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역사학(총 285개의 글)
'역사학' 관련 최근글
-
- 수배Wanted^_^))
-
고리아이 역사공부방 : Corean Clio by 고리아이|2013/05/24 17:48
항암치료는 어디까지나 항암치료일 뿐이겠지영_너무 신선놀음을 하는 듯해서 말이지영의정부를 비롯하여 경기북부에 암약(!)하고 계시는역사학도, 고고학도, 그리고 인류학도들을 수배합니다영_아울러 이에 관심 있..
- 수배Wanted^_^))
-
- 근대 유럽에서의 대중의 탄생...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3/04/17 10:28
"독일인들이 지식 공유를 싫어하는 이유?" [공공화] [사생활] [대중] 근대 유럽에서의 대중의 탄생 :사람,사물,지식의 형식Making Publics in Early Modern Europe: People, Thi..
- 근대 유럽에서의 대중의 탄생...
-
- 간만의 생존신고.....
-
進省堂居士의 跆緣齋 by 진성당거사|2013/03/26 14:51
1.정말 오랜만입니다. 사실 지난 1월 막바지에 세조 어진 관련 포스팅 하나 하고서는 이 블로그에 공지 몇 개를 빼고서는 아무 생산적인 글을 쓰지 못해서 그저 죄송하고 막막할 따름입니다. 애초에 이 천학의 블로그를 찾아주시는 분이 거의 없긴 합니다만. 2. 3월 이래 월수금은 학..
- 간만의 생존신고.....
-
- 폴리비우스의 한마디...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2/12/28 13:42
"……역사가는 선정주의로 독자를 놀라게 하려고 애써서는 안 되며, 비극 시인들처럼 누군가가 말했음직한 발언을 추적하거나 현재 일어나고 있는 사건의 가능한 결과를 망라하려고 애써도 안 되고, 평범하더라도 실제로 일어난 일과 실제로 이루어진 발언을 그대로 기록하..
- 폴리비우스의 한마디...
-
- "진주만 기습의 원인을 파악하는 방법은?"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2/10/31 17:59
[역사학] [인과관계] [적절성 체감의 원리] 역사에서 인과관계를 파악하는 한 기준은? 존 루이 개디스의 <역사의 풍경>을 보면, 역사에서 인과관계를 파악하는 방법과 관련된 한 사례가 제시된다. 가령, 일본의 진주만 기습의 원인은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여기서 일..
- "진주만 기습의 원인을 파악하는 방법은?"
-
- 블로크, "역사 연구의 정당성?"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2/10/31 13:19
마르크 블로크, 역사학이란. [역사학] "이 초라한 세상에서 능히 한 사람의 전 생애를 바쳐야 할 만큼, 역사의 세세한 부분까지 밝히는 지루한 작업을 위해서 일해야 하는데, 그것이 기껏 우리가 가진 한 가지 오락을 약간의 진실로 감싸는 것에 그친다면, 그것은 범죄에..
- 블로크, "역사 연구의 정당성?"
-
- 역사의 몇가지 법칙들...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2/10/31 11:26
경제 개발이 진행될수록, 출생률이 저하된다. 제국은 스스로의 능력 이상으로 팽창하려는 성질을 가진다. 민주주의 체제는 서로간의 전쟁을 피한다. 양극 체제가 다극 체제보다 본질적으로 더 안정적이다. 등.
- 역사의 몇가지 법칙들...
-
- "과거는 현재의 인간을 현명하게 만든다!"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2/10/31 10:28
역사가 카에 따르면, 역사는 획득한 능력을 세대에서 세대로 전승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진보다. 인간의 뇌 용량과 사고 능력은 아마 500년전 사람들과 다름이 없겠지만, 현대인이 그 때 사람들보다 더 진보했다고 할 수 있는 것은 그 동안 여러 세대의 경험을 배우고, 그것을 자기 경험..
- "과거는 현재의 인간을 현명하게 만든다!"
-
- 역사관련 글 작성을 위한 조언(1)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2/10/31 09:27
역사학에서는 아무리 훌륭한 주장을 가지고 있어도, 이를 뒷받침 해주는 증거 혹은 사료가 없으면 무의미하다. 따라서 증거없는 무모한 일반화는 단순한 억지 주장에 불과하다. 자신의 주장과 관련해서, 예상되는 다양한 질문들에 대비해서 가능한 많은 증거들을 모으는 것이 좋다..
- 역사관련 글 작성을 위한 조언(1)
-
- 우리 시대의 ‘역사란 무엇인가’
-
고리아이 역사공부방 : Corean Clio by 고리아이|2012/09/16 00:33
어제 의정부정보도서관에서 만난 ≪역사비평≫100호에 실린 특집 가운데 하나인 <역사를 묻는다, 듣는다>는 ≪역사비평≫ 편집위원들이 14분의 역사학자들에게 던진 일곱 가지 질문에 답을 정리한 것이다. 강만길ㆍ..
- 우리 시대의 ‘역사란 무엇인가’
-
- "과거란?"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2/08/10 10:51
"과거는 외국이다. 거기서 사람들은 다르게 산다" "The past is a foreign country: they do things differently there." 영국 작가 L P 하틀리의 1953년 소설 '중개자'을 시작하는 문장.
- "과거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