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이토히로부미(총 79개의 글)
'이토히로부미' 관련 최근글
-
-
-
-
- 이토, 1898년 동아시아 정세의 전망?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9/11/29 12:44
[1894년] 영국의 더 타임스의 한마디. 1897년말-1898년초, 독일의 교주만 조차와 러시아의 여순,대련 점령으로 동아시아 위기가 발생했다. 위기를 맞아 개최된 겐로 회의에서 이토 히로부미는 다음을 주장했다. 일본은 부화뇌동하지 말로 신중한 중립정책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었..
- 이토, 1898년 동아시아 정세의 전망?
-
- "황화론과 이토 히로부미?"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9/10/20 23:07
[1894년] 영국의 더 타임스의 한마디. 황화도와 관련된 재미난 일화가 전해진다.영일동맹이 체결되기 한달 전 유명한 일본 정치인이 런던의 한 저택을 방문했다.그곳에는 독일황제 빌헬름 2세가 그리게 한 황화도..
- "황화론과 이토 히로부미?"
-
- 1901년, 이토 히로부미의 정치력은?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9/07/25 11:27
[1894년] 영국의 더 타임스의 한마디. 1901년 11월, 영국과 일본 양국이 영일동맹의 성사를 위한 협상의 마지막 단계에 돌입했다. 일본 국내에서, 대외정책 기본 노선을 두고 두 개의 파벌이 대립했다 : 친러파와 친영파. 친..
- 1901년, 이토 히로부미의 정치력은?
-
- "러시아는 일본의 베이징 공격을 어떻게 막았나?"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9/07/02 19:50
[1894년] 영국의 더 타임스의 한마디. <야마가타 아리토모와 이토 히로부미> 청일전쟁의 역사에서 1894년 11월 일본이 대련과 여순을 점령한 이후, 차기의 전쟁 목표가 일본 정부의 논점으로 부상했다. 확..
- "러시아는 일본의 베이징 공격을 어떻게 막았나?"
-
- [1894년] 이토 히로부미가 야마가타의 해임을 주장..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9/06/28 12:13
[1894년] 영국의 더 타임스의 한마디. 야마가타 아리토모와 이토 히로부미 -두 사람은 모두 조슈번 출신이었다. 전쟁의 역사에서 메이지 일본은 흥미로운 사례 두 가지를 제공했다. 러일전쟁 승리 이후 전승국 일..
- [1894년] 이토 히로부미가 야마가타의 해임을 주장..
-
- 메이지 시대의 일본 정책결정의 두 세력은?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9/06/18 07:35
[1894년] 영국의 더 타임스의 한마디. 메이지 시대 후기에 일본 정부의 고위 정책결정 과정, 특히 대한 정책의 결정에서 민간인과 군부의 대립이 명확했다. 전자를 대표한 것은 이토 히로부미-사이온지 기모치였다면, 후자는 야마가타 아리토모와 가쓰라였다.
- 메이지 시대의 일본 정책결정의 두 세력은?
-
- [1905년]이토가 한국통감의 군사권을 주장한 이유는?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9/06/17 18:58
[1894년] 영국의 더 타임스의 한마디. 한국 침략의 원흉인 이토 히로부미는 1905년 12월 한국통감에 부임하면서, 그는 통감에게 조선에서의 군지휘권을 주장했다. 당연하게 야마가타 아리토모를 중심으로 하는 육군이 이에 ..
- [1905년]이토가 한국통감의 군사권을 주장한 이유는?
-
- [1894년]무쓰, 조선의 주권을 침해하면 안 된다.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9/06/16 18:54
[1894년] 영국의 더 타임스의 한마디. 1894년 8월 7일 일본 외상 무쓰 무네미쓰, 이토 히로부미에 보고서, "한국에 군대를 파견할 때 일본의 목적은 한국 주권의 침해가 아니라, 부패의 개혁이었다. 이는 고위급 회담에서 결정되었고, 이 목적은 타국 정부에게 명시적으로 ..
- [1894년]무쓰, 조선의 주권을 침해하면 안 된다.
-
- 1892년,일본의 대한정책의 두 가지 경향은?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9/06/15 11:53
[1894년] 영국의 더 타임스의 한마디. 1892년의 시점에서 일본의 대-한국 정책은 두 개의 주장의 갈등이었다. 1892년 오이시 마사미가 주한 일본 공사로 부임했다. 주한 미국공사 허드 Heard가 오이시의 부임에 대해서 본국에 이렇게 보고했다. - 주한 미국공사 허드 Heard 의 관련 ..
- 1892년,일본의 대한정책의 두 가지 경향은?
-
- 노기 마레스케, 이토 히로부미의 죽음에 대해...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9/06/15 11:40
[1894년] 영국의 더 타임스의 한마디. "큰 소리로 말할 수 없지만, 실로 죽을 장소를 잘 얻은 사람이다." -노기 마레스케 이토의 국장 당시 그의 관 옆에서 출처- 나카무라 기쿠오, 이등박문 중에서.
- 노기 마레스케, 이토 히로부미의 죽음에 대해...
-
- 메이지 일본의 한국 정책을 주도한 정책 노선은?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9/06/13 11:50
[1894년] 영국의 더 타임스의 한마디. 1873년의 정한론 논쟁에서 사이고 다카모리의 전쟁파와 오쿠보 도시미치의 평화가 대립하여 결국 후자가 승리했다. 승리와 더불어 이른바 "오쿠보 도시미치 절대주의"의 시대가 도래했다. 오쿠보의 대한정책은 "안전하고,..
- 메이지 일본의 한국 정책을 주도한 정책 노선은?
-
- [1873년] 정한론과 이토 히로부미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9/06/13 07:20
[1894년] 영국의 더 타임스의 한마디. 1873년의 정한론 논쟁에서 반전파가 이겼다. 반전파에는, 오쿠보 도시미치, 이와쿠라 도모미, 기도 다카요시가 있었다. 이토 히로부미는 반전파 3인방의 집합적 적자였다. 1876년의 강화도 조약은 反-정한론파 나름의 한국문제 해법이었다. Hi..
- [1873년] 정한론과 이토 히로부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