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신숙주(총 35개의 글)
'신숙주' 관련 최근글
-
- 신숙주의 유언.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21/07/28 11:27
《반일 종족주의》(反日 種族主義)라는 비하에도 불구하고, 한국인이 일본에 대해 트라우마를 가지는 것은 타당하고, 분명한 역사적 이유를 가진다. 16세기에 시작한 동아시아에서 일본의 부상은 한국에게 큰 시련과 고통을 안긴 것이 사실이다. 일본이 부상하기 전인 15세기 후반..
- 신숙주의 유언.
-
- <서평> 조선회화실록
-
♣ DOMVS...DINOSAVRIA by K I T V S|2019/11/24 23:22
(인증 샷과 낙서를 나란히 모음) *개인적으론 처음엔 굉장히 즐거운 마음으로 책을 읽어나갔는데 다 읽었을 땐 아쉬운 생각이 더 컸다. 그냥 조선 역사가 비극으로 끝나서 기분 나쁜 트라우마가 떠오른 걸 수도 ..
- <서평> 조선회화실록
-
- [일본] 신숙주의 유언?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9/07/28 10:22
"아베 신조가 동북아에서 왕따를 당했는가?" 1471년 <해동제국기>에서 신숙주는 일본의 부상에 대해 경계했다. “습성은 굳세고 사나우며 칼과 창을 잘 쓰고 배의 조정에도 능숙하다. 우리와는 바다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바라보고 있는데, 그들을 달래는데 그 도를..
- [일본] 신숙주의 유언?
-
-
- 맘편히 취할 수 있는 인간실격패
-
본격 패자전문 기생집 <인간실격패 알고보니 부전승> by 강드림주석|2016/05/26 23:52
세종대왕은 연구중 잠든 집현전 학자에게 용포를 덮어주었고,국회의원 후보 강드림은 술취해 잠든 취객의 안위를 염려하여 자켓을 덮어줍니다.맘편히 취할수 있는 세상.강드림과 만들어 나갑시다.
- 맘편히 취할 수 있는 인간실격패
-
- 신숙주, 일본에 대해서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5/05/13 13:29
일본-중국 갈등에 대해서. "습성은 굳세고 사나우며 칼과 창을 잘 쓰고 배의 조정에도 능숙하다. 우리와는 바다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바라보고 있는데, 그들을 달래는 데 그 도를 얻으면, 조빙(제후가 ..
- 신숙주, 일본에 대해서
-
-
- "성삼문처럼 옳은 길이지만...
-
글쓰기는 삶을 정리하는 기술이다 by 시간여행자|2011/12/19 14:43
"성삼문처럼 옳은 길이지만 자기도, 가족도 죽는 길을 가는 사람과 신숙주처럼 옳지 않은 길이지만 자자손손 잘사는 길을 가는 사람 중 어느 쪽을 선택할 것인가. 물론 어릴 땐 다들 성삼문이 되겠다고 하다가 나이 먹다 보면 세상이 그렇게 단순한 게 아니라는 걸 깨닫게 되겠..
- "성삼문처럼 옳은 길이지만...
-
- 신숙주를 재평가 하는 것이 과연 올바른 일인가
-
# 간이역, 꿈꾸는 식물 by 간이역|2011/12/18 17:23
신숙주의 자손들이 드라마 공주의 남자에서 자신들의 조상인 신숙주에 대해 왜곡이 들어갔다며 드라마를 만든 kbs와 작가에 대해 손해배상을 청구했다. 신숙주는 학자로서 수양대군을 모셨을 뿐 계유정난에 가담하지 않았음을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들이 이야기하듯 인터넷 '..
- 신숙주를 재평가 하는 것이 과연 올바른 일인가
-
- 집현전(集賢殿)은 어떤 기관인가? 3
-
역사와 살아가는 이야기 by 블레이드|2011/11/11 07:18
이 중 제학 이상은 겸관이었고, 부제학 이하만 전임직인 녹관(祿官)이었다. 태종이 쓰던 신하들은 집현전의 상위에, 자기가 뽑은 장래가 촉망되는 젊고 유능한 인재들은 집현전의 하위에 두었다. 집현전의 녹관을 젊은 사람들로 채운 것은 이들을 유용한 인재로 기르기 위해서이..
- 집현전(集賢殿)은 어떤 기관인가? 3
-
- 세종의 사람들(3)-훈민정음 창제 학자 8명
-
바오밥나무가 있는 별 하나... by 바오밥나무|2011/10/06 07:54
세종의 사람들(3)-훈민정음 창제에 참여한 8명의 학자 *집현전 직제학-정인지 *집현전 응교(集賢殿應敎)-최항 *부교리(副校理)-박팽년과 신숙주 *수찬(修撰)-성삼문 *돈녕부 주부(敦寧府注簿)-강희안..
- 세종의 사람들(3)-훈민정음 창제 학자 8명
-
- 세조실록 속 이시애의 난에 관한 기록-신숙주, ..
-
바오밥나무가 있는 별 하나... by 바오밥나무|2011/10/01 13:08
세조실록 속 이시애의 난-신숙주,한명회, 신면의 관한 기록 세조 42권, 13년(1467 정해 / 명 성화(成化) 3년) 5월 19일(계미) 1번째기사 이시애의 모반에 연루되었다는 의혹을 받으므로 신숙주·한명회를 가두..
- 세조실록 속 이시애의 난에 관한 기록-신숙주, ..
-
- 세조의 위징(魏徵) 신숙주, 문치(文治)의 꽃을 피우다
-
역사와 살아가는 이야기 by 블레이드|2011/09/02 06:59
세조가 신숙주를 위징에 비유한 다음의 기록은 유명하다.임금이 신숙주(申叔舟)에게 명해 술을 올리게 하니 이제(李禔)가 어전(御前)에 나아가서 아뢰기를, “신숙주는 서생(書生)이지만, 현명하고도 재능(才能)이 많습니다.” 했다. 전교(傳敎)하기를, “다만 ..
- 세조의 위징(魏徵) 신숙주, 문치(文治)의 꽃을 피우다
-
- 순리에 따라 권력의 중심에 서다 2
-
역사와 살아가는 이야기 by 블레이드|2011/08/26 09:13
내가 옛날 잠저(潛邸)에 있을 때에 외람되게 사명(使命)을 받아 당시 국가가 위태하고 의심스러운 때를 당해 다시 산을 넘고 강을 건너는 괴로움을 무릅쓰게 되었는데, 경(卿)이 이때에 참여해 나를 보좌하고 폐부(肺腑)를 내어 보여 정신(精神)과 지기(志氣)를 같이 해..
- 순리에 따라 권력의 중심에 서다 2
-
- 순리에 따라 권력의 중심에 서다
-
역사와 살아가는 이야기 by 블레이드|2011/08/25 06:58
대의(大義)란 무엇이고 순리(順理)란 무엇인가. 그것은 거스를 수 없는 대세에 순응하는 것이다. 신숙주에게 대세는 수양대군이었다. 신숙주와 수양대군의 숙명은 1452년(단종 즉위년)에 함께 명나라에 다녀오면서부터 시작되었다. 당시 수양대군은 고명 사은사를 자청했고,..
- 순리에 따라 권력의 중심에 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