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유대유(총 16개의 글)
'유대유' 관련 최근글
-
- 유대유 검경(劒經)
-
반달곤술기(記) by 반달검|2021/07/30 16:07
- 유대유 검경(劒經)
-
- 기효신서 당파 하편 당파vs도 (紀效新書 鏜鈀 下篇 鈀對刀)
-
아부 사이프의 전투의 예술(Kunst des Fechten) by 아부사이프|2020/08/14 04:01
당파 상편 당파vs창 기효신서수록 당파습법해설 (紀效新書收錄 鏜鈀習法解說) 0:42 상대가 하단으로 칠 경우 2:03 내가 찔렀는데 상대가 하단을 칠 경우 3:12 대당 소당 대압 소압 3:46 당파를 연습하는 10걸음의 보법 4:53 걸어내리기와 아래쪽으로 유수보 6:01 당파로 연법에 대항하는 법 7:13..
- 기효신서 당파 하편 당파vs도 (紀效新書 鏜鈀 下篇 鈀對刀)
-
- 기효신서 당파 상편 당파vs창 (紀效新書 鏜鈀 上篇 鈀對鎗)
-
아부 사이프의 전투의 예술(Kunst des Fechten) by 아부사이프|2020/08/11 16:51
0:35 무예제보수록 당파투로시연(武藝諸譜收錄 鏜鈀套路試演) 무예제보수록 당파투로해설(武藝諸譜收錄 鏜鈀套路解說) 2:17 朝天勢조천세 2:39 進步勢진보세 2:56 騎龍勢기룡세 3:55 伏虎勢복호세 4:30 架鎗/拏鎗/騎龍 가창/나창/기룡 차(叉)라고도 불리는 당파는 민(閩,복건성),..
- 기효신서 당파 상편 당파vs창 (紀效新書 鏜鈀 上篇 鈀對鎗)
-
- 대봉투로의 대당 4번이 돌려치기인가?
-
아부 사이프의 전투의 예술(Kunst des Fechten) by 아부사이프|2020/07/04 05:35
이 점은 나는 일단 아니다 라고 보는 입장이다. 먼저 연구 초기에는 돌려치기가 맞다고 생각했는데, 그 이유는 : 1.대봉 투로의 후계자인 우슈 봉술에서 돌려치기가 기본이다. 2.영향을 주거나 받았을 것으로 추정되는 일본, 인도 봉술에서도 돌려치기가 기본이다. 3.특히 인도 칼..
- 대봉투로의 대당 4번이 돌려치기인가?
-
- 기효신서 투창은 사실 두종류
-
아부 사이프의 전투의 예술(Kunst des Fechten) by 아부사이프|2020/05/15 02:26
국내에선 무예도보통지만 보다 보니 등패(등나무 방패)를 쓸때 원거리에서 던진다는 표창을 한가지만 인식하지만 보니까 막상 표창(투창)은 두가지였습니다. 무거운 투창은 이두표창이라 하며 길이 7척(147..
- 기효신서 투창은 사실 두종류
-
- 검경의 영상 해설 1편
-
아부 사이프의 전투의 예술(Kunst des Fechten) by 아부사이프|2020/03/27 23:12
검경의 영상화는 순조롭습니다. 주해도 다 끝난지 오래고 검경 총보목의 기술들도 거의 다 해명되었고요. 다만 정기당집의 검경이 원조인만큼 기효신서에 실린 것보다 내용도 더 많고 특히 보법 연습을 위한 투로가 지정되어 있어서 기효신서 버전을 따르기보다는 다음부터는 다시..
- 검경의 영상 해설 1편
-
- 형초장검의 개요(荊楚藏劍之概要)
-
아부 사이프의 전투의 예술(Kunst des Fechten) by 아부사이프|2020/01/08 18:56
고대 주나라에서 서융족에 의해 처음으로 청동검이 들어온 이래로, 검은 점점 길어져 초나라에서는 날길이 1m, 손잡이 40cm에 달하는 쌍수검을 만들어내었고 장협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각국에 유행했습니다. 진시황도 형가의 암살사건 당시 녹로라는 이름의 장검을 차고 있었고..
