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식량원조(총 9개의 글)
'식량원조' 관련 최근글
-
- Food aid Facts - (2) 현물-구속성(Tied) 식량원조
-
사람은 의외로 멋지다 by cklist|2012/05/24 04:38
[관련글] Food aid Facts - (1) 최근의 식량원조 추세 원조 제공국에서 생산된 곡물 형태 지원하는 구속성(tied) 식량원조 - 1970대에 현물 원조는 선진국의 잉여 농산물 처분 및 시장 개척을 위한 도구로 기능하며, 식량원조 유형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함. - 1980년대부터..
- Food aid Facts - (2) 현물-구속성(Tied) 식량원조
-
- 식량위기와 영양실조 – G8/G20를 통해서 본 선진국..
-
사람은 의외로 멋지다 by cklist|2012/05/18 15:05
앞으로는 INGO의 국제개발정책 어드보카시 담당자로 일하면서 갈피 못 잡고 헤매는 이야기를 이따금 쓸 것 같다. 학교와 일터와의 거리는 수천만 킬로미터. 큰 틀을 보는 법을 배웠고, 작은 서비스를 빈곤하고 ..
- 식량위기와 영양실조 – G8/G20를 통해서 본 선진국..
-
- Food aid Facts - (1) 최근의 식량원조 추세
-
사람은 의외로 멋지다 by cklist|2012/05/16 13:09
건망증에 대처하는 차원에서 (ㅠㅠ) 논문이나 리포트를 읽은 후에 노트합니다. 기왕에 기록해 두는 것, 거친 형태로라도 공유합니다. ** 식량원조 (Food Aid)의 3가지 유형 1. 프로그램 원조 (program a..
- Food aid Facts - (1) 최근의 식량원조 추세
-
- 쌀값 폭락은 예견된 결과고 이미 지적한 사항이었다.
-
mt1716의 블로그 by 狂虎|2010/05/12 09:27
전정권 더러 퍼주기 어쩌고 하면서 명박 지지할 때부터 솔직히 예견됬었고 지적도 한 사항 아닌가? 지금와서 이러는 건 정말이지 손발 오그라들 이야기다. 자연스러운 수급과 유통 원상 회복에 적어도 2년 걸린다. 누군가의 말처럼 손가락을, 한심한 판단을 탓하라. 우리 나라는 오..
- 쌀값 폭락은 예견된 결과고 이미 지적한 사항이었다.
-
- [펌] 구호단체 CARE, 미국 정부 식량 원조 거부
-
사람은 의외로 멋지다 by cklist|2010/03/19 12:58
출처 : 경향신문 [세계의 창]베풀고도 욕먹는 美 대외식량원조 / 워싱턴 김진호 특파원 (2007년 9월 7일) 배곯는 사람에게 음식을 주는 것은 아름다운 일이다. 그러나 아무리 순수한 의도의 자선활동에도 ‘정치’가 끼어들면 왜곡된다. 미국의 대외식량원조가 국제사회의 비판을 받..
- [펌] 구호단체 CARE, 미국 정부 식량 원조 거부
-
- 최빈국 농촌을 뒤흔드는 미국의 식량 원조
-
사람은 의외로 멋지다 by cklist|2010/02/26 00:47
미국은 세계 식량 원조의 절반을 담당하고 있는 나라이자, 자국 농민에게 면적당 농업 보조금을 가장 많이 지급하는 나라다. 이 두 가지 팩트는 아프리카 최빈국들의 식량 사정에 긴밀한 영향을 미친다. 식량 원조..
- 최빈국 농촌을 뒤흔드는 미국의 식량 원조
-
- WFP 북한 구호 예산안(2009)
-
a quarantine station by sonnet|2009/11/06 13:17
WFP의 행정비용 (sprinter) 에서 트랙백 다음은 WFP의 2009년도 북한 긴급구호 사업계획서()입니다. 여기에는 두 장의 예산구성표가 첨부되어 있는데, 위 글에서 궁금해하는 경비의 규모나 각각의 명세가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참고로 이건 이대로 집행되었다는 의미는 아..
- WFP 북한 구호 예산안(2009)
-
- garry's comments(1)
-
a quarantine station by sonnet|2009/10/24 18:08
최근 제 블로그를 방문해 수 없이 많은 덧글을 남겨주고 계신 분이 계신데, 여기저기 덧글로 답하기에는 너무 산만해서 좀 모아서 답해볼까 합니다. 북은 식량을 수입할 외환이 원래 없어요. 만성적인 무역적자..
- garry's comments(1)
-
-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정책의 원칙
-
a quarantine station by sonnet|2009/10/20 07:35
다소 불필요한 이야기들이 반복되는 느낌이어서, 제 개인적으로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정책의 원칙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을 한 번 정리해 볼까 합니다. 이 문제에 대해 견고한 자기 입장을 확립한 소위 '보수'나 '진보' 외에, 우리 사회에는 그보다 훨씬 많은 부동층이 존재..
-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정책의 원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