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아도르노(총 25개의 글)
'아도르노' 관련 최근글
-
- 건강함
-
rubber soul by 시간|2016/08/27 15:39
건강의 창궐은 그 자체로 언제나 병이기도 하다. 이 병의 해독제는 자신을 의식하는 병이며 삶 자체의 제한이다. 그런 치유력을 지닌 병이 아름다움이다. 그것은 삶을 저지하고, 그럼으로써 삶의 쇠멸을 저지한다. 삶만을 추구하느라 병을 부정하면, 그렇게 실체화된 삶은 다른 ..
- 건강함
-
-
- [Theodor W. Adorno] Minima Moralia
-
Dalbloos✳ by 달|2016/01/23 21:45
* * * 이 책을 읽게 된 계기는 대학의 교양 수업. 선생님께서 예를 들어가며 설명하셨지만대부분 전혀 이해하지 못했다. 뒤늦게 다시 책을 펼친 이유도단지 손에 닿아서다. 그래도 책을 읽으면 하고 싶은 말들이 떠오르기 때..
- [Theodor W. Adorno] Minima Moralia
-
- 아도르노 : 대중예술관
-
아침 by 모리|2015/01/11 21:00
계몽의 변증법 2장에서 아도르노는 대중예술 말 자체를 거부하였고 이는 예술이 아니라고 말한다. 대중예술이 아닌 문화산업이 적합한 말이라고 하였다. 먼저 아도르노에 대해 소개하자면 벤야민과 마찬가지로 1, 2차 세계대전을 겪은 유대인이고 좌파적 성향의 사회주의자였다. ..
- 아도르노 : 대중예술관
-
- 아도르노의 문제제기...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4/07/23 11:20
여객선 침몰사고. [아도르노][프랑크푸르트 학파] 문명의 발전과 진보에도 불구하고, "왜 인류는 진정한 인간적 상태에 들어서기 보다 새로운 종류의 야만 상태에 빠지는 것인가?" - 아도르노 - 권용선, 이성은 신화다, 계몽의 변증법, 37쪽 - 세월호 참사 등 ..
- 아도르노의 문제제기...
-
- <히틀러의 철학자들> 이본 셰라트(김민수)
-
道吾惡者是吾師, 道吾善者亦是吾師 by 김현욱|2014/07/12 21:41
나치즘이라는 사상을 만들어낸 철학은 무엇이었는가, 하는 질문는 여러 가지 의미에서 문제적이다. 학문적, 역사적, 정치적으로 말이다. "철학적 지도자"를 자처했던 히틀러는 칸트, 헤겔, 실러, 피히테, 쇼펜하우어, 니체, 바그너의 사상을 짬뽕하여 나..
- <히틀러의 철학자들> 이본 셰라트(김민수)
-
- 김사과, <천국에서>(2013)
-
weaving room by namsubin|2014/06/20 01:30
2014년 6월 22일 [창비라디오] 라디오 책다방 / 26회 <천국에서> (2013.10.14.) 작가의 육성 낭독을 들을 수 있음 - 어떤 책도 그녀의 불안을 해결해주지는 못했다. 결국 써머는 포기했다. 그녀가 기숙사 방 가득 쌓여 있던 책을 변두리 헌책방에 헐값에 팔아치운 것은 아주 근사..
- 김사과, <천국에서>(2013)
-
- "아우슈비츠 이후 서정시" 발언에 대한 아도르노의 해명
-
들숨과 날숨 by 아밀|2014/04/25 17:51
다음의 글은 아도르노의 강의를 영어 번역으로 정리한 책 Metaphysics: Concepts and Problems의 일부를 내가 (매우 의역으로) 다시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중간 중간 생략하고 괄호로 요점만 정리하고 넘어간 부분들이 있으니, 모쪼록 양해를 구한다. "내가 ..
- "아우슈비츠 이후 서정시" 발언에 대한 아도르노의 해명
-
- 나는 진정 게으름뱅이인가
-
대항해시대 by 항해자|2012/04/19 01:01
'마시멜로이야기'를 아십니까? 한 흥미로운 연구결과가 있다. 유아기의 아동들을 모아놓고 식탁 위에 먹음직스러운 마시멜로를 놓아둔 뒤, 눈 앞의 마시멜로를 먹지 않고 10분간 기다리면 마시멜로를 하나 더 준다는 제안을 한다. 아이들은 두 부류로 나뉘는데, 제안을 듣는둥 마는..
- 나는 진정 게으름뱅이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