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영국해군(총 60개의 글)
'영국해군' 관련 최근글
-
- 1931년 만주사변과 영국해군?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22/05/18 08:10
1931년 만주사변과 영국해군? 1930년대초에 영국 엘리트들은 대전략을 구상하면서, 한정된 자원을 가지고 어떻게 해외제국과 유럽 본토에서의 국익을 지킬 수 있는지 고심했다. [해외제국과 유럽 본토 둘 다 지킬 수 없었고, 선택이 불가피했다.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안보를 위해 보다..
- 1931년 만주사변과 영국해군?
-
- 전간기 영국해군과 독일,일본에 대한 균형?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22/05/18 05:45
전간기 영국해군과 독일,일본에 대한 균형? 영국은 전승국이었지만, 1차 세계대전 이후 거의 모든 방면에서 전략적 약점이 노출되었다. 하나의 예외는 근해 近海에서의 해군 상황이었다. 1920년대와 1930년대 초에 군당국에 가해진 심각한 예산상의 제약에도 불구하고, 영국해군은 ..
- 전간기 영국해군과 독일,일본에 대한 균형?
-
- 20세기초 영국 외교정책과 해군 재배치?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9/11/05 10:51
[1894년] 영국의 더 타임스의 한마디. 20세기초 영국 외교정책은 미국과의 우호, 영일동맹 그리고 영불협상을 핵심으로 했다. 이런 외교 덕분에, 영국 해군은 미국과의 우호로 대서양에서, 영일동맹으로 태평양에서 그리고 영불협상으로 지중해에서 함정을 충원, 본토 주변으로..
- 20세기초 영국 외교정책과 해군 재배치?
-
- 영일동맹과 아시아의 영군 해군력?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9/10/23 14:23
[1894년] 영국의 더 타임스의 한마디. 아시아에서의 영국 해군력 감축. 영일동맹을 통해서 영국은 영연방의 방어를 일본에게 위임할 수 있었다. 19세기 말에 영국은 극동에 38척의 전함과 순양함을 배치했다. 하지만 10년 후에 그 수는 절반이 되었고, 계속 축소되었다. James Nels..
- 영일동맹과 아시아의 영군 해군력?
-
- 전함, 순양함은 어디에?
-
슈타인호프의 함께 꿈꾸는 둥지 by 슈타인호프|2019/07/29 10:41
[현미경] 물새는 항모·뭉개진 잠수함… 대영제국 해군이 어쩌다 이 지경(조선일보) 영국 해군의 이런 위상은 1차 세계대전까지 유지됐다. 1910년대 영국은 세계 해군력의 34%를 차지해 2위인 독일(17%), 3위인 미국(13%)을 압도했다. 2차 대전 시작 무렵인 1939년엔 미국에 1위..
- 전함, 순양함은 어디에?
-
- [42년] 루스벨트의 전쟁 인식은?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9/04/13 09:31
대만과 일본 그리고 제2차세계대전? 1942년 여름, 루스벨트가 재무장관에게, “우리가 전쟁에서 승리하느냐 패하느냐의 문제는 러시아인에게 달려있다. 만약 러시아인들이 올 여름동안 버티고, 350만 독일인을 전쟁에서 발목을 잡아주면, 우리는 결정적으로 승리할 것이다. 일단 ..
- [42년] 루스벨트의 전쟁 인식은?
-
- 마한, 영국이 다른 유럽국가와 다른 점은?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9/03/08 13:05
[36년] 서안 사변의 장개석과 스탈린? 알프레드 마한에 따르면, 인접 강대국에 대해 방어해야 할 육지 국경선을 가진 유럽 각국 중에, 해상의 패권을 얻기 위한 인적 및 물적 자원을 육군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배당받을 수 있는 나라는 없었다. 에드워드 얼 (편.), 新戰略思想史..
- 마한, 영국이 다른 유럽국가와 다른 점은?
-
- [39년]영국의 3단계 전쟁전략은?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8/12/07 13:35
[36년] 서안 사변의 장개석과 스탈린? 1939년 3월 히틀러가 프라하를 점령했을 때, 체임벌린의 유화정책은 끝장났다. 비로서 영국은 히틀러에 대한 양보가 무용지물이란 사실을 알게되었다. 39년 봄, 영국 참모본..
- [39년]영국의 3단계 전쟁전략은?
-
- [31년] 영국 해군전략의 딜레마?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8/11/08 07:20
[36년] 서안 사변의 장개석과 스탈린? 1931년에 만주사변이 발생할 즈음은, 독일의 히틀러 집권 이전이었고, 무솔리니의 이탈리아가 지중해를 위협하기 전이었다. 1931년 4월, 영국의 해군장관은 이렇게 말했다...
- [31년] 영국 해군전략의 딜레마?
-
- [35년]아비시니아 위기와 주저하는 영국 그리고 일본?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8/11/07 14:07
[36년] 서안 사변의 장개석과 스탈린? 무솔리니 왈, "국제연맹은 아무것도 할 수 없다!" 1934년 11월에 이탈리아-아비시니아 국경에서 양국 군대가 심각하게 충돌하고, 아비시니아가 침략을 국제..
- [35년]아비시니아 위기와 주저하는 영국 그리고 일본?
-
- [21년]워싱턴 군축조약과 영국의 쇠락...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8/11/05 13:55
[36년] 서안 사변의 장개석과 스탈린?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Washington Naval Treaty)은 1921년 11월 11일에서 1922년 2월 6일 까지 미국의 워싱턴 DC에서 개최된 워싱턴 회의 중 해군의 군축 문제에 대한 토..
- [21년]워싱턴 군축조약과 영국의 쇠락...
-
- 제국의 방대함의 약점인가?-1895년의 대영제국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6/07/19 00:24
미국은 제국인가, 패권국인가? 폴 케네디에 따르면, 19세기말 대영제국의 정치가들은 다음 난관에 직면했다. <대영제국의 위기> “19세기 후반의 영국은 세계 강대국을 시도하던 때가 확실히 아니었다.” 영국 정치가들은 문자 그대로 세계적인 차원에서 외교적 • 전략적인..
- 제국의 방대함의 약점인가?-1895년의 대영제국
-
-
-
- 17~ 18세기 당시 해군, 해적의 계급과 서열
-
Never stop evolving by 강한소리|2014/08/30 11:59
해적의 계급 1. 선장 : 해적들의 투표에 의해서 뽑힌 자리이다. 선장은 해적 장교에 관한 선임권과 해군과의 해전 중에는 절대적인 명령권을 가지고 있다. 해적의 1인자인 선장이 절대적인 명령권을 독점할수 있을 때는 전투 상황에만 가능하고 평상시에는 해적의 2인자라 할수있는 '..
- 17~ 18세기 당시 해군, 해적의 계급과 서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