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이황(총 41개의 글)
'이황' 관련 최근글
-
- 퇴계 이황 캐리커처
-
크리에이티브 아티스트 by artistY|2019/10/24 07:48
이황 출생-사망 1501년 (경상북도) - 1570년경력 도산서당 지어 학문 연구1568 우찬성1566 공조판서1543 대사성 이번 캐리커처는 1000원 지폐의 인물인 퇴계 이황 캐리커처입니다.역시나 이번에도 초상화를 보고 그렸습니다.사진이 없던 시대였기에.;;사진이 아닌 초상화만 보고 그리니까..
- 퇴계 이황 캐리커처
-
- 윤홍식의 고전콘서트 모음
-
고전 철학 명상의 핵심 by 무위|2012/07/09 11:05
훈민정음 창제 원리(1) 훈민정음 창제 원리(2) 중용강의-인간의 길 논어-성인의 길(1) 논어-성인의 길(2) 맹자-리더의길/왕도정치(1) 맹자-리더의길/왕도정치(2) 주자의 명상법/공부법 주자의 독서법 더 보기
- 윤홍식의 고전콘서트 모음
-
- 부유한 양반들의 안빈낙도
-
금성천의 한국전쟁사 by 금성천|2012/01/17 16:26
조선시대 양반 사대부들이 즐겨 노래한 것은 권력이나 돈이 아니라 가난한 가운데서 공부하는 즐거움이었다. 양반들은 자신들이 지향해야 할 삶은 오로지 가난한 가운데서 도를 즐기는 안빈낙도(安貧樂道)라고 말을 해왔다. 그래서 조선시대 많은 사대부들은 ‘한 소쿠리의 밥’..
- 부유한 양반들의 안빈낙도
-
- 조선선비와 일본사무라이 중 (호사카 유지, 2007)
-
까마구둥지 by 역사관심|2011/11/28 08:37
미뤄둔 포스팅중 하나. 올해 읽은 책인 유지교수의 조선선비와 일본사무라이중 중후반부 주요부분 발췌이다= 118쪽.이황의 이기호발설이란 사단과 칠정을 각각 이발과 기발로 나누어 설명하는 이론이다. 이황은 이와 기의 관계가 밀접해서 서로 분리 될수 없는 것이라 해도, 사단은..
조선선비와일본사무라이, 호사카유지, 세이카, 하야시라잔, 미토학
- 조선선비와 일본사무라이 중 (호사카 유지, 2007)
-
- 退溪 李滉과 南冥 曺植
-
역사와 살아가는 이야기 by 블레이드|2011/04/25 06:42
1. 퇴계는 慶尙左道에, 남명은 慶尙右道에 같은 해 태어나 70 평생을 살고 한 해 차로 죽었 다. 퇴계는 仁을 사랑했고, 남명은 義를 사랑했다.2. 퇴계는 남의 허물을 말하지 않았고, 時弊를 입에 담지 않았다. 반면에 남명은 다소 고답 적이고 세상을 가볍게 보려는 기질을 가지고 ..
- 退溪 李滉과 南冥 曺植
-
- 퇴계의 道統 확립
-
역사와 살아가는 이야기 by 블레이드|2011/04/23 08:21
도통이란 道學의 학통을 말한다. 도학이란 좁은 의미로 周敦頤-張載-程顥-程頤-朱憙로 이어지는 송대의 성리학통을 의미한다. 그러나 넓은 의미로는 韓愈의 「原道」에서 거론된 堯-舜-禹-湯-文王-武王-周公-孔子-孟子까지를 포함하고 그 이후에 도통이 끊어졌다가 주돈이..
- 퇴계의 道統 확립
-
- 퇴계의 陽明學批判
-
역사와 살아가는 이야기 by 블레이드|2011/04/22 08:05
퇴계의 철학은 주자학을 모본으로 했다. 따라서 주자학에 저촉되는 다른 사상은 철저히 배격했다. 巫俗․불교․도교는 말할 것 없고, 같은 유학 중에서도 陸象山․王陽明의 心學과 羅整菴․徐花潭의 氣學도 배격했다. 무속은 고려 말에 安珦 등에 의해 배격되었고, 불교는 국초에..
- 퇴계의 陽明學批判
-
- 퇴계
-
역사와 살아가는 이야기 by 블레이드|2011/03/28 08:18
퇴계가 살던 16세기 조선사회는 훈구파에서 사림파로 정권이 바뀌는 과도기였다. 퇴계는 趙光祖가 주창하던 도학정치가 기묘사화로 좌절되자 사림세력을 결집하고 재훈련시키기 위해 도학 이론을 정립하고, 도통을 확립하며, 鄕約을 실시하고 서원을 설립했다. 물론 이러한 일은 ..
- 퇴계
-
- 퇴계의 居敬窮理
-
역사와 살아가는 이야기 by 블레이드|2011/03/06 10:27
그러면 어떻게 해야 ‘存天理’ ‘遏人欲’ 할 수 있는가? ‘敬’(居敬․持敬)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敬’은 周敦頤의 ‘主靜’과 程頤의 ‘主敬’에서 연원한다. 퇴계는 또한 ‘精一’을 하면 ‘존천리’ ‘알인욕’ 할 수 있다고 했다. ‘精一’(主一․集一)이란 정신집중..
- 퇴계의 居敬窮理
-
- 퇴계와 義理의 行
-
역사와 살아가는 이야기 by 블레이드|2011/02/28 10:42
四端은 仁義禮智를 미루어 알 수 있는 인간의 본성이다. 이는 본능적인 食色의 性과 구별되는 ‘善한 本性’이다. 性善이 그것이다. 퇴계가 德性 중 ‘仁’만이 義理의 行을 실현한다고 한 것은 ‘仁’이 대표적인 元德이기 때문이다.일찍이 董仲舒는 仁義禮智에 ‘信’을 보태 ‘..
- 퇴계와 義理의 行
-
- 퇴계의 理氣心性論
-
역사와 살아가는 이야기 by 블레이드|2011/02/25 09:17
리기론은 修養論의 바탕인 心性論의 근원을 밝히기 위해 연구되었다. 천지의 리가 만물에 품부된 것이 性이라 한다. 따라서 천지의 리가 하나이므로 사람과 사물의 性은 다 같다. 그러나 기의 偏正에 따라 만물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인간은 正氣를 타고난 데 비해 사물은 偏氣를 타고..
- 퇴계의 理氣心性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