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탈식민(총 8개의 글)
'탈식민' 관련 최근글
-
- 미국의 태평양전쟁 딜레마와 영국의 제국주의?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04/12 04:49
대만과 일본 그리고 제2차세계대전? 미국에게 일본과의 싸움은 전체주의와의 투쟁 뿐만 아니라, 극동에서의 유럽 제국주의와의 갈등이기도 했다. 미국의 여론 중에서, 고립주의,반-영국 성향의 주장에 따르면..
- 미국의 태평양전쟁 딜레마와 영국의 제국주의?
-
- [베트남]루이 말 감독의 영화 속 대사?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8/06/26 12:13
[1900년] 미국에게 필리핀은? 한 블로거 방문자의 제보에 따르면, 루이 말 감독의 마음의 속삭임을 보면, 두 소년이 다음과 같은 의기투합을 한다고 한다. "제대로 된 나라라면, 식민지는 갖고 있어야지" ㅠ..
- [베트남]루이 말 감독의 영화 속 대사?
-
- [46년]"프랑스 제국은 불타고 있는가?"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8/03/21 10:56
[1900년] 미국에게 필리핀은? 1946년 12월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혹은 베트남 독립전쟁이 발발했다. 당시 대영제국과 유사하게 여전히 "해가지지 않았던" 프랑스 제국 도처에서 체제 붕괴의 조짐들이 보이기 시작했다. 1945년 5월 알제리아의 세티프에서 봉기가 있었고, ..
- [46년]"프랑스 제국은 불타고 있는가?"
-
- 한국전쟁과 미국과 중국의 베트남 원조...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7/11/16 05:10
30년대 프랑스 유학 베트남인의 좌절?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 발발로 베트남의 프랑스를 지원한다는 미국의 결의가 강화되었다. 프랑스의 베트남 잔류가 제국주의의 몸부림이기 보다는 냉전의 맥락에서의 공산주의 팽창에 대한 투쟁으로 보였기 때문이었다. (베트남에서는 호치민의..
- 한국전쟁과 미국과 중국의 베트남 원조...
-
- "스탈린과 흐루쇼프 그리고 식민지 민족해방"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7/08/15 07:22
키신저의 경고. <흐루쇼프와 스탈린 -1940년대> 냉전 초기 미소 경쟁의 핵심 무대는 유럽이었다. 냉전의 금싸라기 땅의 패권을 두고 두 강대국은 경쟁했고, 다른 지역에 대한 관심은 부차적이었다. 따라서..
- "스탈린과 흐루쇼프 그리고 식민지 민족해방"
-
- 앙골라 내전과 소련과 중국의 갈등?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7/07/13 14:18
키신저의 경고. 미소 데탕트와 미국의 중국개방 시대의 아프리카 탈식민 투쟁은 어떤 양상으로 전개되었을까? 미국과 중국의 화해와 중소분쟁은 아프리카 주변부 투쟁에서 어떻게 투사되었을까? 앙골라 내전은 ..
- 앙골라 내전과 소련과 중국의 갈등?
-
- [냉전]"제3세계는 중국과 소련의 경쟁 무대였다."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7/07/08 05:51
키신저의 경고. <모택동과 흐루쇼프> - 웃고는 있지만.ㅠ 20세기 역사의 주요 사건들 중 하나는 탈식민이었고, 탈식민지화하는 제3세계는 미소 냉전의 격전지였다는 것이 통설이다. 이에 대해서 제래미 프리드먼 Jer..
- [냉전]"제3세계는 중국과 소련의 경쟁 무대였다."
-
- 1950년 미국,베트남에서 프랑스를 지원하기로 결심..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17/03/06 04:29
키신저의 경고. 원래 미국외교정책에는 반-제국주의 전통이 강했다. 특히 프랭클린 루스벨트는 프랑스 제국주의, 특히 프랑스의 인도차이나 지배를 착취로 간주했다. 전쟁 동안 루스벨트는 전후에 프랑스의 인도차이나 ..
- 1950년 미국,베트남에서 프랑스를 지원하기로 결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