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학익진(총 16개의 글)
'학익진' 관련 최근글
-
-
-
- [철심장]영화'명량'-너무 화가 난다....
-
철심장의 철타곤입니다. by 철심장|2014/08/23 10:06
안녕하십니까? 철심장입니다. 적잖이 기대를 안고 영화 명량을 보고왔다. 한국 영화 최초로 1500만 관객을 넘겼다고 하니.그래도 좀 볼만할꺼라는. 하지만 실망하다못해 조금 화가 났다. 다른 사람들의 명량 영화평을 검색..
- [철심장]영화'명량'-너무 화가 난다....
-
- 학설의 대중화
-
兵者國之大事, 不可不察也 by 번동아제|2011/04/30 16:20
방송에 도움을 준 적은 많지만 방송에 출연해서 얼굴은 비춘 경험은 세번 밖에 없었는데, 네번째만에 역스에도 얼굴을 내밀었다. 사실 출연 자체보다는 내 학설을 기초로 다큐가 만들어졌다는 점이 독특한 경험이었던 것 같다. 판옥선의 선회 사격론은 이미 오래전부터 가능성이 제..
- 학설의 대중화
-
- 언뜻 같으면서도 다른 시각
-
Warfare Archaeology by Warfare Archaeology|2010/10/11 11:44
해전이 말하는 넬슨과 이순신 뭐랄까. 일단 넬슨의 해전도는 처음 보는 거라서 신선했다. 그리고 이순신 장군의 학익진도 옛날 지도라서 그런지 귀엽기도 하고. 두 지도를 보고, 관련 글을 보니 전투 당시 두 지휘관의 생각은 같았던 것 같다. 화력을 집중하든, 전력을 집중하든, ..
- 언뜻 같으면서도 다른 시각
-
- 자려다가 덴마크 대 일본의 선발 라인업을 봤는데...
-
DeveloperZ Mind by Realkai|2010/06/25 02:57
.으악ㅋㅋㅋㅋㅋ 이게 도대체 뭐야 ㅋㅋㅋㅋㅋㅋㅋㅋㅋ 덴마크의 필살의 학익진 or 본격 볼링축구 vs 일본의 사무라이 정신이 깃든(!) 미들이고 뭐고 닥치고 9백 올수비 아놬ㅋㅋㅋ 이것들이 날 웃겨 죽일려고..
- 자려다가 덴마크 대 일본의 선발 라인업을 봤는데...
-
- 조선 수군이 가장 널리 사용한 전투대형은 첨자찰진..
-
兵者國之大事, 不可不察也 by 번동아제|2009/02/27 03:30
* 2010년에 이 주제를 다룬 논문을 모 학술지에 게재하면서 세부적인 데이터가 많이 수정되었습니다. 이 포스팅은 이 주제에 대한 현재의 제 견해를 반영하지 않습니다. 조선 후기 수군홀기류에 등장하는 첨자진 (..
- 조선 수군이 가장 널리 사용한 전투대형은 첨자찰진..
-
- 학익진과 조선 수군의 함상 화포 운용 전술
-
兵者國之大事, 不可不察也 by 번동아제|2008/11/10 20:56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해군과 군함 발달사의 측면에서 볼 때 화약무기를 동원한 화력전으로 진행되는 전근대 해전이라면 전투시 배의 측면, 다시 말해 가장 많은 함포를 탑재할 수 있는 현측(舷側)을 개방하는 것..
- 학익진과 조선 수군의 함상 화포 운용 전술
-
- 조선시대 5대 진형 학익진-방진-층진-삼첩진-화차첩진
-
兵者國之大事, 不可不察也 by 번동아제|2008/09/30 21:43
* 얼마 전에 모 대학교 학보사에서 원고를 요청해 와서 쓴 글을 좀 수정해서 올립니다. 머리말과 마무리 대목을 자르고 진법 자체만 설명한 부분을 올립니다. 조선시대의 각종 병법서에 등장하는 각종 진형을 모두 합치면 수십..
- 조선시대 5대 진형 학익진-방진-층진-삼첩진-화차첩진
-
- 학익진이 이순신 승리의 원동력이라는 속설에 대해
-
兵者國之大事, 不可不察也 by 번동아제|2008/08/18 23:17
* 이 글을 보기 전에 먼저 읽어두면 이해에 도움이 되는 관련 글 * 조선 전기 군대의 학익진 수용 * 조선시대 5대 진형, 방진/학익진/층진/삼첩진/화차첩진 미리 말해두지만 이 글은 이순신의 학익진에 대해 어떠한 ..
- 학익진이 이순신 승리의 원동력이라는 속설에 대해
-
- 조선 전기 군대의 학익진 수용과 운용
-
兵者國之大事, 不可不察也 by 번동아제|2008/08/18 23:00
초등학교 교과서 수준 정도의 상식적 관점에서 이순신의 승리를 해석할 때 가장 중요한 상징적 코드로 등장하는 것이 바로 거북선과 학익진이다. 이런 식의 논리에선 이순신의 승리를 가능하게 했던 물질적 기반으로 거북선을..
- 조선 전기 군대의 학익진 수용과 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