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이사야벌린(총 11개의 글)
'이사야벌린' 관련 최근글
-
- [다이소] 공화국이란 무엇인가?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8/06/27 10:42
다이소가 대형마트와 마찬가지로 문구류 판매 제한에 나서기로 했다. 다이소의 이번 조치를 환영한다. 이는 공화국 가치를 대변하는 것이다. 프랑스에서 공화국의 가치란 단순하다. : 더불어 함께 사는 사회. ..
- [다이소] 공화국이란 무엇인가?
-
- 이사야 벌린의 한마디...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8/06/07 14:35
이사야 벌린,"인간은 의자와 어떻게 다른가?" "늑대를 위한 자유는 자주 양들에게 죽음을 의미한다." -이사야 벌린
- 이사야 벌린의 한마디...
-
- 이사야 벌린,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할 수 있는가?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6/03/29 10:53
"E.H. 카는 대독 유화론자 였다!" 이사야 벌린에 따르면, 현실주의의 문제점들 중 하나는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한다는 것이다. 이는 공리주의와도 관련이 있다.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라는 목..
- 이사야 벌린,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할 수 있는가?
-
- 이사야 벌린이 결정론과 상대주의를 비판한 이유?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6/03/27 10:04
구글 지식의 한계? 이사야 벌린은 현대 세계의 가장 강력한 두개의 이데올로기가 존재한다고 했다 : 결정론과 상대주의 두 이데올로기는 인간이 가진 대부분의 윤리 혹은 정치적 확신에 반한다는 것이다. 두 이데..
- 이사야 벌린이 결정론과 상대주의를 비판한 이유?
-
- 이사야 벌린,"인간은 의자와 어떻게 다른가?"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6/03/26 04:25
구글 지식의 한계? E.H. 카의 <<역사를 무엇인가>>를 읽다보면, 이사야 벌린이 자주 언급된다. 비판적인 의미에서 말이다. 카의 역사란 무엇인가는 이사야 벌린의 "역사적 불가피성"이란 글에 대한 반론의 차원도 있다고 한다. 카와 벌린 논쟁의 쟁점..
- 이사야 벌린,"인간은 의자와 어떻게 다른가?"
-
- 이사야 벌린과 루이스 네이미어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6/03/25 03:55
구글 지식의 한계? 루이스 네이미어 루이스 네이미어는 카의 역사란 무엇인가를 읽다보면 자주 언급되는 영국의 역사가이다. 이사야 벌린 평전을 읽다가, 벌린과 루이스 네이미어의 만남을 다음과 같이 언급하는 대목을 발견했다. 1930년대 영국 옥스퍼드 대학의 올소울즈 칼리지는 존..
- 이사야 벌린과 루이스 네이미어
-
- 이사야 벌린과 1933년 옥스퍼드의 분위기...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6/03/25 03:33
구글 지식의 한계? 1933년 겨울, 벌린은 칼 마르크스 평전을 써보라는 제의를 받았다. (라트비아 리가 출신으로 러시아 혁명의 공포를 체험한) 이사야 벌린이 마르크스의 이론에 대해 혐오감을 가질 것이라 생각..
- 이사야 벌린과 1933년 옥스퍼드의 분위기...
-
- 구글 지식의 한계?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6/03/25 03:09
Isaiah Berlin 우리는 보통 Isaiah Berlin을 이사야 벌린으로 읽는다. 베를린은 인공지능적 한계인가? ㅠㅠ 따라서, 이사야 벌린을 "베를린"으로 읽는 글은 무시해도 좋다고 생각한다.
- 구글 지식의 한계?
-
- [고대 아테네]적극적 자유와 소극적 자유...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4/11/17 15:55
[자유][적극적 자유][소극적 자유][이사야 벌린] -법치주의는 왜 자유의 문제인가? 자유에는 적극적 자유와 소극적 자유가 있다는 점을 강조한 것은 바로 이사야 벌린이었다. [이사야 벌린의 자유론을 읽으면 도움이 된다.] 고대 그리스 아테네인에게 자유란 바로 소극적..
- [고대 아테네]적극적 자유와 소극적 자유...
-
- 세계를 변화시킨 사나이《칼 마르크스》
-
착선의 독서실 by 착선|2014/01/06 13:21
근현대를 통틀어 카를 마르크스만큼 강력한 영향을 행사한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마르크스의 지적, 도덕적 영향력은 지구 어느곳에나 존재했고, 존재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독재정권 당시 마르크스의..
- 세계를 변화시킨 사나이《칼 마르크스》
-
- 안철수와 독서에 대하여
-
글쓰기는 삶을 정리하는 기술이다 by 간서치|2005/04/08 00:34
도서관에서 안철수의 새 책을 훑어봤다(책제목 :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안철수를 처음 안 때는 대학교에 입학한 해이다. 본격적으로 독서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꾸준하게 읽기를 실천해 나가는 초기에 그의 책을 만났다(별난 컴퓨터의사 안철수). 내 독서행위의 시작에 가장..
- 안철수와 독서에 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