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한국교회사(총 39개의 글)
'한국교회사' 관련 최근글
-
- 120년 한국교회사의 3대분열사건과 그 교훈을 새기며...!
-
AstroVision by G-Crusader|2014/10/28 22:59
< 한국교회사, 120년의 3대분열사건과 그 교훈~! > 무궁화(Rose of Sharon), 한반도에 120여년의 교회사.언더우드, 아펜젤러 선교사등으로부터 시작된~ 이땅의 복음전파!그 역사속에서, 한국교회가 당면했었던. "3대 분열사건들" 을 돌아보고~ 21세기..
한국교회사, 120년, RoseOfSharon, 신사참배, WCC문제
- 120년 한국교회사의 3대분열사건과 그 교훈을 새기며...!
-
- 한국 초대교회의 수난은 계속되다
-
웃으면 복이와요님의 이글루입니다 by 웃으면 복이와요|2014/06/19 10:06
한국 교회의 금교령은 1894년 청일전쟁이 일어나기 직전에 터졌다. 부호의 자제가 다수 교회에 입교했기 때문에 한번 거사해서 이득을 볼 것을 노렸던 것이다. 유교의 존중과 외인 협잡배의 방지라는 명분을 내세운..
- 한국 초대교회의 수난은 계속되다
-
- 한국교회사-선교활동의 지속과 당시의 정세
-
웃으면 복이와요님의 이글루입니다 by 웃으면 복이와요|2014/06/09 09:33
1884년 10월에 일어났던 갑신정변은, 개화파의 계획이 3일 만에 수포로 돌아가고, 이를 지원했던 일본의 세력이 쇠퇴한 반면 청나라의 세력이 더욱 강해지는 결과를 초래했다. 또한 이때에 한국에서 세력을 펴 보려..
- 한국교회사-선교활동의 지속과 당시의 정세
-
- 1950년 6월 25일 이후 3일 동안 개신교는 뭘하고 있었을까?
-
대한민국 유일의 코토노하 모에단 이글루스 지부 by 네리아리|2012/06/25 03:43
1950년 6월 25일 이후 3일 동안 개신교는 뭘하고 있었을까? 6월 25일 솔직히 가톨릭에 비하면 개신교는 상당히 잡음이 있었습니다. 사실 가톨릭에 비하면 상당히 어리버리 까고 있었죠. 먼저 가톨릭쪽의 상황을 살펴본다면 6월 25일..
- 1950년 6월 25일 이후 3일 동안 개신교는 뭘하고 있었을까?
-
- [한국교회사]14강
-
Les Goliards by Goliards|2009/06/26 17:39
강의: 서정민기록: 김효성1. 교회사에서의 신학사상사신학사상사는 운동사 혹은 사건사 사이에 흐르는 사고의 흐름을 의미한다. 신학과 신앙은 다르다. 신앙이 '하나님을 향함'이라고 한다면 신학은 '하나님을 대함', 즉 하나님에 대한 사고이다. 신학은 하나님에 대해서 온정적 에..
- [한국교회사]14강
-
- [한국교회사]13강
-
Les Goliards by Goliards|2009/06/25 21:15
강의: 서정민기록: 김효성 1. 4.19 혁명과 한국 기독교한국 현대사의 정치적 변혁과 기독교가 얼마나 관계가 있는가의 문제를 다루는 것에서부터 역사적 관점을 엿볼 수 있다. 교회사가 과연 일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와 동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따라서 교회사에서 ..
- [한국교회사]13강
-
- [한국교회사]12강
-
Les Goliards by Goliards|2009/06/25 21:03
강의: 서정민기록: 김효성 8.15에 대한 명칭 사용의 문제는 그리 간단하지 않다. '광복' 또는 '해방' 등에서 이미 여러 역사적 입장, 이데올로기의 입장이 반영되기 때문이다. 이데올로기가 들어가있지 않은 8.15가 그나마 낫지 않을까? 비교적 역사를 비판적 성찰로 보는 입장에서는 8.15..
