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퇴계(총 37개의 글)
'퇴계' 관련 최근글
-
- 退溪 李滉의 出處觀 2
-
역사와 살아가는 이야기 by 블레이드|2011/02/18 08:11
남명은 명문으로 서울에 살면서 李浚慶․宋麟壽 등 名士들을 많이 사귀었는데 비해 퇴계는 가문이 대단치 않아서 집안을 일으키기 위해 科擧官僚가 되어 자의건 타의건 일생동안 벼슬을 했다. 남명은 사화에 삼촌 曺彦卿을 잃었고, 친구들이 차례로 被禍되어 벼슬을 할 뜻이 없었다...
- 退溪 李滉의 出處觀 2
-
- 退溪 李滉의 出處觀 1
-
역사와 살아가는 이야기 by 블레이드|2011/02/17 10:15
퇴계의 출처관을 보려면 남명의 출처관과 비교해 보는 것이 확실하다. 퇴계와 남명은 같은 해(1501) 낳아서 한 해 차이(퇴계는 1571년, 남명는 1572년)로 70평생을 같은 경상도(퇴계는 좌도, 남명은 우도)에 살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퇴계는 과거관료로서 37 년 간 학자관료를 지낸..
- 退溪 李滉의 出處觀 1
-
- 退溪 李滉의 生涯와 思想 5
-
역사와 살아가는 이야기 by 블레이드|2011/02/16 10:20
퇴계는 43세 되던 1543년(중종 38)부터 관직에 뜻이 없고, 물러가 도학을 연구해야겠다고 생각했다. 그것이 자기가 해야할 더 중요한 일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반평생을 허송세월 한 기분이었을 것이다. 그리하여 이 때부터 계속 관직에서 사퇴하려는 상소를 올린 것이다. 반면에..
- 退溪 李滉의 生涯와 思想 5
-
- 退溪 李滉의 生涯와 思想 5
-
역사와 살아가는 이야기 by 블레이드|2011/02/15 14:52
퇴계는 43세 되던 1543년(중종 38)부터 관직에 뜻이 없고, 물러가 도학을 연구해야겠다고 생각했다. 그것이 자기가 해야할 더 중요한 일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반평생을 허송세월 한 기분이었을 것이다. 그리하여 이 때부터 계속 관직에서 사퇴하려는 상소를 올린 것이다. 반면에..
- 退溪 李滉의 生涯와 思想 5
-
- 退溪 李滉의 生涯와 思想 4
-
역사와 살아가는 이야기 by 블레이드|2011/02/14 09:08
3. 仕宦퇴계는 1534년(중종 29) 3월 9일에 문과에 급제한 후 승문원 권지부정자에 임명되고, 18일에 예문관 검열에 추천되었다. 그러나 당로자였던 金安老의 사주로 체직되었다. 퇴계는 자기 뿐 아니라 아들 李雋과 조카 李宓 등에게 집안을 위해 과거시험을 보라고 여러 차례 권했다...
- 退溪 李滉의 生涯와 思想 4
-
-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이학사상(理學思想) 2
-
역사와 살아가는 이야기 by 블레이드|2011/02/08 08:26
퇴계는 사림파가 박해를 받는 것은 저변이 약해 지지기반이 널지 않은데 있다고 생각했다. 그리하여 본격적인 이기심성론에 대한 연구에 힘쓴 것이다. 퇴계는 나라의 원기(國之元氣)인 참 선비가 되기 위해서는 자기 수양이 앞서야 한다고 했다. 선비가 될 사람은 모름지기 진심..
-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이학사상(理學思想) 2
-
-
-
- 退溪 李滉의 生涯와 思想 3
-
역사와 살아가는 이야기 by 블레이드|2010/11/04 01:01
2. 敎育과 科擧퇴계는 6살부터 글을 읽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이웃 노인에게 천자문을 배웠다. 아침이면 세수를 하고 머리를 빗고 그 노인 집으로 가서 울타리 밖에서 전날 배운 것을 두어 번 외운 다음 들어가 가르침을 받았다 한다. 그리고 12살 때 형 李瀣와 함께 숙부 李堣에게 『..
- 退溪 李滉의 生涯와 思想 3
-
- 退溪 李滉의 生涯와 思想 2
-
역사와 살아가는 이야기 by 블레이드|2010/11/03 16:18
이정은 遇陽․興陽․繼陽 세 아들을 두었다. 우양 계열은 周村에 그대로 살고 있었고, 응양 계열은 豊山 輞川으로, 계양 계열은 禮安 溫惠로 이주했다. 이 중 계양이 퇴계의 할아버지이다. 그는 1453년(단종 1)에 진사시에 합격했으나 온혜에 정착해 문호를 열었다.이계양은 埴․..
- 退溪 李滉의 生涯와 思想 2
-
- 退溪 李滉의 生涯와 思想 1
-
역사와 살아가는 이야기 by 블레이드|2010/11/02 19:59
1. 家系퇴계 이황의 初字는 季浩, 後字는 景浩, 陶叟, 退陶, 本貫은 眞寶(靑松)이다. 1501년(연산군 7) 11월 25일에 경상도 예안현 溫溪里(지금의 안동시 도산면 온혜동)에서 아버지 진사 李埴과 어머니 춘천박씨(別侍衛 緇의 딸) 사이에서 넷째(漪․瀣․澄․滉)로 태..
- 退溪 李滉의 生涯와 思想 1
-
- 조선의 선비사상과 남명(南冥) 7
-
역사와 살아가는 이야기 by 블레이드|2010/10/16 09:03
4. 맺음말남명은 훈신정치시대에서 사림정치시대로 넘어가는 과도기를 살다 간 인물이다. 그가 살았던 16세기는 사화기에 해당한다. 많은 사림들이 4차례 일어난 사화로 죽거나 귀양갔다. 이러한 세상에 선비들의 거취가 대단히 어려웠다. 당시에 선비들의 출처관이 문제된 것도 그..
- 조선의 선비사상과 남명(南冥) 7
-
- 조선의 선비사상과 남명(南冥) 6
-
역사와 살아가는 이야기 by 블레이드|2010/10/15 09:54
이와 반대로 남명은 퇴계의 이기론은 추상화되어“넓은 도회지의 큰 시장을 돌아다니면 금은이나 보배가 없는 것이 없으나 하루종일 거리 를 오르락내리락 그 값을 물어보아도 끝내 자기 집의 물건이 되지 못하는 것과 같다”고 했다. 실천이 중요한 것이지 이치를 꼬치꼬치 따진다고..
- 조선의 선비사상과 남명(南冥) 6
-
- 조선의 선비사상과 남명(南冥) 5
-
역사와 살아가는 이야기 by 블레이드|2010/10/09 01:53
이러한 남명의 사상은 그의 경의(敬義)사상에 잘 나타나 있다. 그는 선비라면 도덕적 수양을 철저히 해야 한다고 했다. 내경(內敬)이 그것이다. 그러나 경를 하는 과정에 부단히 사욕(私慾)이 마음을 침노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이 귀(耳)와 눈(目)과 목구멍(口)과 ..
- 조선의 선비사상과 남명(南冥)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