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이성산성(총 10개의 글)
'이성산성' 관련 최근글
-
- 발굴보고서에 대한 섬뜩한 이야기
-
역사와 살아가는 이야기 by 블레이드|2011/07/01 08:11
이성산성 발굴보고서 이야기를 자꾸 하게 되는 이유는 이게 한 사건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전례가 되기 때문이라는 말은 이미 한 적이 있다. 이미 그러한 영향은 지겹도록 경험하고 있다. 최근 있었던 학회에서 후배에게 재미있는 이야기를 들었다. 뒤풀이 자리에서 서로 고고학 자료..
- 발굴보고서에 대한 섬뜩한 이야기
-
- 이성산성의 실체에 대한 견해차이
-
역사와 살아가는 이야기 by 블레이드|2011/06/30 10:35
여기에 대한 혼선의 기본적인 원인은 왕성과 도성 개념을 분리하지 않기 때문인 것 같다. ‘최몽룡 선생님이 이를 4세기때 백제 근초고왕이 이도한 한산으로 보고 있다’는 말이 우리 책에 나오는 백제 도성체계와 큰 차이점이라도 있는 것처럼 소개되었는데, 필자로서는 무엇 때문에..
- 이성산성의 실체에 대한 견해차이
-
- 이성산성 8차 발굴보고서가 악용되면
-
역사와 살아가는 이야기 by 블레이드|2011/06/29 08:41
마지막 글 이미 작성해놓은 글 올리느라 필자는 유연성이 좀 떨어진다는 점 양해해주시고. 최몽룡선생 글은 내렸다. 혹시 추가로 내려야 할 글이 있으면 그렇게 하겠다. 이항복 기자 문제에서는 지난번 포스팅에 잠깐 밝혔는데. 압력 넣은 당사자 실명 거론하기 부담스러워 압력의 ..
이성산성, 백제왕성, 강찬석, 이성산성8차발굴보고서
- 이성산성 8차 발굴보고서가 악용되면
-
- 이성산성 8차 발굴보고서의 왜곡과 악용과정
-
역사와 살아가는 이야기 by 블레이드|2011/06/28 08:09
한국의 고고학계 유물조작? 이쯤에서 이성산성 8차 발굴보고서가 어떻게 왜곡되고, 그렇게 왜곡된 내용이 어떻게 악용되었는지 한번쯤 정리해둘 필요가 있겠다. 우선 외압을 넣어서까지 발굴보고서를 왜곡시키려 했던 배경부터. 그동안 이성산성에 대한 발굴을 주도해 왔던 한양대..
- 이성산성 8차 발굴보고서의 왜곡과 악용과정
-
- 발굴보고서 왜곡사건이 이성산성에 대한 견해차 때문?
-
역사와 살아가는 이야기 by 블레이드|2011/06/27 08:16
한국의 고고학계 유물조작? 어제 WA님이 최몽룡선생의 뜻을 확인했다는 메일 내용을 보내왔다. 내용을 보니, 그러면 그렇지. 이건 발굴보고서 외압사건에 대해 그런 일 없었다고 증언한 게 아니라 필자가 올린 과격한 제목을 보고 이름이 올라와 있는 자체에 불쾌감을 표시한 내용..
- 발굴보고서 왜곡사건이 이성산성에 대한 견해차 때문?
-
- 발굴보고서 왜곡사건이 왜곡되었다고?
-
역사와 살아가는 이야기 by 블레이드|2011/06/26 08:24
한국의 고고학계 유물조작? 주변에서 말려서 그만하려고 했는데, 이런 정도로 곡해를 하면 여러 사람 명예가 더럽혀진다. 아무리 좋게 생각해주려 해도, 일껏 설명해준 부분에 또다시 곡해를 해서 올린다면 별 소용이 없지 않는가?특히 이성산성 8차발굴보고서 왜곡 사건에 대해서...
- 발굴보고서 왜곡사건이 왜곡되었다고?
-
- 발굴보고서 왜곡과 고고학계 분위기
-
역사와 살아가는 이야기 by 블레이드|2011/06/23 09:07
논점의 요지? 이성산성 8차 발굴보고서에 대한 논쟁이 개인적인 차원으로 비치는 것 같으니, 이제는 한 개인의 문제를 떠나 사회적으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보는 차원에서 따져보자. 참 트랙백보고 급히 한마디 덧붙인다. 최몽룡선생께서 화내신 이유를 가지고 자꾸 백제토기가 ..
- 발굴보고서 왜곡과 고고학계 분위기
-
- 발굴보고서 왜곡의 의미
-
역사와 살아가는 이야기 by 블레이드|2011/06/21 09:55
논지 이해가 아니라 매너의 문제 여기 여러 분들의 명예가 걸린 문제라서 강한 말이 오고가게 된 것 같은데, 차분하게 이성산성 8차 발굴보고서의 의미를 되짚어보자. 이걸 자신의 오류를 물고 늘어진다고 생각하는 것 같은데.그리고 이건 한 개인의 오류에 대한 문제가 아니라, 어..
- 발굴보고서 왜곡의 의미
-
- 『잃어버린 백제 첫 도읍지』에 대한 서평
-
Warfare Archaeology by Warfare Archaeology|2011/06/17 00:33
잃어버린 백제 첫 도읍지 강찬석 지음 / 소나무 나의 점수 : ★★★ 학계의 중론을 과감하게 비판한 것은 좋으나, 고고학적 공파 근거가 너무 취약해서 아쉬운 책. 하지만 백제 도성이 어디에 있었느냐~에 대한 좋은 시사점을 보여주고 있다. 오늘은 간만에 백제사 관련한 책을 소개..
- 『잃어버린 백제 첫 도읍지』에 대한 서평
-
- 폐허의 옛 절터를 거닐다 ~ 하남 춘궁동동사지 (춘궁리3/5층석탑)
-
백사골선비의 여행, 역사, 자연이야기 by 백사골선비|2010/02/22 19:18
' 가을의 길목에서 찾아간 하남시 춘궁동 나들이 ' ▲ 춘궁동 3층/5층석탑 * 다음블로그 글 보러가기 ☞ 여름의 제국을 남쪽으로 밀어내고 하늘 아래 세상을 곱게 수식하던 가을의 한복판에 17년 의 숙성을 자랑하는 오랜 친구를 끌고 하남시 춘궁동을 찾았다. 하남시(河南市)는 인구 1..
- 폐허의 옛 절터를 거닐다 ~ 하남 춘궁동동사지 (춘궁리3/5층석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