홍직필은 안동 김씨 편에 서서 철종의 왕위 계승에 확고한 이론을 제공했다. 그는 안동 김씨로부터 그 문하에서 공부한 사람 중에 똑똑한 제자가 있으면 추천해 달라는 부탁을 받고 정실에 따라 세도가 김병기의 형 김병준을 추천했다. 그 때문에 홍직필 문하의 우..
- 철종으로의 왕위 계승의 변칙, 기유예론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