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신탁통치(총 11개의 글)
'신탁통치' 관련 최근글
-
-
- 이승만과 신탁통치에 대한 어떤 프로그램의 오류
-
슈타인호프의 함께 꿈꾸는 둥지 by 슈타인호프|2019/03/28 12:16
도올 김용옥의 '이승만과 신탁통치' 강연 대부분 틀렸다(뉴스톱) 명군 휴재하려고 마음먹고 딱 쉬려고 자세를 잡았던 지난 주말에 어쩌다 연이 닿아 쓰게 된 글입니다. 인터넷에서 공개되는 매스컴상 원고로는 처음 쓰게 된 글이네요. 예전에는 블로그가 이런 글로 채워지던 시절도..
- 이승만과 신탁통치에 대한 어떤 프로그램의 오류
-
- "알베르 카뮈와 알제리 딜레마?"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8/03/21 04:07
[1900년] 미국에게 필리핀은? 앨리스 캐플런 Alice Kaplan 에 따르면, 알제리와 관련된 알베르 카뮈의 딜레마란 다음과 같은 것이었다. 그는 식민지의 불의로부터 고통당하는 사람들을 옹호하고자 했지만, 프랑스로부터..
- "알베르 카뮈와 알제리 딜레마?"
-
- 베트남에서 프랑스를 몰아내기 위한 마지막 노력?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8/03/15 16:34
[1900년] 미국에게 필리핀은? 프랭클린 루스벨트의 베트남 정책 연구의 쟁점들 중 하나는 그가 베트남 정책의 반식민주의,즉 인도차이나에서 프랑스 세력을 몰아내려는 정책을 죽기전까지 유지했는지 여부와 관련되어 있다. ..
- 베트남에서 프랑스를 몰아내기 위한 마지막 노력?
-
- [1943년]루스벨트, 전후 인도차이나 처리 방침?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7/12/04 00:59
30년대 프랑스 유학 베트남인의 좌절? 전쟁이 한창인 가운데, 미국의 루스벨트 대통령은 전후의 인도차이나 처리 방침을 밝혔다. 전후 인도차이나에서 프랑스 식민주의가 부활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었다.당시,..
- [1943년]루스벨트, 전후 인도차이나 처리 방침?
-
- 루스벨트와 스탈린 그리고 베트남...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7/11/30 16:46
30년대 프랑스 유학 베트남인의 좌절? [루스벨트와 스탈린] 스탈린과 루스벨트는 전후 인도차이나에서 프랑스 식민통치가 부활하는 것에 대해 원칙적으로 반대했다. 45년 2월의 얄타회담에서 루스벨트는 인도차이..
- 루스벨트와 스탈린 그리고 베트남...
-
- 문창극 총리 지명후보자 운지 확정
-
평범한 넷좌익골방입nida. 이글루스 프로필과같이 실명 계정을 사용하고있어요. by NET진보|2014/06/11 21:20
%EB%AC%B8%EC%B0%BD%EA%B7%B9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가 일본의 식민 지배와 남북 분단이 하나님의 뜻이라고 강연한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민족 비하 발언도 확인됐는데 문 후보자의 강연 내용 단..
- 문창극 총리 지명후보자 운지 확정
-
- 이승만의 단독정부론의 등장과 전개
-
30대 백수의 자취방 by 30대 백수|2010/06/08 03:05
이승만은 역적인가, 선각자인가…“나는 역사에 책임질 것”이정식 _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명예교수 / 정치학 1. ‘학계의 분단’이 역사왜곡을 심화 1948년 8월 15일에 있었던 대한민국 건국은 대한 독립을 위해 일생을 바쳤던 독립투사들은 물론 온 국민이 기뻐했어야 할 역사적 이..
- 이승만의 단독정부론의 등장과 전개
-
- 맥아더 포고령 - "점령군" vs. "해방군"의 차이 - 모스크바 삼상회의와 신..
-
시사평론:정론직필을 찾아서 (전체목록: 클릭~!! 펌: 무제한 허용) by 정론직필|2009/08/30 00:59
맥아더 포고령 - "점령군" vs. "해방군"의 차이 (맨아래 부록: 모스크바 삼상회의와 신탁통치의 진실) "포고령"과 "포고문"의 차이는 무엇일까? 그리고."점령군"과 "해방군"의 차이는 무엇일까..
- 맥아더 포고령 - "점령군" vs. "해방군"의 차이 - 모스크바 삼상회의와 신..
-
- 민족주의와 일제 청산
-
Anoxia Kim by 김에녹시아|2009/08/13 23:23
광복 후 한독당의 탁치논쟁은 민족주의의 지형을 변화시켰다. 반탁 주장은 결국 반공, 반소 이데올로기로 옮아갔고 결국, 친일 잔재의 청산은 이런 이데올로기 하에서 체제의 청산보다는 인적 청산에 머무르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인적 청산의 문제는 ‘민족’..
- 민족주의와 일제 청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