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13경(총 11개의 글)
'13경' 관련 최근글
-
- [펌] 옥편 원조 ‘이아 주석서’ 첫 번역
-
내 삶을 행복하게, 맘껏 웃을 수 있게 by erihin|2010/12/26 18:28
입력 : 2005-03-08 17:34:26 ‘이아’(爾雅)와 ‘육서심원’(六書尋源). 일반인을 물론 웬만큼 한문을 했다는 사람들도 쉽게 들춰보지 않는 책들이겠지만, 여기에는 ‘최고’(最古)와 ‘최대’(最大)라는 ..
- [펌] 옥편 원조 ‘이아 주석서’ 첫 번역
-
- 평양에서 발견된 죽간 논어
-
知不知尙矣 不知知病矣 by 소하|2009/11/29 13:30
평양 정백동 출토 낙랑 죽간 논어 공개 그동안 말로만 전해지던 죽간《논어》가 실재하기는 하는구나! 북한에서는 왜 공개를 하지 않았던 것인가? 또 얼마나 더 많은 죽간이 있을까? 이런 의문이 들지 않을 수 없다...
- 평양에서 발견된 죽간 논어
-
- 박상익 - 번역은 반역인가 - 도올 김용옥 13경 번역작업.
-
박민철 - 항상 깨어있어라!! by 키튼|2009/11/04 18:22
번역은 반역인가 - 박상익 지음/푸른역사 지금 박상익 교수가 번역한 책을 읽고 있다. '호메로스에서 돈 키호테까지' 쉽지 않은 역사서지만, 매끄러운 번역에 감사하며 읽고 있다. 박상익 교수가 쓴 '번역은 반역인가'라는 책이 있어 쭉 살펴보았다. 국내외 번역의 현주소와 나름대로..
번역, 13경,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레콘키스타, 박상익
- 박상익 - 번역은 반역인가 - 도올 김용옥 13경 번역작업.
-
- 《예기禮記》<학기學記> 역주 - 3장
-
知不知尙矣 不知知病矣 by 소하|2009/10/30 15:12
제 2 장 <학기學記> 3장. 雖有嘉肴, 弗食/不知其旨也. 雖有至道, 弗學/不知其善也. 是故, 學然後知不足, 敎然後知困. 知不足, 然後, 能自反也. 知困, 然後, 能自强也. 故曰: 敎學相長也. <兌命>曰: 「(學)[斅]學半.」 其此之謂乎! 비록雖 좋은嘉 음식이..
- 《예기禮記》<학기學記> 역주 - 3장
-
- 《예기禮記》<학기學記> 역주 - 2장
-
知不知尙矣 不知知病矣 by 소하|2009/10/29 21:23
제 1 장 <학기學記> 2장. 玉不琢, 不成器. 人不學, 不知道. 是故, 古之王者建國君民, 敎學爲先. <兌命>曰:「念終始典于學.」 其此之謂乎! (비록) 옥이玉 (귀하지만) 연마하지琢 않는다면不 (아름다운) 기물이器 될 수成 없으며不, (비록) 사람이人 (..
- 《예기禮記》<학기學記> 역주 - 2장
-
- 《예기禮記》<학기學記> 역주 - 1장
-
知不知尙矣 不知知病矣 by 소하|2009/10/29 17:34
<학기學記> 1장. 發慮憲, 求善良, 足以謏聞, 不足以動衆; 사고하는慮 법을憲 개발하고發, 선량한善良 (사람을) 초대하여求, 작은謏 명성이聞 있을지라도足以, 군중을衆 감동시킬動 수는足以 없다不; [慮] 《爾雅. 釋詁》: 慮, 思也. = 사려思慮. 사고思考.[憲..
- 《예기禮記》<학기學記> 역주 - 1장
-
- 《시경詩經》<關雎관저(물수리)>
-
知不知尙矣 不知知病矣 by 소하|2009/04/29 22:46
毛詩모시(시경) 關雎관저(물수리) 본문 강조는 압운 글자. 關關雎鳩, 관관저구, 在河之洲. 재하지주. 窈窕淑女, 君子好逑. 요죠숙녀, 군자호구. 幽韻[u]參差荇菜, 左右流之. 참차행채, 좌우유지. 窈窕淑女, 寤寐求之. 요죠숙녀, 오매구지. 幽韻[u]求之不得..
- 《시경詩經》<關雎관저(물수리)>
-
- 《위고문상서僞古文尙書》<군아君牙>
-
知不知尙矣 不知知病矣 by 소하|2008/08/08 15:45
穆王命君牙爲周大司徒, 作<君牙>. 목왕(BC 976-922)*이 군아를 주나라의 대사도로 삼도록 명하고, <군아>를 지었다. (상서 서문) * 이학근 주편, 《하상주단대공정보고》. 王若曰:「嗚呼, 君牙! 惟乃祖乃父, 世篤忠貞; 服勞王家, 厥惟成績紀于太常. 惟予..
- 《위고문상서僞古文尙書》<군아君牙>
-
- 《상서尙書》<문후지명文侯之命>
-
知不知尙矣 不知知病矣 by 소하|2008/06/24 16:46
平王錫晉文侯秬鬯. 圭瓚, 作<文侯之命>. (주나라) 평왕平王(BC 770-720)이 진문후晉文侯(개仇; 재위 BC780-746)에게 거창秬鬯. 규찬圭瓚을 하사錫하고, <문후지명文侯之命>을 지었다作. (상서 서문) 王若曰: 「父義和! 丕顯文. 武, 克愼明德, 昭升于上..
- 《상서尙書》<문후지명文侯之命>
-
- [경서] 중국 고전 읽는 데 도움을 주는 사이트.
-
내 삶을 행복하게, 맘껏 웃을 수 있게 by erihin|2007/10/15 21:25
오늘 찾은 두 사이트. 원래는 천자문을 간체로 외우고 싶어서 찾고 있었는데, 덜컥 좋은 사이트 2곳을 발견했다. 병음으로 된 13경서들 하나하나도 찾고 싶었는데. 전체는 아니더라도 천천히 음미하며 공부하는 곳으론 무척 좋다. 참고로 중국 사이트. 자주 놀러갈 사이트가 되었다..
- [경서] 중국 고전 읽는 데 도움을 주는 사이트.
-
- [경서이야기] 사서오경과 십삼경 외.
-
내 삶을 행복하게, 맘껏 웃을 수 있게 by erihin|2007/09/28 01:26
평생을 걸쳐 천천히 읽어나가야 할 유교 경전들. 불교 경전과 역사서, 제자백가서, 고문, 문학서 등. 그리고 중의학, 한의학, 생활의학 등의 전통 혹은 대체의학 서적. 그리고. 전반적 중문학에 관련한 서적. 특히 읽고싶은 건 13경 중의 역경과 맹자, 그리고 역사서의 소미통..
- [경서이야기] 사서오경과 십삼경 외.