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초월(총 42개의 글)
'초월' 관련 최근글
-
- 참을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1997
-
우랄잉여공장 by GRU|2019/02/22 23:09
'존재는 언제나 가벼우며, 생각이라는 것은 우주요, 오직 무거운 것은 마음이니라.' 참을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은 쿤데라의 소설이기도 하지만, 민방위의 후기 엘범이자 레토프 아자씨의 '불멸'의 명곡이라고 할..
명곡, 러시아, 참을수없는존재의가벼움, 펑크, 초월
- 참을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1997
-
- 초능력의 자기 부여 법칙
-
유익 흥미로운 한글 외신 by WildSky|2018/04/20 15:57
오늘날 우리의 큰 뇌는 좋은 성과를 올리고 있고, 덕분에 우리는 자동차와 총을 만들 수 있다. 자동차 덕분에 우리는 침팬지보다 훨씬 빨리 이동할 수 있고, 레슬링을 하는 대신 총으로 안전한 거리에서 침팬지를 ..
- 초능력의 자기 부여 법칙
-
- 역사적인 초월번역들
-
괄약근력의 작업실 by 괄약근력의 작업실|2017/04/05 19:14
- 역사적인 초월번역들
-
-
- 키신저,관료주의를 초월하는 정치가가 필요한 이유?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6/02/01 01:20
키신저의 경고. 키신저의 정치철학에서, 관료주의는 초월의 대상이다. 막스 베버가 관료제를 비판한 것처럼, 키신저에게 관료제란 '내적 자유의 마지막 자취들을 질식시키는 삶의 진보적 합리화' 에 다름아니다. 키신저의 박사논문, <<회복된 세계>>를 보면, 정..
- 키신저,관료주의를 초월하는 정치가가 필요한 이유?
-
- 키신저, "경험이 관료를 현명하게 만들까?"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6/01/26 11:35
키신저의 경고. [키신저][경험주의][직관][추측][독트린][관료주의] 키신저는 정책결정에서, 경험론에 대해 비판적이고, 이것이 즉흥적인 대응을 부추긴다고 본다. 즉 정책결정에서의 경험주의가 단기적인 해법만을 제시할 뿐이라는 것이다. 경험주의에 의존하는..
- 키신저, "경험이 관료를 현명하게 만들까?"
-
- 헤밍웨이 위조사건 - 조 홀드먼 / 김상훈 : 별점 2.5점
-
극한추리 hansang's world-추리소설 1000권읽기 by hansang|2016/01/11 23:18
헤밍웨이 위조사건 - 조 홀드먼 지음, 김상훈 옮김/북스피어 헤밍웨이의 분실된 원고를 위조하여 한몫 잡으려 하는 존 베어드 앞에 미지의 존재가 나타나 그만 둘 것을 명령한다. 미지의 존재는 시공을 초월한 평행 우주의 관리자로 존의 작업이 이 세계를 멸망시킬 수도 있기 때문...
- 헤밍웨이 위조사건 - 조 홀드먼 / 김상훈 : 별점 2.5점
-
- 인터넷 스페이스 - 두 번째 세상
-
粒子의 波動運動 by 오늘사람|2015/10/27 21:06
1. 데이비드 : 어디로 가는 거니?줄리아나 : 글쎄, 말하고 싶지 않은데. 2.그 공간의 정체는 무얼까? 무한히 열린 양자입방체. 그러나 정체를 본질을 알 수 없는 깊이. 다 알고 있다고 믿는다. 사실은 믿고 싶은 거. 인간의 지는 대개 닫혀있다. 닫힌 것은 대상도 닫는다. 그러므로 ..
- 인터넷 스페이스 - 두 번째 세상
-
- Transcendence, 2014
-
under the sky by wbhacker|2014/07/19 19:00
기나긴 출장에 나에게 필요한 건 충전 뿐이다. 음식은 아무래도 충전이 안되는것 같아, 문화적인 것이라도 채우길 원하나보다. 요새 안되는 회사 노트북을 어떻게든 뚫어서 영화를 받으려고 하니 말이다. 어제 밤 12시가 되면서 고민을 했다. 이대로 잘 것인가, 영화를 볼 것인가. ..
- Transcendence, 2014
-
- 왜 책을 읽어야 하는가?
-
글쓰기는 삶을 정리하는 기술이다 by 시간여행자|2012/08/23 22:29
"지혜와 함께 블룸은 독서의 이유를 자아의 확장에서 찾는다. '궁극적으로 우리는 자신을 튼튼하게 하고 자신의 진정한 관심사를 깨닫기 위해 책을 읽는다'는것이 또한 그의 주장이다. . 때문에 블룸은 독서의 원칙 가운데 하나로 '독서를 통해 자신의 이웃이나 주위 사람을 개..
- 왜 책을 읽어야 하는가?
-
- 서양의 외재초월과 동양의 외재초월
-
a dreamer and the dreamboat by Cerbalus aravensis|2011/06/11 09:07
‘초월’이라는 용어를 사용해서 동양과 서양의 철학을 설명하려는 시도는 신유가에서 특히 두드러지는 현상으로, 서양의 전통적인 ‘외재초월’에 대비하여 중국 철학을 ‘내재초월’의 개념으로 설명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접근은 특히 홀과 에임스(David L. Hall, Roger..
- 서양의 외재초월과 동양의 외재초월
-
-
- 박완서, '그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다시 ..
-
# 간이역, 꿈꾸는 식물 by 간이역|2011/02/04 12:53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박완서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웅진닷컴) 박완서의 작품을 그리 많이 읽은 편은 아니지만 집에 있는 작품을 접할 때마다 잔잔한 감동을 주는 소설들이었고 그 소설들을 읽다보면..
그많던싱아는누가다먹었을까, 박완서, 작가, 소설, 구절
- 박완서, '그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다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