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클라우제비츠(총 27개의 글)
'클라우제비츠' 관련 최근글
-
- 독일 제국 육군과 클라우제비츠의 수용?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22/08/22 18:38
독일 제국 육군과 클라우제비츠의 수용? 클라우제비츠에 따르면,'전쟁은 또 다른 수단에 의한 정치의 연속',이다. 따라서 전쟁에 대한 정치의 개입이 논리적이다. 그렇다면, 독일 통일 이후 독일 군부에서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은 어떻게 수용되었을까? 비스마르크는 클라우제..
- 독일 제국 육군과 클라우제비츠의 수용?
-
- 1954년 디엔비엔푸와 1968년 테트 공세?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21/09/14 07:52
"정규군은 이기지 못하면 지는 것이고, 게릴라군은 지지 않으면 이기는 것이다." Kissinger, “THE VIETNAM NEGOTIATIONS,” Foreign Affairs 47 ( January 1969) 전쟁에서 이긴다는 것은 무엇인가? 약자가 강자에 대해서 전쟁에서 승리하는 방법은 무엇..
- 1954년 디엔비엔푸와 1968년 테트 공세?
-
- 프랑스가 인도차이나 전쟁을 포기한 것은 언제?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20/06/26 14:06
[54년]지압,디엔비엔푸 공격을 연기한 이유는? 1954년, 3월 5일 프랑스 라니엘 총리 의회 연설, “1953년까지, 프랑스 여론에는 서로 반대되는 2가지 경향이 존재했다. 일부 프랑스인들은 협상을 통한 분쟁 해결을 희망했다면, 다른 사람들은 전쟁으로 이기는 것이 가능하다고 믿었..
- 프랑스가 인도차이나 전쟁을 포기한 것은 언제?
-
- "한니발,나폴레옹 전쟁과 러일전쟁의 차이는?"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9/10/23 04:07
[1894년] 영국의 더 타임스의 한마디. 클라우제비츠에 따르면, 포에니 전쟁에서의 한니발의 실책은 전쟁을 끝낼 기회를 놓친 것이다. 독일의 전쟁술의 대가는 전쟁을 끝내기 위한 최적의 순간을 '승리의 한계 정..
- "한니발,나폴레옹 전쟁과 러일전쟁의 차이는?"
-
- "만약 나폴레옹이 러일전쟁에서 일본을 지도했다면?"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9/10/02 05:21
[1894년] 영국의 더 타임스의 한마디. 나폴레옹이라면, 러일전쟁의 일본의 전쟁목적을 어떻게 정했을까? 일본의 전쟁 목적은, 적의 중심지 상트 페테르부르크와 모스크바를 점령하여, 짜르의 항복을 받아내는 것입니다로 답했을까? 실제로는 메이지 일본은 공격의 정점에서 진격..
- "만약 나폴레옹이 러일전쟁에서 일본을 지도했다면?"
-
- "나폴레옹,클라우제비츠 그리고 일본제국의 전쟁?"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9/09/28 04:14
[1894년] 영국의 더 타임스의 한마디. 주지하는 바와 같이 클라우제비츠에게 전쟁은 다른 수단을 통한 정치였다. 즉 전쟁은 국가정책의 수단이었다. 전쟁은 제한적이었고, 적의 파괴라기 보다는 정책 실현을 위한 물리적 수단이었다. 하지만, 나폴레옹에게 전쟁이란, 정책이 아..
- "나폴레옹,클라우제비츠 그리고 일본제국의 전쟁?"
-
- 클라우제비츠, 나폴레옹의 의미는?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9/07/28 17:49
[1894년] 영국의 더 타임스의 한마디. [나폴레옹] -전쟁의 국민화 – 전쟁이 민족의 총력전이 되었다. - 클라우제비츠, “보나파르트 이후 전쟁은 다시 인민 전체의 관심사가 되었다. 처음엔 프랑스에게 그랬고, 이어서 프랑스의 다른 적국들에서도 그렇게 되었다. 전쟁은 전..