- [한국교회사]12강
-
- 제14강 한국기독교 신학사
-
Cross Boundaries by 그루터기|2009/06/23 23:13
제14강은 서정민 교수님의 2009년 6월 9일, 11일 강의를 기록한 것이다. 1. 교회사에서의 신학사상사 신학사상사는 운동사 혹은 사건사 사이에 흐르는 사고의 흐름을 의미한다. 신학은 신앙이 아니다. 신앙은 하나님을 향함이라고 한다면 신학은 하나님에 대함, 곧 하나님에 대한 사고..
- 제14강 한국기독교 신학사
-
- 제13강 한국 현대사의 정치적 변혁과 기독교
-
Cross Boundaries by 그루터기|2009/06/23 15:34
제13강은 서정민 교수님의 2009년 6월 2일 강의를 기록한 것이다. 1. 4.19 혁명과 한국 기독교 한국 현대사의 정치적 변혁과 기독교가 얼마나 관계가 있는가의 문제를 다루는 것에서부터 역사적 관점을 엿볼 수 있다. 교회사가 과연 일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와 동떨어져 있는 것이 ..
- 제13강 한국 현대사의 정치적 변혁과 기독교
-
- 제12강 8.15와 6.25전쟁, 그리고 기독교
-
Cross Boundaries by 그루터기|2009/06/23 15:25
제12강은 서정민 교수님의 2009년 5월 26일, 28일 강의를 기록한 것이다. 8.15에 대한 명칭 사용의 문제는 그리 간단하지 않다. '광복' 또는 '해방' 등에서 이미 여러 역사적 입장, 이데올로기의 입장이 반영되기 때문이다. 이데올로기가 들어가있지 않은 8.15가 그나마 낮지 않을까? 비교적..
- 제12강 8.15와 6.25전쟁, 그리고 기독교
-
- [한국교회사]11강
-
Les Goliards by Goliards|2009/06/22 17:26
강의: 서정민기록: 김효성일제말기는 질곡의 시기라고 한다. 어둠의 골짜기가 있다는 것은 역사가 살아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여기서 세밀한 역사의 교훈, 교회사적 관점에서는 하나님의 섭리를 발견할 수 있다. 1. 일제의 민족말살정책과 기독교정책일제의 한국통치는 시기별..
- [한국교회사]11강
-
- [한국교회사]10강
-
Les Goliards by Goliards|2009/06/22 17:25
강의: 서정민기록: 김효성1. 1920-30년대 사회변동과 기독교3.1운동이 일어난 이 후, 일제는 통치방법을 바꾸게 된다. 헌병통치에서 문화통치로의 전환이 바로 그것이다. 문화통치로의 전환으로 인해, 한글로 쓰여진 문서활동이 가능해졌고, 종교활동에서도 비교적 활동의 자유가 ..
- [한국교회사]10강
-
- [한국교회사]9강
-
Les Goliards by Goliards|2009/06/22 17:23
강의: 서정민기록: 김효성3.1운동은 한국민족사 전체에서도 가장 중요한 운동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결과론적으로는 실패한 운동이었음에도 그 운동이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 이는 1919년, 1910년대의 세계사적 흐름에서 바라봐야 한다. 제국주의적 침략국가와 피..
- [한국교회사]9강
-
- [한국교회사]8강
-
Les Goliards by Goliards|2009/06/22 16:52
강의: 서정민기록: 김효성한국민족교회, 과연 좋은 것인가? 민족과 교회, 어느 것이 더 큰 개념인가? 민족교회는 이런 측면에서 보편성을 제한받는다. 교회는 복음을 확장하는 공동체로서 어느 민족, 누구에게나 해당되는 공동체여야 한다. 그러나 민족교회는 만민 복음화된 진리를..
- [한국교회사]8강
-
- [한국교회사]7강
-
Les Goliards by Goliards|2009/06/22 16:37
강의: 서정민기록: 김효성 1. 남북방 선교루트의 합류1884년 12월 초에 갑신정변이 일어나는데 그 때 북장로교 의료 선교사로 알렌이 들어와 있었다. 우정국 개설 연회에 급진 개화파가 정변을 일으켰는데 이 때 보수파의 실세였던 민영익이 큰 상해를 입었다. 알렌은 비록 전문적인 의과..
- [한국교회사]7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