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역사학(총 285개의 글)
'역사학' 관련 최근글
-
-
- 사이비역사학은 왜 위험한가?
-
초록불의 잡학다식 by 초록불|2016/03/13 18:15
[경향] 사이비역사학은 왜 위험한가? [클릭] 기 강사는 <역사비평> 기고글에서 “현재 한국 역사학은 ‘국가권력의 부당한 간섭’과 ‘사이비 역사학의 공격’이라는 상황을 헤쳐나가야 할 위기에 놓여 있다”고 끝맺었다. 이번 <역사비평> 필진들을 비롯, 30대 ..
- 사이비역사학은 왜 위험한가?
-
- 역사학계와 유사역사학계
-
초록불의 잡학다식 by 초록불|2016/03/04 11:40
[한국일보] 젊은 사학자들 뿔났다 "낙랑군 평양설을 식민사학 매도" [클릭] 이른바 ‘재야사학’을 두고 “상대할 가치가 없다”며 대면조차 피해왔던 강단사학계가 최근 발행된 계간 ‘역사비평’ 봄호에서 이를 정면으로 문제 삼고 나섰다. 낙랑군 위치 설정 문..
- 역사학계와 유사역사학계
-
- 인문학연구원 부설 한국고대사∙고고학 연구소 제11..
-
초록불의 잡학다식 by 초록불|2016/02/25 11:37
어제 밤에 경희대에서 <위서의 사회학>이라는 주제 아래 인문학연구원 부설 한국고대사∙고고학 연구소 제11회 콜로키움이 있었습니다. 제 발표는 유사역사학이라는 것이 무엇인가와 <환단고기>가..
- 인문학연구원 부설 한국고대사∙고고학 연구소 제11..
-
- 한국고대사·고고학 연구소 주최 제11회 콜로키엄
-
초록불의 잡학다식 by 초록불|2016/02/24 10:44
한국고대사·고고학 연구소 주최 제11회 콜로키엄이 오늘 경희대학교 문과대학 302호에서 오후 6시에 열립니다. 제1발표자로 제가 발표합니다. 주제는 "유사역사학과 환단고기" 제2발표자는 경희대 강인욱 교수님으로, 주제는 "유라시아 역사의 정통성을 둘러싼..
- 한국고대사·고고학 연구소 주최 제11회 콜로키엄
-
- 역사의 다수자/소수자 문제에 대해서...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5/12/07 04:56
최근에 디페시 차크라바르티라는 포스트모더니즘 역사학자의 유럽을 지방화하기라는 책을 읽고있다. 이른바 포스트모더니즘은 근대 역사학이 역사에서의 소수자 문제를 다루는데 한계가 있었다고 주장한다. 우선 차크라바르티는 역사에서 다수자.소수자의 구분을 문제 삼는다. 즉..
- 역사의 다수자/소수자 문제에 대해서...
-
- 한국 고대사·고고학 연구소 웹진
-
초록불의 잡학다식 by 초록불|2015/11/23 15:41
한국 고대사·고고학 연구소 웹진 [클릭] 경희대 부설 연구소인데 이런 곳이 있었군요. 제가 유사역사학이라 부르는 pseudohistory를 사이비 역사학이라 명명하고 있네요. 어차피 같은 뜻이라 뭐라 부르던 상관없습니다. 학계에서 부르는 걸 쫓아갈 생각입니다. 오늘 서울대 ..
- 한국 고대사·고고학 연구소 웹진
-
- 황우여 장관을 초대합니다? ^^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5/10/28 12:16
테르모필레의 역사란 무엇인가? 황우여 장관은 10월 30-31일 서울대 근처라도 오면 안될 것 같다. ㅠㅠ
- 황우여 장관을 초대합니다? ^^
-
- "사학과에도 전성기가 존재했는가?"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5/10/18 14:16
테르모필레의 역사란 무엇인가? [역사교육][사학과] 최근에 주변에서 역사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사람들의 이야기들을 듣다보면, 오늘날 처럼 역사학 박사들이 취직하기가 어려운 시절은 없었던 듯 하다. 이..
- "사학과에도 전성기가 존재했는가?"
-
- 문제의식 : 자유시장을 지지하는 입장에서
-
'명랑노트' Season 11. 담금질과 벼름질 by 명랑이|2015/10/17 18:32
악화가 양화를 구축하는 방법? 시장경쟁에서 열패한 자가 그 결과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오히려 국가권위를 빌어 오히려 시장 자체를 독점하려 드는 현상을 어떻게 바라봐야 할 것인가? 이 방향으로도 생각해 볼 일이다.
- 문제의식 : 자유시장을 지지하는 입장에서
-
- 역사의 가장 유용한 역할은?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5/07/29 14:18
역사가 마거릿 맥밀런 Margaret MacMillan “역사의 가장 유용한 역할 가운데 하나는 오늘날 우리가 보기에 틀렸거나 불명예스러운 목표를 과거 세대들이 얼마나 열심히 정직하고 고통스럽게 추구했는지 우리로 하여금 깨닫게 하는 것이다.“ - 존 케리 영국 작가
- 역사의 가장 유용한 역할은?
-
- 역사적 사건의 설정놀음에 관하여
-
硏省齋居士의 雜學庫 by 연성재거사|2015/06/15 17:54
슈타인호프님도 대체역사로 소설을 쓰고 계시고, 예쁘다 싶으면 닥치는 대로 밝히는 모님도 대체역사 소설을 쓰고 계시기에 생각난 역사학에 대한 잡설 하나. 우리는 흔히 과거의 역사에 대해 '만약 ~였다면/~했다면.'이라..
- 역사적 사건의 설정놀음에 관하여
-
- 역사학을 중고생에게 가르쳐야 하는 이유
-
초록불의 잡학다식 by 초록불|2015/06/10 11:08
그러니까 한국 교육의 문제점, 아니 한국 역사 교육의 문제점은 역사를 통해 "민족의 자긍심"을 키워주려고 하는데 있다. 이 전체주의적 사고는 일견 사회공동체로서 당연한 것 아니냐는 그야말로 보편적 시각에 발 맞추어 실제로는 인종주의적, 국수주의적 가치관을..
- 역사학을 중고생에게 가르쳐야 하는 이유
-
- 운명과 인위의 접점[天人之際]에서 이루어지는 역..
-
硏省齋居士의 雜學庫 by 연성재거사|2014/12/18 23:16
운명의 역사가 있을까? 파리 13구님 글에서 트랙백 아마 좋은 역사가가 되려는 사람은 필연과 작위[天人之際]가 만나는 접점에서 필연과 작위를 신중하게 변별해야만 할 것이다. 필연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작위를 보태지 ..
장학성, 문사통의, 역사학, 필연과_작위의_접점
- 운명과 인위의 접점[天人之際]에서 이루어지는 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