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인터뷰어(총 13개의 글)
'인터뷰어' 관련 최근글
-
-
- 맨얼굴이 더 당당하다_강신주의 맨얼굴의 철학, ..
-
책읽는 엄마의 보석창고 by 김정수|2013/11/21 23:22
지 한 사람을 제대로 알아야 다른 사람을 알게 되는 거죠. 그런데 사람들이 점심 먹을 때 고민하다가 극복하는 방법을 찾아내잖아요. 짬자면 같은 식으로.(웃음) 강 중식업계의 자폭이죠. 그거 중국집이 망하려..
- 맨얼굴이 더 당당하다_강신주의 맨얼굴의 철학, ..
-
- 같이 어깨동무해요^^ 김제동이 어깨동무 합니다.
-
책읽는 엄마의 보석창고 by 김정수|2012/05/08 17:09
사람 각각마다 자기의 견해를 표현할 수 있는 곳이 대한민국 아닙니까. 대한민국을 누구보다 사랑하고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면서 그렇게 힘들게 이루어냈던 표현의 자유, 적어도 거기에 대해서 말할 수 있는 자유, 저..
인터뷰어, 김제동, 대담집, 김제동이어깨동무합니다.
- 같이 어깨동무해요^^ 김제동이 어깨동무 합니다.
-
- 법의관이 도끼에 맞아 죽을 뻔했디 - 문국진 지음, 강창래 인터뷰어 : 별점 3점
-
극한추리 hansang's world-추리소설 1000권읽기 by hansang|2012/04/27 09:53
법의관이 도끼에 맞아 죽을 뻔했디 - 문국진 지음, 강창래 인터뷰어/알마 한국 최초의 법의학자이신 문국진 교수 인터뷰집. 사실 인터뷰로만 이루어진 책은 처음접해보네요. 그래서인지 큰 기대를 가지지도 않았고요. 그런데 왠걸! 서두에 인터뷰어 강창래씨가 자신과 문국진 교..
- 법의관이 도끼에 맞아 죽을 뻔했디 - 문국진 지음, 강창래 인터뷰어 : 별점 3점
-
- 영화 그리고 사랑에 대한 인터뷰 - 영화 '인터뷰'
-
# 간이역, 꿈꾸는 식물 by 간이역|2012/01/21 07:39
영화는 한 모임의 대화에서부터 시작된다. 좋은 영화는 무엇인가에 대한 5명의 구성원이 이야기하는 장면의 반복. 감독은 이들의 대화부터 시작한 이유가 무엇일까. 영화를 어떻게 바라보느냐에 따라 이 영화가 좋은 영화인..
- 영화 그리고 사랑에 대한 인터뷰 - 영화 '인터뷰'
-
- [巡音ルカ] インタビュア : うさ
-
힘과 기술과 근성..? by ルヤ|2011/12/29 09:45
(。・x・)つ 【インタビュア】を歌ってみた@うさ [sm16542283] まだ間に合うかな。아직 늦지 않았을까. 本日で4周年です。오늘로 4주년입니다. この曲が公開された時から、今日この曲を上げたいと思..
- [巡音ルカ] インタビュア : うさ
-
- [巡音ルカ] インタビュア : ヲタみん
-
힘과 기술과 근성..? by ルヤ|2011/12/09 14:37
『インタビュア』を歌ってみた【ヲタみんver】[sm16136548] ねぇ まだ 間に合いますか? 저기 아직 늦지 않았나요? 「掛け替えのない命だと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생명이라고流行りの歌は言うけれど 유행하..
- [巡音ルカ] インタビュア : ヲタみん
-
- 김제동이 만나러 갑니다.
-
책읽는 엄마의 보석창고 by 김정수|2011/06/08 08:15
첫번째 인터뷰였던 소설가 이외수씨와 함께 과학과 기술 남용에 따른 인류와 지구의 미래에 대한 회의가 많잖아요. 과학이 미래를 위해 해줄 수 있는 일은 뭘까요? 지금까지 과학은 인간의 노동을 대체하고, 편하..
김제동, 김제동이만나러갑니다, 대담집, 인터뷰어
- 김제동이 만나러 갑니다.
-
- 노동으로서의 인터뷰를 개척한 인터뷰어, 지승호
-
방황속,남주차한잔♪ by 루돌프|2010/09/04 02:24
[시대의 인터뷰어] 사회와 삶에 질문하다 박우진 기자 panorama@hk 고민하는 힘도, 교양도, 묻는 일로부터 길러진다. 좋은 인터뷰는 지금 삶의 처지를 일깨우고 안목을 높인다. 내용뿐만 아니라 형식에서도 소통을 통한 통찰이라는 이상을 지향한다. 좋은 인터뷰어(interv..
- 노동으로서의 인터뷰를 개척한 인터뷰어, 지승호
-
- 인터뷰어가 인터뷰이를 만나면서
-
# 간이역, 꿈꾸는 식물 by 간이역|2010/02/18 02:01
많은 사람들을 만났다고는 할 수는 없지만 인터뷰를 하다보면 조금 난감해 지는 편이 많이 있습니다. 먼저 청바지를 입고 왔다고 해서 위 아래로 사람들이 절 쳐다보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직도 한국은 체면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는 걸 보여주고 있는 셈입니다. 두번째로 그 옷차림..
- 인터뷰어가 인터뷰이를 만나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