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역사철학(총 19개의 글)
'역사철학' 관련 최근글
-
- 역사의 역사_유시민.
-
책읽는 엄마의 보석창고 by 김정수|2022/04/27 12:23
"역사가는 사실의 비천한 노예도 난폭한 지배자도 아니다. 역사가와 사실은 평등한 관계, 주고받는 관계다. 역사가는 끊임없이 해석에 맞추어 사실을 만들어 내며 사실에 맟추어 해석을 만들어 낸다. 어..
- 역사의 역사_유시민.
-
- "좋은 역사책의 조건은?"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21/10/21 07:47
그동안의 역사책 읽기의 경험을 통해 알게 된 것이 있다. 좋은 역사책은 과거 사실을 알려준다기 보다는 역사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을 다시 안겨준다는 것이다. 모든 좋은 역사책의 일관된 주제는 "역사란 무엇인가?"이다. 우리는 단지 과거의 사실을 알기 위해서 역..
- "좋은 역사책의 조건은?"
-
- 페르낭 브로델의 한마디...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21/08/03 18:35
"개인의 결정이란 역사의 파도의 물거품에 불과하다." - Tonio Andrade and Xing Hang(eds.),Sea Rovers, Silver, and Samurai,16 에서 재인용. 브로델의 역사철학이 돋보이는 한마디다. 가령, 브로델의 16세기 역사에서 주인공은 펠리페 2세가..
- 페르낭 브로델의 한마디...
-
- "메테르니히와 역사철학"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20/09/29 13:30
역사상 위대한 정치가는 역사에 대한 나름의 생각, 즉 역사철학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헨리 키신저, 샤를 드골이 그렇다. 키신저는 젊은 시절에 오스트리아 제국의 클레멘스 메테르니히에 대해 관심을 가졌다. 19세기의 장기적 평화를 설계한 메테르니히 역시 역사철학을..
- "메테르니히와 역사철학"
-
- 비코의 한마디...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9/09/24 14:27
"신이 세상을 창조했을지는 모르지만, 역사는 인간에 의해 만들어진다." - 지암바티스타 비코 18세기 역사가 - 강성학, 시베리아 횡단열차와 사무라이 :러일전쟁의 외교와 군사전략,고려대학교 출판부, 1999. 30.
- 비코의 한마디...
-
- 나경원의 역사철학...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9/02/10 12:42
나경원은 광주민주화운동에 대해서, 역사적 사실에 대한 다양한 해석은 존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고 한다. 인간은 자신의 자유의지에 따라, 과거의 사건에 대해서 자의적으로 해석할 수 있고, 사회는 이를 표현의 자유이라는 이름으로 용인해야 하는가? 물론 존 스튜어트 밀의 관..
- 나경원의 역사철학...
-
- [트럼프] 스티브 배넌의 역사관- 역사 순환 4단계설?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7/04/18 11:49
트럼프,"테러범을 고문하지 않겠다!" 2017년 4월 8일 미국 뉴욕타임스 보도 트럼프 대통령의 수석 전략가인 스티브 배넌은 한 역사이론을 숭배한다고 하는데, 이 역사이론은 미국이 위기에 근접해 ..
- [트럼프] 스티브 배넌의 역사관- 역사 순환 4단계설?
-
- 대학 역사교육과 철학의 빈곤...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6/04/26 13:42
"사학과에도 전성기가 존재했는가?" 물론 현재 대학에서 역사를 가르치는 선생님들 중에 훌륭하신 분들이 다수를 차지한다는 점을 전제로 한다는 것을 미리 알리는 바이다. 그런데, 일부 교수가 문제이다. 이를테면, 이런 문제를 내는 사람이다. ‘6·25전쟁 당시 한..
- 대학 역사교육과 철학의 빈곤...
-
- 조지 캐넌, "과거는 현재의 미래인가?"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6/04/02 13:25
"기번이 로마제국 쇠망사 저술을 결심한 이유는?" 성공의 정점에서 몰락의 징후를 발견할 수 있는가? 에드워드 기번과 조지 캐넌의 역사관의 공통점을 꼽으라면, 바로 성공의 정점에 있는 것처럼 보이는 제국의 성공의 빛이 어떤 그림자를 만들고 있는지, 혹은 성공의 ..
- 조지 캐넌, "과거는 현재의 미래인가?"
-
- 이사야 벌린이 결정론과 상대주의를 비판한 이유?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6/03/27 10:04
구글 지식의 한계? 이사야 벌린은 현대 세계의 가장 강력한 두개의 이데올로기가 존재한다고 했다 : 결정론과 상대주의 두 이데올로기는 인간이 가진 대부분의 윤리 혹은 정치적 확신에 반한다는 것이다. 두 이데..
- 이사야 벌린이 결정론과 상대주의를 비판한 이유?
-
- 아리스토텔레스, 시인이 역사가보다 위대한 이유는?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6/03/23 17:32
아리스토텔레스의 역사관은 어떤 것이었는가? <<시학>>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다음을 주장했다. 더욱이 앞에서 말한 것으로부터 명백한 사실은 시인의 역할이 실제로 일어난 일을 일러주는 것이 아니라, 일어날 수 있는 일 - 개연성 혹은 연상의 법칙에 따라 일어날 수..
- 아리스토텔레스, 시인이 역사가보다 위대한 이유는?
-
- 키신저,"역사는 과거의 기계적 반복이 아니다"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6/01/19 17:58
키신저의 경고. 중국이야기의 끝에서, 헨리 키신저는 그의 역사관의 일부를 보여준다. 키신저가 외교정책의 원칙인 독트린을 중시했던 것처럼, 그는 특정한 역사관을 가지고 있었고, 그 중 하나가 결정론의 배격이었다. 역사철학에서의 결정론과 자유의지의 대립에서, 키신저가..
- 키신저,"역사는 과거의 기계적 반복이 아니다"
-
- 레오폴트 폰 랑케의 한마디...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2/03/13 13:45
“역사에서 하나의 물질적 진보는 … 본질적 관심들의 영역에서는 인정될 수 있으나, … 도덕적인 면에서는 진보가 추적될 수 없다.” - 레오폴트 폰 랑케 - 근세사의 여러 시기들에 관하여 중에서. - 역사에서 "있는 그대의 사실"의 규명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 ..
- 레오폴트 폰 랑케의 한마디...
-
- 서기 1714년, 역사는 이제 늙고 병들었다_조구명
-
고리아이 역사공부방/Clio of Corean by 고리아이|2010/05/30 14:26
십 년이면 강산도 변한다고 하지만 백 년을 살아도 사람 사는 세상은 그다지 다를 것이 없어 보인다. 하지만, 세상을 보는 시야를 더 길게, 조금 더 길게, 장구한 역사의 시야로 확장해서 본다면 일상의 눈에서는 보이지 않던 뜻밖의 깨달음과 만날지도 모른다. 역사가 속삭이는 소..
- 서기 1714년, 역사는 이제 늙고 병들었다_조구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