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부분만 발췌. =지금 여기에서 생성을 겪으면서 현존하고 있는 존재자를 우리는 현존자라고 했다. . 그런데 현존이 본질을 훼손한다고 할때 그 뜻은 나쁜 뜻이 아니라, 지니고 있던 본질을 다른 것으로 바꾼다는 의미의 훼손이다. 현존을 통해 새로운 본질을 갖게 된다고 할 때..
계속 정리. 이 장은 직접적으로 앞으로의 관심주제의 논점에 이론적 기반을 마련해줄 부분이라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메믈로-퐁티: [. 내 몸의 공간성은 상황의 공간성이지 위치의 공간성이 아니다. 만약 내가 사무용 책상을 두 손으로 짚고서 그 앞에 서있다면, . 나의 모든 자세..
애초에 읽었어야 할 책을 이제사 공부하기 시작=몸의 세계, 세계의 몸 (조광제, 2004) 중. 철학사가인 렘프레히트가 경험주의의 대가인 흄에 대해 말하는 대목:인상은 그것을 모사하고 있는 그 어느 관념보다도 원초적이요, 이에 앞선다. 그리고 한 관념은 그것에 선행하는 한 ..
역시 철학라이더(조광제, 2012)중 부분= 메를로퐁티는 실질적 선험을 달리 '감각 운동적 선험'이라고도 한다. 몸은 항상 운동을 한다. 운동을 하면서 항상 감각한다. 운동을 하면서 항상 감각한다. 살아있는 몸은 운동과 감각을 동시에 이미 늘 수행한다. 몸의 활동에 있어서 운..
조광제선생의 철학라이더 중, 정리= 편위현재가 열려 있다는 말을 했다. 만약 현재가 열려 있다는 것이 가장 근원적인 시간의 형식이라면 고정된 과거는 이 열려있는 현재로부터 파생된 것에 불과하다. 이를 바탕으로 한 철학이 바로 현존철학이다. 현존은 항상 열려 있는 현재에 ..
철학라이더 (2012, 조광제)를 읽다가 또 다시 문화재 특히 복원 혹은 중수, 재건과 관련된 개념적 고찰이 가능한 부분을 만나다. 정리해본다= 본성의 운동 편하나의 사물이 다른 사물과 영향을 주고받음으로써 운동이 생겨난다는 것은 사물의 외부에서 그 사물이 운동하게 되는 ..
철학자 조광제선생의 본저를 독파중인데, 존재론 (On 존재+Logos 법칙) 본질편에 챙겨둘만한 여러 개념들이 있어 옮겨 놓는다= 기본적으로 본질은 존재자에게만 성립한다. 어떤 방식으로 존재하건 간에 각각의 존재자는 '어떤 것'이어야 한다. 이 '어떤 것'으로서의 존재자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