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한미동맹(총 96개의 글)
'한미동맹' 관련 최근글
-
- 이재명 대통령 후보 면담 위해 극비 방한한 NYT 임..
-
케찹만땅 by 케찹만땅|2021/11/07 18:45
면담에서 뉴욕타임스 관계자들은 이 후보의 ‘대전환 경제정책’에 대해 관심을 나타냈던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기본소득 등 이 후보의 대표적 경제정책뿐만 아니라 포스트 코로나19 시대의 성장 정책과 복지 구상과 관련한..
- 이재명 대통령 후보 면담 위해 극비 방한한 NYT 임..
-
- "트럼프를 지지하는 한국 애국보수?"
-
파리13구님의 이글루 by 파리13구|2020/09/11 09:51
우드워드의 신간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야 말로 한미동맹의 근간을 위협하는 자가 아닌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미동맹을 신성시하는 아스팔트 애국보수들이 성조기와 트럼프를 외치는 근거는 무엇인가? 한..
- "트럼프를 지지하는 한국 애국보수?"
-
- 서적 『한미동맹의 진화』의 독서종료에 임하여.(2019.11.23.)
-
6341 by 6341|2019/11/23 14:37
이른바 "한-미 관계"의 기원은 "조-미 수호조규" 체결(1882.)시기보다 더 이른시기인 서기 1860년대까지 거슬러울라가지만, "긴밀한 네트워크"는 대한민국임시정부와 미국이 제2차세계대전의 연합국의 일원으로써 추축국(일본제국.)..
- 서적 『한미동맹의 진화』의 독서종료에 임하여.(2019.11.23.)
-
- 한-미 동맹체제의 "변화"와 "관리".(2019.11.20.)
-
6341 by 6341|2019/11/20 22:04
이른바 "한-미 동맹체제"는 서기 1953년 10월 1일 조인된 한국과 미국간의 상호안보조약으로써, "한국의 안보적 이유"에 의해 체결된 동맹조약입니다. 다시 말씀드려, 6.25 남침전쟁과 그 시기 전후 발생한 중화인민공화국 수립(1949), 소비에트의 핵무..
- 한-미 동맹체제의 "변화"와 "관리".(2019.11.20.)
-
- "한-미 동맹체제"와 "중국".(2019.11.20.)
-
6341 by 6341|2019/11/20 13:14
이른바 "전근대" 및 "근대이후"를 막론하고 동아시아지역에 적지않은 영향을 끼친 국가로 "중국"을 언급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 경우 근대 및 현대에 들어오면서 "일본 제국"(日本帝國: 1868 - 1945.) 및 "중화민국&q..
- "한-미 동맹체제"와 "중국".(2019.11.20.)
-
- 북한핵문제 속의 북한정권의 "저의"와 "한-미 동맹체제".(2019.11.18.)
-
6341 by 6341|2019/11/18 12:57
세계사의 측면에서, 특히 서기 20세기 중반 이후의 세계사의 측면에서 "핵무기"의 등장은 세계사의 변화 및 각 국가의 권력을 변화시킨 큰 개념이라 생각합니다. 우선 미국의 핵무장, 엄밀히 세계 최초의 핵무장이 곧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두 도시에 원폭의 투하와 제2..
- 북한핵문제 속의 북한정권의 "저의"와 "한-미 동맹체제".(2019.11.18.)
-
- 한-미 동맹체제의 "변화"와 "현실적 인식"의 필요성.(2019.11.11.)
-
6341 by 6341|2019/11/11 20:30
대체로 동맹체제로 정의되는 "국가간 네트워크"는 그 내부적(동맹의 회원국.) 및 그 외부적(동맹 바깥의 국가세력.) 요인의 변화에 의해 그 동맹의 정의가 변화됩니다. 특히 한-미 관계, 구체적으로 "한-미 동맹체제"는 그 변화의 흐름이 "..
- 한-미 동맹체제의 "변화"와 "현실적 인식"의 필요성.(2019.11.11.)
-
- 미국의 "동맹국 방위비 재협상"정책과 "한-미 동맹".
-
6341 by 6341|2019/11/09 00:18
서기 2019년 한-미 동맹관련 가장 중요한 문제는 이른바 "방위비 재협상"입니다. 이것은 서적 『한미동맹의 진화』에서 언급되는 내용과 연결될 수 있으며, 대체로 한-미 동맹이 시대에 따라 동맹체제 내부 혹은 외부의 상황에 의해 변하는 대표적 사례로써 인식할 수 ..
- 미국의 "동맹국 방위비 재협상"정책과 "한-미 동맹".
-
- 동맹체제의 "가변성"과 "한미동맹"의 "관리".(2019.11.7.)
-
6341 by 6341|2019/11/07 18:06
국가와 국가간의 "외교관계"는 이른바 세계사적인 측면에서 인류가 "사회"(도시국가.)를 만들고 각각의 "사회"에 "교류"가 형성되는 시기부터 언급할 수 있지만 대체로 근대 이후 형성된 "만국 공법 질서"에..
- 동맹체제의 "가변성"과 "한미동맹"의 "관리".(2019.11.7.)
-
- 서적소개 『한미동맹의 진화』(허욱/테런스로릭 ..
-
6341 by 6341|2019/11/04 15:37
한국현대사(現代史.)에서 서기 1953년 10월 1일 "한-미상호방위조약" 조인 으로 시작된 "한-미 동맹"은 한국현대사의 구성에 큰 역할을 한 것은 부인할 수 없습니다. 구체적으로 대..
- 서적소개 『한미동맹의 진화』(허욱/테런스로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