- 형초장검의 개요(荊楚藏劍之概要)
-
- 유대유(兪大猷) 검경(劍經) - 2편 검경의 기본기 해설
-
아부 사이프의 전투의 예술(Kunst des Fechten) by abu Saif al-Assad|2019/11/23 19:05
0:14 체(剃)의 해설 0:42 음양수(陰陽手)의 역할 1:29 음양의 변화에서 주의할 점과 다리굽히기(折脚) 2:01 앞손, 뒷손, 허리 힘의 중요성 2:25 대문과 소문, 대침 3:19 당직파타체대돈좌대전 & 게도소획좌체소전 5:37 검경에서의 대와 소의 개념 정리 *원문의 순서는 기효신서에..
- 유대유(兪大猷) 검경(劍經) - 2편 검경의 기본기 해설
-
- 정기당집에 실린 검경 원문(간자체)
-
아부 사이프의 전투의 예술(Kunst des Fechten) by abu Saif al-Assad|2019/11/08 02:16
유대유의 검경 원문은 원래 문집인 정기당집에 실려 있습니다. 그리고 기효신서에 실린 것과는 내용 구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정기당집의 검경에는 당파와 곤법이 함께 실려있는데 기효신서에서는 따로 빼놓았고, 기효신서의 내용에서는 빠진 것들도 실려 있습니다. 그래서 원문..
- 정기당집에 실린 검경 원문(간자체)
-
- 검경의 독자 주해 4편
-
아부 사이프의 전투의 예술(Kunst des Fechten) by abu Saif al-Assad|2019/10/31 03:43
大門高對打我, 且將棍起在高{連脚抽回些些}, 遲斯須進步壓打下, 卽進扁身中欄殺. 若我打去, 他棍提回讓我, 我須勿將棍尾打下, 只進步對他胸喉直殺去. □ 대문(大門)으로 높이 나를 쳐 올 때, 나는 곤을 높이 치켜 든 채로, {연달아 다리를 조금씩 빼며..
- 검경의 독자 주해 4편
-
- 유대유(兪大猷) 검경(劍經) - 1편 세 교사의 박위(三敎師之拍位)
-
아부 사이프의 전투의 예술(Kunst des Fechten) by abu Saif al-Assad|2019/10/28 23:15
검경에서는 유대유에게 검술을 가르친 이량흠 이외에도 임염, 유방협이라는 다른 두명의 교사가 언급됩니다. 이들 모두 스타일은 확연히 달라서 이량흠은 막고(당) 봉을 뒤로 뺐다가(발) 상대의 봉을 짓눌러버리는(세락) 기법을 주특기로 한 반면, 유방협은 발체세락을 ..
- 유대유(兪大猷) 검경(劍經) - 1편 세 교사의 박위(三敎師之拍位)
-
- 유대유(兪大猷) 검경(劍經) the beginning
-
아부 사이프의 전투의 예술(Kunst des Fechten) by abu Saif al-Assad|2019/10/21 21:15
유대유 검경의 총결가 부분부터 우선 재현해 보았습니다. 총결가는 말 그대로 원리를 나타내어 시로 외우기 쉽게 만든 축약본이라, 구체적인 기술을 가르친다기보다는 검경을 전체적으로 관통하는 원리, 지침을 나타냅니다. 그래서 영상에서 보여주는 동작이나 기술은 총결가에..
- 유대유(兪大猷) 검경(劍經) the beginning
-
- 검경의 독자 주해 3편
-
아부 사이프의 전투의 예술(Kunst des Fechten) by abu Saif al-Assad|2019/09/29 07:17
□ 이룡쟁주살(二龍爭珠殺)은 아래로 채(採)는 것으로, 곤을 제(提)하고 기(起)하는 것을 사용하지 않는다. 이 묘(妙)는 모두 수법(手法)상에 있다. 전후수(前後手)에 모두 법(法)이 바르게있어야 하니 교사(敎師) 동염부(童琰父)가 말한‘임시..
- 검경의 독자 주해 3편
-
- 검경의 독자 주해 2편
-
아부 사이프의 전투의 예술(Kunst des Fechten) by abu Saif al-Assad|2019/09/27 04:12
검경 주해 2탄입니다. 여기서부터 점점 어려워지네요. 가뜩이나 다른 명나라 무술과는 묘하게 단어의 뉘앙스가 다른 검경이라 참고할 곳도 많지 않은데 검경 내부에서도 인용수가 적어 뉘앙스를 추정하기 어려운 단어들이 ..
- 검경의 독자 주해 2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