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중소동맹(총 17개의 글)
'중소동맹' 관련 최근글
-
- 1950년 중소동맹 결성과 영국 외교의 해석?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21/10/15 17:09
1950년, 중소 동맹 상호원조 조약이 체결될 즈음해서 영국 외무부는 중소관계에 대해 진단할 기회를 가졌다. 일반적 시각은 두 동맹국이 가까운 장래 동안 서로를 필요로 할 것이지만, 그들은 결국 불화로 치달을..
- 1950년 중소동맹 결성과 영국 외교의 해석?
-
- 50년 중소 동맹 결성과 공산주의 이데올로기?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21/10/14 16:37
역사가 키앙 자이의 박사논문에 따르면, 1950년 중소동맹의 결성에서 공산주의의 역할은 미미했다. 그의 주장은 스티븐 월트의 동맹형성 이론에도 부합한다고 한다. 월트는 동맹결성에서 "이데올로기는 동맹결성의 동기로 균형 보다 덜 강하다."고 주장했다. “ideo..
- 50년 중소 동맹 결성과 공산주의 이데올로기?
-
- 모택동, "스탈린은 내가 티토가 될 것으로 의심했다."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21/10/14 15:10
[중국혁명][중국내전][모택동][스탈린] 훗날 1950년대에 중-소관계가 나빠지기 시작했을 때,모택동은 사적인 자리에서,스탈린은 중국 혁명에 훼방을 놓으려 했고, 만일 중국 공산당이 스탈린의 교시..
- 모택동, "스탈린은 내가 티토가 될 것으로 의심했다."
-
- [35년]몰로토프,일본 전쟁에 대비해야 하는 이유?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8/10/15 11:53
[36년] 서안 사변의 장개석과 스탈린? 1933년 5월의 탕구협정 이후 ,만주사변이 공식 종료되면서, 중국에서 왕징웨이의 주도하의 남경 정부는 일본에 대한 우호정책을 실시했다. 중국의 친일정책의 결과, 1935년 초가 되면,..
- [35년]몰로토프,일본 전쟁에 대비해야 하는 이유?
-
- [50년]미국 합참,인도차이나 정세 인식은?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8/05/02 07:31
[1900년] 미국에게 필리핀은? 중국대륙에서 공산당이 헉명에 성공하고, 중공군이 베트남 국경에 도달했으며, 중국과 소련이 동맹을 체결한 상황에서, 1950년 4월, 미국 합동참모본부는 인도차이나에 대한 강경책을 주장..
- [50년]미국 합참,인도차이나 정세 인식은?
-
- 중국에서의 미국-일본 경쟁과 태평양전쟁...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7/08/17 04:53
키신저의 경고. 폴 슈뢰더에 따르면, 중국은 아시아에서 일본과 미국 갈등의 핵심이었고, 이 갈등이 태평양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 또한 중국은 미국의 전후 아시아 구상의 핵심이었다. 루스벨트는 장개석의 중국이 전후 세계질서 유지를 위한 4대 강대국 중 하나가 될 것이라 기대..
- 중국에서의 미국-일본 경쟁과 태평양전쟁...
-
- 스탈린, 모택동 그리고 중국의 티토?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7/07/31 17:45
키신저의 경고. 1949년말 50년초 모택동이 모스크바를 체류할 동안, 스탈린이 마오를 만나주지 않은 것이 불만이기도 했지만, 두 사람의 만남도 그다지 유쾌한 것은 아니었다. 흐루쇼프의 증언에 따르면, 스탈린은 마오에 대해서 대체로 "오만한 태도"를 보였다. 심지..
- 스탈린, 모택동 그리고 중국의 티토?
-
- [1949년] 스탈린에 대한 모택동의 분노?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7/07/31 17:10
키신저의 경고. <1949년 12월 21일 스탈린의 70회 생일 기념 만찬. 사진 한 장이 많은 것을 말해준다. 이 날 모택동은 불안했다. 만찬 내내 전혀 즐겁지 않았다.> 1949년 12월 16일에 모택동은 혁명의 수도 모스크바..
- [1949년] 스탈린에 대한 모택동의 분노?
-
- 키신저, 스탈린이 북한의 남침을 승인한 이유는?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7/07/31 15:58
키신저의 경고. 션즈화는 한국전쟁에서의 스탈린의 목표는 부동항의 확보에 있었다고 주장했다. 이 목표에 의거하면, 북한의 적화통일도, 반대로 미군개입에 의한 북한의 멸망도 스탈린의 목표에 반하는 일은 없다는 계산이었다는 것이다. 두 경우 모두에서, 스탈린은 한국전쟁..
- 키신저, 스탈린이 북한의 남침을 승인한 이유는?
-
- 스탈린,모택동,트루먼,김일성,장개석의 동상이몽?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7/07/31 14:37
키신저의 경고. 한군전쟁 발발 직전에, 스탈린,모택동,트루먼,김일성,장개석은 냉전의 동북아 국제정세에 대해 어떻게 생각했을까? 주요 관심지역은 대만과 한국이었다. 김일성은 1949년-1950년 동안, 스탈린과 모택동..
- 스탈린,모택동,트루먼,김일성,장개석의 동상이몽?
-
- 키신저, "김일성의 수완에 대해서"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7/07/31 13:37
키신저의 경고. [김일성] 북한이 남침하기 전만 해도,이제 간신히 내전을 끝낸 중국이 핵으로 무장한 미국을 상대로 전쟁을 치르리라고 상상조차 하기 어려울 것 같았다. 전쟁 발발은 공산주의 두 거인이 서로를 향해 품었던 의심과, 비교도 안 될 정도로 막강한 그들에게 의존하..
- 키신저, "김일성의 수완에 대해서"
-
- 흐루쇼프, 모택동에 대한 스탈린의 냉대?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7/07/31 12:41
키신저의 경고. 돌이켜 보면, 중소동맹의 역사에서 그나마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 스탈린 사망 동안은 비교적 우호적이었던 시기였다고 할 수 였다. 그런데 이런 우호의 분위기 속에서도 갈등의 불씨는 생겨..
- 흐루쇼프, 모택동에 대한 스탈린의 냉대?
-
- [냉전]"제3세계는 중국과 소련의 경쟁 무대였다."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7/07/08 05:51
키신저의 경고. <모택동과 흐루쇼프> - 웃고는 있지만.ㅠ 20세기 역사의 주요 사건들 중 하나는 탈식민이었고, 탈식민지화하는 제3세계는 미소 냉전의 격전지였다는 것이 통설이다. 이에 대해서 제래미 프리드먼 Jer..
- [냉전]"제3세계는 중국과 소련의 경쟁 무대였다."
-
- [1950년]아이젠하워, 중소 동맹의 충격...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7/07/08 04:56
키신저의 경고. 미국의 입장에서 중국 대륙의 공산화도 충격이었지만, 중국의 신임 정부가 1949년 소련과 동맹을 맺은 것은 절망 그 자체였다. 중소동맹 이전의 미국에게는 그나마 중국을 아시아의 유고슬로비아로 만든다는 카드를 가질 수 있었지만, 이것마저 좌절된 것이었다. (..
- [1950년]아이젠하워, 중소 동맹의 충격...
-
- 1950년대말, 흐루쇼프와 모택동의 갈등...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7/03/07 14:13
키신저의 경고. <소련은 혁명세력인가?> 1950년대 말이 되면 공산주의는 더 이상 단일체가 아니었다. 소련과 모택동의 중화인민공화국은 노골적으로 분열하여 대립했다. 두 광적인 독재자들 사이에 개인적..
- 1950년대말, 흐루쇼프와 모택동의 갈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