- 클라우제비츠, 나폴레옹의 의미는?
-
- 클라우제비츠의 한마디...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9/03/07 04:23
[36년] 서안 사변의 장개석과 스탈린? "전쟁의 모든 것은 단순하지만, 가장 단순한 것 조차도 복잡하다." - 클라우제비츠 Everything in war is simple, but even the simplest things are complicated. —Carl von Clausewitz
- 클라우제비츠의 한마디...
-
- 클라우제비츠의 한마디...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9/03/04 22:11
[36년] 서안 사변의 장개석과 스탈린? "전쟁에 임하는 정치가와 군사령관의 최초의,최고의 가장 중요한 결정은 그들이 어떤 전쟁을 치를지 정하는 것이다. 둘 중 어느 누구도 전쟁을 치르는데 실수를 하거나 혹은 전쟁의 변질을 시도해서는 안 된다. 정치가와 군지도자가 정..
- 클라우제비츠의 한마디...
-
- [전략] 몰트케가 비스마르크에게 한 말?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8/12/07 03:57
보불전쟁에서 대 몰트케 Moltke the elder 가 비스마르크에게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일단 전쟁이 시작된 이상, 정치가는 장군들이 승리를 안겨 줄 때까지 침묵해야만 한다는 것이었다. 말하자면, 정치가들은 ..
- [전략] 몰트케가 비스마르크에게 한 말?
-
- 클라우제비츠, 전술과 전략의 차이는?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8/12/05 10:12
"전술은 전투에서 군부대를 사용하는 기술이며, 전략은 전쟁을 이기기 위해 전투를 응용하는 기술이다." -클라우제비츠 출처- 폴 케네디, 강대국의 대전략, 한국경제신문사, 1992.11
- 클라우제비츠, 전술과 전략의 차이는?
-
- 레닌, 클라우제비츠에 대한 맑스주의 해석이란?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7/07/19 04:53
키신저의 경고. 맑스 레닌주의자에게 평화란 무엇인가? 그들에게 평화란, 평화주의자의 개념과 다르다. 클라우제비츠를 해석하면서 레닌은 '전쟁은 정책의 연속'이라는 유명한 테제를 "전쟁과 마찬가지로, 평화는 정책의 연속이다."고 재해석했다. "평화의..
- 레닌, 클라우제비츠에 대한 맑스주의 해석이란?
-
- 나폴레옹 혁명과 핵무기의 혁명의 차이는?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7/06/15 08:16
키신저의 경고. 나폴레옹의 대육군 Grande Armée 과 핵무기의 개발은 군사력의 역사에서 혁명에 속한다. 하지만 그 효과는 달랐다. 국민의 군대를 기반으로 한 나폴레옹의 대육군은 민족국가의 무력과 군사력..
- 나폴레옹 혁명과 핵무기의 혁명의 차이는?
-
- 클라우제비츠, 전쟁이란 무엇인가?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7/04/04 18:03
키신저의 경고. 리처드 르바우는 클라우제비츠의 전쟁 이론을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클라우제비츠의 유명한 명제란 "전쟁은 다른 수단에 의한 정치 행동의 연장이라는 것이다." 당대의 다른 많은 전략가들이..
- 클라우제비츠, 전쟁이란 무엇인가?
-
- 1942년 조지 마셜이 루스벨트로부터 얻은 교훈은?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7/02/14 05:51
키신저의 경고. <조지 마셜과 프랭클린 루스벨트> 클라우제비츠가 주장하지 않았던가? 전쟁은 또 다른 수단의 정치라고. 그런데, 전쟁에서 군사와 정치 목표가 충돌한다면 어떻게 될까? 전쟁에 임해서, ..
- 1942년 조지 마셜이 루스벨트로부터 얻은 교훈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