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중종(총 31개의 글)
'중종' 관련 최근글
-
- 조광조는 선비의 모범이 될 수 없는 사람이다
-
금성천의 한국전쟁사 by 금성천|02/02 10:25
조광조와 동료들은 기묘사화로 체포 구금되자 중종에게 연명으로 상소했다."다만 우리 임금의 밝음만을 믿고 어리석은 충정을 다했습니다. 오직 우리 임금을 요순처럼 만들고자 했습니다. 이것이 어찌 일신을 위해 한 일이겠습니까? 하늘의 태양이 밝게 빛나고 있습니다. 다..
- 조광조는 선비의 모범이 될 수 없는 사람이다
-
- [인왕산] 석굴암에서 범바위를 향해
-
타누키의 MAGIC-BOX by 타누키|2022/04/01 17:41
석굴암에서 이제 범바위를 향해 옆으로 가는 길에 작은 전망대가 있어 올라가 봤더니 특이한 바위가 있던~ 치마바위라고~ 종로구 사직동 사직공원 서쪽에 있는 넓고 평평하게 생긴 바위로 중종의 첫 번째 왕비인..
- [인왕산] 석굴암에서 범바위를 향해
-
-
-
-
- 지금은 마음에 걸리는 것이 전혀 없다
-
硏省齋居士의 雜學庫 by 연성재거사|2016/04/09 00:56
조선 초기 임금들의 개성 엿보기 解明님 블로그에서 트랙백 왕들도 사람인 만큼 그들 나름대로의 개성이 있다. 그들의 개성은 역사에서 수많은 일화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냉철하고 노련한 태종, 온갖 사안을 다 끌어와 골..
- 지금은 마음에 걸리는 것이 전혀 없다
-
- 대윤과 소윤의 대결
-
역사 그리고 핏빛 향기 by 블레이드|2013/06/06 08:33
인종은 25년간이나 세자 자리에 있었다. 이때 조정은 권신정치가 한창이었다. 특히 세자(인종)의 외척(장경왕후 윤씨의 친정)과 문정왕후 윤씨의 친정 집안이 서로 대립하고 있었다. 전자를 대윤이라고 하고 후자를 소윤이라 했다. 이들 중 먼저 주도권을 쥔 쪽은 대윤이었다. ..
- 대윤과 소윤의 대결
-
- 하늘이 낸 효자 임금 - 조선 인종
-
역사 그리고 핏빛 향기 by 블레이드|2013/06/05 06:46
인종은 1515년(중종 10)에 중종과 중종의 두 번째 부인인 장경왕후 윤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1520년(중종 15)에 왕세자에 책봉되었고, 1544년(중종 39)에 중종에 이어 12대 왕에 즉위했다. 이름은 호(峼). 자는 천윤(天胤)이다. 인종은 모후인 장경왕후가 그를 낳고 엿새 만에 숨..
- 하늘이 낸 효자 임금 - 조선 인종
-
- 대윤-소윤 대립의 기원
-
역사 그리고 핏빛 향기 by 블레이드|2013/05/23 08:57
나이 든 공신 세력이 늙어 죽고, 과도한 개혁 주장 때문에 사림파가 제거당한 뒤, 중종 말기부터 정권은 외척 권신(權臣)들의 손아귀에 들어가게 되었다. 김안로(金安老) ․ 윤임(尹任) ․ 윤원형(尹元衡) ․ 이량(李樑) 등이 그들이다. 외척 권신들의 집권기간은 그리..
- 대윤-소윤 대립의 기원
-
- 조선 인종에게 씌워진 굴레 – 대윤과 소윤 2
-
역사 그리고 핏빛 향기 by 블레이드|2013/05/22 06:18
인종은 1545년(인종 1) 1월, 대윤의 거두 유관을 정승에 임명하는 한편 이언적, 송인수, 김인후 등의 사림을 중용하면서 친정 체제를 모색했다. 나아가 문정왕후를 위로하기 위해 윤원형을 공조참판에 발탁하는 등 경색된 정국을 조화시키려고도 했다. 비록 조광조의 신원 요구는..
- 조선 인종에게 씌워진 굴레 – 대윤과 소윤 2
-
- 실패한 조광조의 개혁 정치
-
역사 그리고 핏빛 향기 by 블레이드|2013/05/16 08:03
즉위 초 아무런 힘없이 반정 세력에게 휘둘리던 중종은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국왕으로서의 권한을 되찾으려 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반정 세력을 견제할 새로운 세력을 키울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등용한 인물이 바로 조광조(趙光祖)였다. 조광조는 김굉필(金宏弼)의 문하로 ..
- 실패한 조광조의 개혁 정치
-
- 조선 인종에게 씌워진 굴레 – 대윤과 소윤 1
-
역사 그리고 핏빛 향기 by 블레이드|2013/05/15 07:00
중종은 모두 세 명의 부인을 두었다. 조강지처인 단경왕후 신씨는 1506년(중종 1) 9월, 중전에 책봉된 지 7일 만에 폐비되었다. 제1계비인 장경왕후 윤씨는 윤여필의 딸로서 인종을 낳았고, 제2계비인 문정왕후 윤씨는 윤지임의 딸로서 명종을 낳았다. 장경왕후와 문정왕후는 모두 파..
- 조선 인종에게 씌워진 굴레 – 대윤과 소윤 1
-
- 조선 인종에게 씌워진 굴레-대윤과 소윤
-
역사 그리고 핏빛 향기 by 블레이드|2013/05/09 07:45
계유정난을 통해 창출된 공신들은 세조 이후 성종 대까지 무려 250여 명이나 양산되었다. 이때 양산된 공신들은 훈신 정치의 외연이 되어 국가 권력을 독점하고 있었다. 그러나 점차 사림 세력이 성장해 훈신들의 권력 독점에 반발하고 국정 전반에 발언권을 강화하자 양측의 반목이 ..
- 조선 인종에게 씌워진 굴레-대윤과 소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