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조선전기건축(총 15개의 글)
'조선전기건축' 관련 최근글
-
-
- 1587년까지 남아있던 신라대 건물들 (불국사 기록 ..
-
까마구둥지 by 역사관심|2020/05/01 08:55
[우리 고대건축은 언제까지 현전했나? 네 가지 문헌기록들]에서 우리 고대-중세 웅장한 건축물들은 언제 사라졌나를 살펴본 바 있습니다. "필자가 지난 10년여간 살펴본 바로는 가장 극심한 피해를 입은..
- 1587년까지 남아있던 신라대 건물들 (불국사 기록 ..
-
-
- 우리 고대건축은 언제까지 현전했나? 네 가지 문헌..
-
까마구둥지 by 역사관심|2018/06/25 10:32
현재 우리에게는 삼국시대는 커녕 고려시대의 건축물도 거의 현전하는 것이 없습니다. 하지만, 다른 비슷한 길이의 역사를 가진 국가들은 우리와 사정이 다르지요. 7세기, 10세기, 12세기 건축물들도 전하는 것..
- 우리 고대건축은 언제까지 현전했나? 네 가지 문헌..
-
- 17세기 조선후기 나무기둥의 수요와 굵기가 줄어듬..
-
까마구둥지 by 역사관심|2018/06/05 07:57
그간 한국전통건축에 관심이 있는 분들은 막연한 추측으로 조선후기에 접어들면서 대규모 건축에 필요한 굵은 나무가 부족해지는 현상이 있었을 것이란 이야기들을 자주 하곤 했습니다. 그런데, 신화시대에 가까..
- 17세기 조선후기 나무기둥의 수요와 굵기가 줄어듬..
-
- 조선전기 경복궁의 색깔- 바른 것은 모두가 붉은 ..
-
까마구둥지 by 역사관심|2018/03/24 11:25
[만월대와 황룡사는 '붉은 단청과 기둥'을 중심으로]라는 포스팅에서 2016년의 논문글을 소개한 바 있습니다. 상록하단(上綠下丹)을 한국 단청의 주요한 특징으로 보고, 고대건축까지 上綠下丹으로 인식하는..
- 조선전기 경복궁의 색깔- 바른 것은 모두가 붉은 ..
-
-
-
-
-
-
- 조선전기 왕자, 공주, 고위관자 저택의 누각높이
-
까마구둥지 by 역사관심|2016/06/11 12:53
고려시대에서 조선시대 전기까지 이어지던 잠을 자는 2층루, '침루' (침방 포함)에 대한 기록은 여러 차례 글을 통해 알아 본 바 있습니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이러한 누각들이 얼마나 높았는지에 대한 정보는 나눈 적이..
- 조선전기 왕자, 공주, 고위관자 저택의 누각높이
-
-
- 조선전기의 정亭과 누樓의 구분 기록 (고려후기-..
-
까마구둥지 by 역사관심|2015/04/26 02:22
조선전기의 대표적 사상가인 김종직(金宗直, 1431~ 1492년)의 [점필재집]에는 현재는 사라지고 없는 누각이 하나 등장합니다. 경북 상주에 있던 풍영루(風詠樓)가 그것입니다. =점필재집 풍영루중영기..
풍영루, 풍영루기, 김종직풍영루기, 조선전기누각모습, 조선전기루와정의차이
- 조선전기의 정亭과 누樓의 구분 기록 (고려후기-..
-
- 조선전기 대형건물 복원은? (그리고 15세기 경복궁..
-
까마구둥지 by 역사관심|2011/01/12 05:13
년자 뉴스입니다. "광화문과 흥례문 사이 구간.좌우 양측 용성문과 협생문 자리에서 초석과 기단 등 건물의 기초가 거의 완벽하게 남아있는 건물터가 나왔습니다.가로 11.2m, 세로 50m 정면 12칸, 측면 3칸..
- 조선전기 대형건물 복원은? (그리고 15세기 경복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